출처:트레이시 A. 밀리건, 메릴랜드; 타마라 비 카플란, 메릴랜드;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신경학, 브리검 및 여성/매사추세츠 종합 병원
두개골 신경 검사는 신경 검사에서 정신 상태 평가를 따릅니다. 그러나 검사는 환자에게 인사할 때 관찰된 것으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얼굴 근육의 약점 (두개골 신경 VII에 의해 내면화) 환자와의 첫 만남 동안 쉽게 명백할 수 있습니다. 두개골 신경 VII (안면 신경)는 또한 감각 가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혀의 앞쪽 에 미각과 외부 청각 운하의 내측 측면에 입각을 내면하게합니다. 따라서 안면 약점이 있는 환자에서 입실식 맛 기능 장애를 발견하면 두개골 신경 VII의 참여가 확인됩니다. 또한, 신경 해부학에 대한 지식은 임상의가 병변의 수준을 국소화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 하부 얼굴 근육의 일방적 인 약점은 반대편에 초핵 병변을 제안하며, 얼굴 신경의 핵 또는 적외선 부분과 관련된 병변은 관련된 모든 얼굴 근육의 ipsilateral 마비로 나타납니다. 두개골 신경 VIII (음향 신경)는 두 개의 부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 청각 (달팽이관) 분열과 반원형 운하를 내면화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하는 전정 분열. 일상적인 신경 검사 중, 전정 신경의 특별 한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수행 되지 않습니다.
두개골 신경 IX (광택 인두 신경) 및 두개골 신경 X (vagus 신경) 수질에서 발생 하 고 후두 및 인두 기능; 그들의 기능은 부드러운 입맛의 음성 및 운동성을 평가하여 테스트됩니다. 두개골 신경 IX와 Xform 개그 반사의 감각과 모터 사지 때문에, 개그 반사를 유도하는 것은 또한 그들의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두개골 신경 XI (척추 액세서리 신경)는 흉골 근육과 사다리꼴 근육의 상부를 내면하게합니다. 이 근육은 머리를 좌우로 돌리고 어깨를 으쓱하는 것을 제어합니다. 두개골 신경 검사는 혀근육의 모터 제어를 제공하는 두개골 신경 XII (저혈압 신경)를 테스트하여 결론을 내립니다.
신경 학적 평가 하는 동안, 임상의는 항상 기본 질병에 대 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시험의 결과 함께 연결 하려고 한다. 중요한 진단 단서는 다중 두개골 신경 관여의 표시및 일방적대 양측 두개골 신경 기능 장애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환자의 현상이 갑자기 (치기와 예상대로), 대략 (벨의 마비에서와 같이) 또는 점차적으로 (확장질량 병변과 같이) 주에서 달에 걸쳐 서적으로 발생했는지 여부를 알고 기위하여 차등 진단을 공식화하는 것을 도울 것입니다.
두개골 신경 I-VI의 평가는이 컬렉션의 또 다른 비디오에서 다룹니다. 이 비디오는 두개골 신경 VII-XII (표 1)의 체계적인 검사를 보여줍니다.
나는 | 후각 | 냄새 |
II | 광학 | 시력, 포피라피 반응 |
III | 오큘로모터 | 수평 눈 움직임 (첨가제), 효과적인 천체 반응 |
IV | 트로클레르 | 하향 수직 눈 움직임, 눈의 내부 회전 |
V | 삼차 | 얼굴 감각, 턱 움직임 |
VI (주) | 복근 | 수평 눈 운동 (납치) |
VII | 얼굴 마사지 | 얼굴 의 움직임과 강도, 맛, 큰 소리의 약화, 감각; 외이도의 전방 벽 |
VIII | 어쿠스틱 | 청각, 전정 기능 |
IX | 글로시인두 | 인두의 움직임, 인두의 감각, 후방 혀 (후방 혀의 맛을 포함), 외이도의 대부분 |
X | 바갈 (주) | 입맛, 인두, 개그 반사, 내장 소리의 움직임과 감각 |
XI (동음이의) | 척추 액세서리 | 흉골근육과 트라페지아근의 힘 |
XII | 저체형 | 혀 돌출 및 측면 운동 |
표 1. 12 개의 두개골 신경과 기본 기능
1. 두개골 신경 VII : 얼굴
2. 두개골 신경 VIII : 음향
3. 두개골 신경 IX 및 X: 글로시인인과 미구
4. 두개골 신경 XI: 척추 액세서리
5. 두개골 신경 XII: 저혈압
체계적인 두개골 신경 검사는 때때로 두뇌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병리학 프로세스에 관하여 임상의에게 일찌기 그리고 상세한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으로, 12 개의 두개골 신경은 뇌의 독특한 위치에서 발생하고 다양한 머리와 목 구조뿐만 아니라 흉부와 복강의 여러 기관에서 발생합니다.
두개골 신경 검사 부분 1 부는 신경의 집중 1 에서 6. 이 할부에서 우리는 간략하게 신경의 기능을 검토할 것입니다 7 에서 열두, 이러한 특정 신경의 손상과 관련된 귀중한 진단 정보를 제공 할 수있는 특정 테스트의 데모 다음.
우리는 XII에 두개골 신경 VII의 해부학 및 생리학의 짧은 토론으로 시작합니다.
두개골 신경 VII는 주로 얼굴 표정의 근육을 공급하는 모터 섬유로 구성됩니다. 안면 신경은 또한 혀의 전방 2/3에서 맛 정보를 전송하고 홍엽, 설하 및 submandibal 땀샘에 부교감 공급을 제공합니다. 두개골 신경 VIII, 현관 신경, 달팽이에 내이에서 각각 소리와 평형 정보를 릴레이 달팽이와 달팽이에 달팽이와 달팽이로 달팽이와 달팽이와 달팽이로 달팽이와 달팽이로 달팽이관 과 전정 분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두개골 신경 IX, 광택 신경은 수질에서 발생하고 혀와 부드러운 입맛의 후방 1/3을 내면하게 합니다. 또한 타액을 분비하기 위해 parotid 동맥을 자극하고, 삼키는 데 도움이되는 스티로반인두 근육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이 신경에 손상은 일반적인 개그 반사의 부재로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한편, 두개골 신경 X, 미주 신경은 또한 수질에서 상승, 머리, 목, 흉부 및 복부에 있는 각종 구조물을 안쪽으로 안쪽으로 하는 넓게 분포되고 복잡한 신경입니다. 그러나, 이 신경의 모든 기능은 일상적인 신체 검사 도중 시험되지 않습니다.
두개골 신경 XI, 척추 액세서리 신경, 흉골 자극증 근육과 사다리꼴의 상부를 내면. 이 근육은 머리를 옆으로 돌리고 어깨를 으쓱합니다. 두개골 신경 검사는 음성 제어 및 삼키는에 관여하는 혀근육의 모터 제어를 제공하는 저혈압 신경 XII를 테스트하여 결론을 내립니다.
이제 두개골 신경의이 세트를 검사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검토 할 수 있습니다. 안면 신경의 평가로 시작합니다. 비소래 주름의 스무딩 또는 팔페브랄 균열의 확대와 같은 약점의 표시를 위해 환자의 얼굴을 관찰하십시오. 그런 다음 환자가 눈썹을 올리고 말초 얼굴 마비에서 볼 수있는 관련 측에 이마를 주름시킬 수없는 것을 찾게하거나 얼굴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상하 면 근육의 일방적 인 약점으로 나타나는 벨의 마비를 찾습니다. 이것은 중앙 안면 마비와 다릅니다 – 초핵 병변을 가진 치기 환자에서 보인 – 단지 한쪽의 하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으로 환자에게 미소를 지도록 요청하십시오. 미소의 윤곽에 비대칭을 주의, 완전히 말초 또는 중앙 얼굴 신경 마비 환자에서 영향을받는 측에 입술을 올릴 수없는 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환자를 단단히 닫고 양쪽에 똑같이 속눈썹을 “묻어”있는지 평가하도록 지시하십시오. 그런 다음 다시 눈을 감고 열어 보려고 하는 동안 눈을 감아 달라고 부탁하십시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당신이 그들의 지갑 입술에서 공기를 밀어 하려고하는 동안 환자가 자신의 뺨을 날려.
다음 단계는 입에 헹구기 위해 면에 기울어진 어플리케이터, 설탕 물 용액 및 물이 필요한 맛 감각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환자에게 혀를 내밀어 설탕 용액으로 측면을 면봉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환자에게 맛을 확인하도록 요청하십시오. 환자의 반응을 얻은 후에 는 그들의 입을 헹구고 혀의 반대편에 있는 시험을 반복합니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혀의 각 면에 대한 맛의 감각을 비교해 보라고 합니다.
시험의 다음 단은 두개골 신경 VIII, 음향 신경의 달팽이관 분열을 평가합니다. 청력 기능의 평가는 환자가 면접 중에 당신을들을 수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보청기를 착용하고 있는지 유의하십시오. 먼저 손가락으로 환자의 귀에서 몇 센티미터 떨어진 곳에 손가락을 잡고 부드럽게 문질러서 빠른 청력 평가를 수행하십시오. 환자에게 손가락이 문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가 반대편에서 반복하고 인식된 소리가 양쪽모두에 동일한지 물어보십시오.
다음으로, 환자가 청각 장애의 징후를 보이는 경우에, 또한 튜닝 포크 시험으로 알려져 있는 웨버와 린 시험으로 이동합니다. 이들은 전도성 난청과 감각 신경성 난청을 구별하기 위하여 수행됩니다. 전도성 난청은 중이염 또는 고막 천공과 같은 외부 또는 중이 장애로부터 발생합니다. 그리고 감각 신경성 난청은 노화, 음향 신경종 또는 시끄러운 소음에 일정한 노출에서 유래할 수 있는 두뇌에 있는 달팽이관 신경 또는 청각 통로의 손상 때문에 생깁니다.
먼저 웨버 테스트를 검토해 보겠습니다. 손발 뒤꿈치로 튜닝 포크 타인을 치고 줄기를 환자의 머리 정점위에 놓습니다. 이제 환자에게 소리를 듣는 곳을 물어보십시오. 튜닝 포크에 의해 생성 된 소리는 뼈의 공기와 진동을 통해 수행됩니다.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환자는 머리 의 중앙과 양쪽 귀에서 똑같이 소리를 들을 것입니다. 환자가 한쪽에서 청력 손실을 경험하고 손실의 본질이 감각 신경성인 경우 소리가 측면화하거나 “좋은”측면에서 더 크게 인식됩니다. 손실의 본질이 전도성인 반면, 이 쪽의 잘 작동하는 내이가 두개골 뼈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소리가 “나쁜”쪽으로 측면화되어 영향을받지 않는 측면보다 더 크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
웨버 테스트가 비정상인 경우, 린 테스트 수행으로 이동합니다. 이를 위해 튜닝 포크 틴을 치고 마스토이드 뼈에 줄기를 놓습니다. 환자에게 더 이상 음색을 듣지 않을 때 “지금”이라고 말하고 외부 외이도에 인접한 tines를 빠르게 움직이도록 지시합니다. 환자에게 여전히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전도성 난청의 경우, 환자는 튜닝 포크가 뼈에 있을 때 외부 외이도 근처의 공기에 있을 때와 비교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소리를 들을 것입니다.
다음으로, 두개골 신경 IX, 광택 신신경 및 두개골 신경 X, 미주 신경을 함께 평가합니다. 먼저 환자에게 말씀의 비강 품질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 문장을 말하도록 요청하여 말하십시오.
그 후, 환자에게 입을 열고 “AAH”라고 말하십시오. 환자가 그렇게하는 동안, 부드러운 입맛의 고도를 관찰하고 비대칭이 존재하는지 주의하십시오. 두개골 신경 X 마비에서, 부드러운 입맛이 상승하지 못하고 uvula는 반대쪽으로 이탈합니다.
그 다음, 두개골 신경 XI 또는 척추 액세서리 신경 평가로 이동합니다. 먼저 환자에게 어깨를 위쪽으로 축소하도록 요청하십시오. 그런 다음 약점을 확인하거나 비대칭을 확인하기 위해 어깨를 아래로 밀어 저항을 제공하면서 운동을 반복하도록 지시합니다. 다음으로 환자에게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턱을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려는 시도에 저항하도록 지시합니다. 환자가 머리를 반대편으로 돌리면서 검사를 반복합니다. 이것은 흉골류 근육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행해짐.
저혈압 신경 XII를 테스트하여 검사를 마무리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에게 입을 열고 먼저 혀를 관찰해 보라고 한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기타 운동 신경 질환으로 볼 수 있듯이 매혹을 찾으세요. 그런 다음 환자에게 혀를 똑바로 내밀라고 지시합니다. 그것은 중간에 있어야합니다. 일방적인 약점으로 인해 약한 쪽으로 이탈할 수 있습니다.
혀 근육의 강도를 평가하는 마지막 시험을 위해 환자에게 혀를 뺨에 밀어 넣도록 요청하고 다시 밀어 넣으려고 시도하는 동안 저항하도록 지시하십시오. 약점이나 비대칭을 찾는 매번 다른 쪽에서 반복합니다. 이것은 모든 두개골 신경의 검사를 결론지습니다.
VII에서 XII에 이르는 두개골 신경 검사에서 JoVE 비디오를 시청했습니다. 이제 임상의가 포괄적인 두개골 신경 검사를 거치면서 따라야 하는 질서 정연한 접근 방식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환자 역사와 함께이 시험의 결과 묶는 연습은 의사가 근본적인 신경 질환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언제나처럼, 시청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사관은 각 신경을 수치 순서로 통과하는 질서 정연한 접근법을 개발하고 어떤 시험이 수행되고 어떤 결과를 문서화해야 합니다. 두개골 신경 검사에서 발견 된 이상은 검사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발성 경화증 (MS), 근상성 중력, 또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와 같은 질병의 다른 징후를 찾기 위해 심사관을 요구 운동 검사. 예를 들면, 더 낮은 두개골 신경의 모터 기능 장애, 종종 bulbar 약점 이라고, 근육 약화의 초기 징후 될 수 있습니다., ALS 또는 myasthenia gravis 같은 질병에서 볼 수 있듯이. 두개골 신경 검사에 이러한 사실 인정은 임상의가 가능한 진단에 도달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신경학시험의 나머지 부분을 집중하는 것을 도울 것입니다. 두개골 신경, 머리 및 목의 해부학에 대한 지식은 국소화와 진단 모두에서 중요합니다.
Systematic cranial nerve testing can sometimes give a clinician early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specific pathologic processes affecting the brain. Anatomically, the twelve cranial nerves arise from distinctive locations in the brain and innervate various head and neck structures, as well as several organs in the thorax and abdominal cavity.
The cranial nerve exam part one focused of nerves one through six. In this installment we will briefly review the functions of nerves seven through twelve, followed by demonstration of specific tests that can provide valuable diagnostic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amage of these specific nerves.
We will start with a short discussion of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cranial nerves VII to XII.
The cranial nerve VII is predominantly composed of motor fibers that supply muscles of facial expression. The facial nerve also carries taste information from the anterior two-thirds of the tongue and provides parasympathetic supply to the lacrimal,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s. Cranial nerve VIII, the vestibulocochlear nerve, consists of cochlear and vestibular divisions, which relay sound and equilibrium information, respectively, from the inner ear to medulla.
Cranial nerve IX, the glossopharyngeal nerve arises from medulla and innervates the posterior one-third of the tongue and soft palate. It also stimulates the parotid gland to secrete saliva, and supplies the stylopharyngeus muscle, which helps in swallowing. Therefore, damage to this nerve may lead to the absence of the normal gag reflex. On the other hand, cranial nerve X, the vagus nerve, which also rises from the medulla, is a widely distributed, complex nerve that innervates various structures in head, neck, thorax and abdomen. However, all the functions of this nerve are not tested during a routine physical exam.
Cranial nerve XI, the spinal accessory nerve, innervates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pezius. These muscles control turning the head to the side and shrugging of the shoulders. The cranial nerve exam concludes by testing cranial nerve XII, the hypoglossal nerve, which provides motor control of the muscles of the tongue involved in speech control and swallowing.
Now let’s review the systematic approach to examine this set of cranial nerves. Begin with the assessment of the facial nerve. Observe the patient’s face for signs of weakness, such as smoothing of nasolabial folds or widening of a palpebral fissure. Then have the patient raise their eyebrows and look for an inability to wrinkle their forehead on the involved side that can be seen in peripheral facial palsy, or the Bell’s palsy, which occurs due to facial nerve damage and manifests with unilateral weakness of both-the upper and lower facial muscles. This differs from the central facial palsy – seen in stroke patients with supranuclear lesion – which only affects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Next, ask the patient to smile. Note an asymmetry in the contour of the smile, which can result from inability to fully raise the lip on the affected side in patients with either peripheral or central facial nerve palsy. Following that, instruct the patient to close their eyes tightly and assess if they “bury” their lashes equally on both sides. Then ask them to close their eyes again, and keep it closed while you try to open them. And, finally, have the patient blow up their cheeks while you try to push the air out of their pursed lips.
The next step is to assess the taste sensation, for which you will need cotton-tipped applicator, sugar water solution, and water for rinsing the mouth. Tell the patient to stick out their tongue, so that you can swab the sides with the sugar solution. Ask the patient to identify the taste. After getting the patient’s response have them rinse their mouth and repeat the testing on the other side of tongue. Then, ask the patient to compare the sense of taste on each side of the tongue.
The next group of tests evaluates the cochlear division of the cranial nerve VIII, the acoustic nerve. The assessment of hearing function starts with observing whether or not the patient can hear you during the interview. Note if they are wearing hearing aids. First perform a quick hearing assessment by holding your fingers a few inches away from the patient’s ear and softly rubbing them together. Ask the patient if they can hear the finger rub, then repeat on the other side, and inquire if the perceived sound is same for both sides.
Next, if the patient shows signs of hearing impairment, move onto the Weber and Rinne tests, also known as the tuning fork tests. These are performed to distinguish between conductive hearing loss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Conductive hearing loss results from the external or middle ear disorders, such as otitis media or perforation of the eardrum.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occurs due to the damage of the cochlear nerve or the auditory pathways in the brain, which may result from aging, acoustic neuroma, or constant exposure to loud noises.
First let’s review the Weber test. Hit tuning fork tines with the heel of your hand and place the stem at the vertex of the patient’s head. Now ask the patient where they hear the sound. The sound produced by a tuning fork is conducted through both-air and vibration in the bones. Patients with normal hearing will hear the sound in the center of their head and equally in both ears. If the patient is experiencing hearing loss on one side, and if the nature of loss is sensorineural, then the sound lateralizes, or is perceived louder on the “good” side. Whereas, if the nature of loss is conductive, then the sound lateralizes to the “bad” side, since the well-functioning inner ear on this side might pick up the sound transmitted by the skull bones, causing it to be perceived as louder than the unaffected side.
If the Weber test is abnormal, move onto performing the Rinne test. For this, hit the tuning fork tines and place stem on the mastoid bone. Instruct the patient to say “now” when they no longer hear the tone and quickly move the tines adjacent to the outer ear canal. Ask the patient if they can still hear the sound. In the case of conductive hearing loss, the patient will hear the sound for a longer time when the tuning fork is on the bone, compared to when it is in the air near the external ear canal.
Next, evaluate the cranial nerves IX, the glosspharyngeal nerve and cranial nerve X, the vagus nerve, together. Begin by asking the patient to say one full sentence to determine if their speech has nasal quality, which is characteristic to palatal weakness.
After that, ask the patient to open their mouth and say, “AAH”. While the patient is doing so, observe the elevation of their soft palate and note if any asymmetry is present. In the cranial nerve X paralysis, the soft palate fails to rise and the uvula deviates towards the opposite side.
Following that, move to cranial nerve XI or the spinal accessory nerve evaluation. Start by asking the patient to shrug their shoulders upward. Then instruct them to repeat the movement, while you provide resistance by pushing the shoulders down to check for weakness or asymmetry. Next, instruct the patient to turn their head to one side, and ask them to resist your attempt to push their chin in the opposite direction. Repeat the test with the patient turning their head to the opposite side. This is done to assess the strength of the sternocleidomastoids muscle.
Conclude the examination by testing cranial nerve XII, the hypoglossal nerve. For this, ask the patient to open their mouth and first observe their tongue at rest. Look for fasciculations, as may be seen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other motor neuron diseases. Then instruct the patient to stick their tongue out straight; it should be in midline. Unilateral weakness may cause it to deviate towards the weak side.
For the final test assessing the strength of tongue muscles, ask the patient to push their tongue against their cheek, and instruct them to resist while to try to push it back in. Repeat on the other side, each time looking for weakness or asymmetry. This concludes the examination of all the cranial nerves.
You’ve just watched a JoVE video on examination of the cranial nerves from VII to XII. You should now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orderly approach that a clinician should follow while going through a comprehensive cranial nerve exam. The practice of tying together the findings of this exam with the patient history can help a physician gain an insight into the underlying neurological disease. As always, thanks for watching!
Related Videos
Physical Examinations III
151.5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77.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1.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0.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8.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0.6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6.4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2.7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3.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3.6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29.9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6.3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3.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2.0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1.1K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