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검정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관련성 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변인 사이의 간접관계는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직접적인 관계는 인과관계를 나타냅니다. 또한 변인 사이에 연결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관관계는 우연이 됩니다.
상관관계 대 인과관계
독립변인이 증가함에 따라 종속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두 변인 사이엔 정적인(종속변인이 증가) 상관관계 또는 부적인(종속변인이 감소)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이 관계성이 간접적이라면 상관관계 때문이고 직접적이라면 인과관계를 의미할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5개의 도마뱀 개채군에 발생하는 꼬리절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하여 꼬리가 없는 도마뱀의 수와 까마귀에 기생하는 진드기의 수 사이의 부적인 관련성을 찾아낸 경우, 이 결과는 변인 간의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냄과 동시에 까마귀에 기생하는 진드기가 도마뱀의 꼬리절단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만약 까마귀 수가 각 도마뱀 개체군 근처에서 측정되었다면 까마귀 수와 꼬리 없는 도마뱀 사이의 정적인 관련성이 발견 되었을 수 있습니다. 만약 까마귀의 위장의 내용을 조사해서 누락된 도마뱀 꼬리를 발견했다면 까마귀 수는 도마뱀이 잃어버린 꼬리의 수에 직접 영향을 끼쳤을 것입니다. 한편 도마뱀의 꼬리가 까마귀의 위장에서 발견되지 않았다면 상관관계가 우연일 수 있습니다.
이 예에서 중요한 것은 까마귀의 수와 까마귀 기생 진드기의 수 사이의 부적인 상관관계에 있습니다. 실제론 까마귀 기생 진드기의 수는 까마귀 수가 증가하며 함께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적인 상관관계). 또한 이 시나리오에서는 까마귀 기생 진드기 수와 꼬리가 없는 도마뱀의 수 사이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까마귀 개채수와 꼬리 없는 도마뱀 개체수 사이의 관련성과는 달리 까마귀 기생 진드기 수와 꼬리 없는 도마뱀 수 사이엔 인과관계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