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Login processing...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Behavior

전정 기능 장애 환자에서 전정 시스템 비대칭을 개선하기 위해 단방향 회전을 사용하여

Published: August 30, 2019 doi: 10.3791/60053

Summary

비대칭 반응을 가진 환자에서 전정 시스템을 재조정하기 위한 새로운 재활 방법이 제시되며, 이는 약한 쪽으로 단방향 회전으로 구성됩니다. 보상의 다감각적 측면을 향상시키기보다는 전정 경로를 직접 수정함으로써 1-2 세션 내에서 비대칭을 정상화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Abstract

전정 시스템은 머리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일상 적인 활동 중 균형 제어 및 시선 안정화에 기여하는 반사 를 중재합니다. 전정 센서는 뇌간에서 전정 핵에 머리와 프로젝트의 양쪽에 내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정 기능 장애는 종종 양측의 입력 사이의 비대칭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것은 현기증으로 명시된 회전의 환상을 생성할 수 있는 두 귀에서 비대칭 신경 입력 귀 귀 귀귀귀귀귀귀귀귀귀귀에서 귀귀귀에 있는 결과. 전정 시스템은 양측의 감각 말단 기관의 비대칭 정보가 중앙 수준에서 처리되는 방식을 재조정하는 역할을하는 인상적인 보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상을 촉진하기 위해 클리닉에서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그들은 주로 다감각 통합을 향상 하는 연습을 사용. 최근에는 일방적병변을 가진 동물의 현관-안구 반사(VOR)를 개선하기 위해 시력 전정 훈련도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간 과목에서 양측의 전정 활성을 재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 방법은 어두운 방향(320°s의 피크 속도)에서 약한 쪽으로 5개의 단방향 회전으로 구성됩니다. 이 방법의 효능은 VOR 비대칭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이중 맹검 임상 시험(정현파 회전에 대한 반응으로 방향우세에 의해 측정됨)에서 나타났다. 대부분의 경우, VOR 비대칭은 단일 세션 후 감소, 일주일에 처음 두 세션 내에서 정상 값에 도달, 그리고 효과까지 지속 6 주. 재조정 효과는 약한 측면에서 VOR 응답의 증가와 강한 측에서응답의 감소 모두에 기인한다. 사실 인정은 단방향 회전이 오랜 전정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에 있는 VOR 비대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독된 재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건의합니다.

Introduction

전정 기능 장애는 40 세 이상 성인에서 ~ 35 %의보급을 가진 일반적인 장애입니다 1. 대부분의 전정 장애는 양측의 입력 사이의 비대칭을 초래하여 현기증이라고 불리는 회전의 환상을 초래합니다. 정상적인 전정 기능이 없는 경우 간단한 일상 활동조차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정 기능 장애는 종종 현관 안구 반사 (VOR)에 의해 정량화됩니다. 걷기 나 달리기와 같은 자연 활동 중에 VOR는 반대 방향으로 눈을 움직이며 머리 움직임과 동일한 속도를 가지고 움직입니다. 이 반사는 ~ 5 ms의 짧은 대기 시간을 가지며, 간단한 3 뉴런 아크2를 통해 수평 평면에서 매개됩니다. 정보는 전정 수용체에서 전정 핵으로 이동한 다음 운동 뉴런을 압두센스로 이동합니다. 이러한 눈의 움직임은 일상 적인 활동 동안 수평 시선의 안정화 결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한 VOR의 대칭은 전정 기능의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일방적전정 기능 장애는 중앙 보상 변화와 중앙 에서 구동되는 주변 장치 변경을 생성하여 결함이 있는 비대칭 VOR및 그로 인한 전정 불균형을 극복합니다. 일방적인 전정 신경 절제술과 같은 영구적 인 전정 병변 후에도 현기증및 동반 증상은 짧은 기간 (며칠에서 몇 주)에 걸쳐 개선됩니다. 이 능력 때문에, 전정 시스템은 신경 통로에 있는 적응 그리고 보상을 공부하기 위한 모형이었습니다. 그것은 이전에 보여주었다3 중앙 전정 경로의 변화는 저자 중 하나에 의해 제안 된 가설에 따라 단방향 회전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다 (N.R.) 약 20 년 전. 다른 연구는 또한 전정 핵 (VN)4,5,6,7,8,8, 결합 통로를 포함하여 감각 통로의 다른 부분에 있는 보상 변경을 보여주었습니다 양측에 VN 사이9, 소뇌 입력10,그리고 전정 주변부(11) 이러한 보상 변화는 양쪽에 VN 뉴런의 활동에 새로운 균형을 초래한다.

두 귀에서 비대칭 입력을 보상하는 전정 시스템의 인상적인 능력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빠른 움직임에 대한 응답이 완전히12,13을보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연전정 보상은 시스템의 전체 용량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정된 VOR 반응은 시각 전정 훈련에 참여한 동물(14,15)에서개선될 수 있다. 전정 재활 운동은 균형 조절16,17의(비 전정) 다감각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만성 불균형 문제를 가진 환자에서 보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왔다. 18세 , 19세 , 20개 , 21. 이러한 전정 재활 운동의 목표는 증상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과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리적 또는 행동적 접근법을 사용하는것입니다 22,23.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활 방법은 "약한" 쪽으로단방향 회전을 사용하는 재활 방법(도 1A). 이 방법에 대 한 기본 아이디어는 Hebbian 가소성에서 온다, 신경 연결 자극 될 때 강한 되 고. 이 방법은 특히 다른 전정 재활 운동의 기초가되는 다감각 통합을 향상시키기보다는 전정 입력을 수정합니다. 이전 연구는 단방향 회전이 일방적 전정 기능 장애 환자에서 1-2 세션에서 VOR비대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이러한 효과는 주로 낮은 반응(LR)을 가진 측의 활성의 증가뿐만 아니라 더 높은 반응(HR)을 가진 측의 활성의 약간 감소에 기인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중앙 경로의 수정(예: VN 연결 또는 통신 입력의 변경과 같은 구심성 경로 의 강화)에 의해 매개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이 기술은 오랜 전정 비대칭을 가진 사람들의 전정 재활을위한 감독 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Protocol

여기에 제시되고 이전에 출판 된 데이터3 의학 과학의 샤히드 베헤쉬티 대학의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수행 된 연구에 의해 얻은, 테헤란, 이란과 의정서에 의해 승인된 대학의 기관 검토 위원회.

1. 참가자 선발 및 준비

  1. 1년 이상 밸런스 문제가 있는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참고 : 전정 보상은 병변 후 첫 달에 가장 효과적으로 발생합니다. 1 년 시점은 자연 보상이 고원에 도달하고 환자가 변동하는 전정 장애가 없는지 확인하기위해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었습니다.
  2. 환자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제외 기준을 사용합니다.
    1. 적절한 보상을 위해 요구되는 중앙 전정 통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추 신경계 문제 (예를 들면, 머리 외상, 치기, 뇌종양 등)의 역사.
    2. 변동 하는 전정 장애로 진단 (예를 들어, 양성 발작성 위치 현기증 [BPPV] 또는 Meniere의 질병).
    3. 다른 형태의 전정 재활 또는 신체 활동의 유형(예를 들어, 운동 선수)을 사용하는 환자는 단방향 회전 재활과 무관하게 전정 보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제외되어야 한다.
      참고: 이 기준은 연구 목적과 불필요한 변수에 대한 제어를 위해서만 제안됩니다.
  3.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참가자를 제한하지 마십시오.
    참고 : 다른 보상과 마찬가지로,이 재활 방법은 이전 과목에서 덜 뚜렷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참가자들에게 각 실험 세션 전에 적어도 1 일 동안 항히스타민 제 또는 항 현기증 약물을 포함하여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하지 말것을 지시하십시오.
  5. 참가자들에게 각 실험 세션 전에 암페타민과 카페인을 포함한 신경계 각성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시하십시오.
  6. 참가자에게 정상적인 기능을 손상시키는 양으로 알코올 음료를 마시지 말라고 지시하십시오.

2. 현관 안구 반사의 측정 (VOR)

  1. 비디오 니스타그노그래피(VNG) 또는 전기 스타그노그래피(ENG)를 사용하여 전신 회전 중에 VOR 반응을 측정합니다.
    참고: 결과 섹션에 제시된 데이터는 ENG에 의해 기록되었습니다. 동영상에 표시된 현재 장비는 VNG를 사용합니다.
  2. 헤드가 30° 코 아래로 위치하여 어둠 속에서 모든 녹음을 수행합니다.
    참고: 시각화를 위해 연관된 비디오는 어두운 환경에서 수행되지 않습니다.
  3. 참가자들에게 회전식 의자에 앉고, 하네스가 달린 의자에 고정하고, 적외선 고글을 착용하고, 머리 받침대의 머리를 ~30° 코 아래로 고정하도록 요청합니다.
  4. 참가자가 어둠에 적응한 후, 벽에 투사되는 레이저 표적을 ±10° 각도(예: 오른쪽, 왼쪽, 위 및 중간선 아래)로 보도록 요청하여 눈 신호를 보정합니다.
  5. 피사체가 준비되면 아이 트래커가 정확하게 보정되면 프로토콜 실행을 시작합니다.
  6. 모든 전정 검사 중에 주제를 경고하고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질문을 하거나 정신 연산을 하도록 하십시오(예: 100에서 거꾸로 계산).

3. 단방향 회전 자극

  1. 피사체가 회전 의자에 앉은 경우, 4초 이상 80°/s 2의 가속으로 구성된 단방향 회전을 사용하여 최대 속도 320°/s에 도달한 다음 10°/s2에서 천천히 감속합니다. 약 30s에서 중지합니다.
    참고: 느린 감속은 반대쪽을 자극하지 않도록 원활한 정지를 위해 특히 중요합니다.
  2. 1분 간격으로 5회 회전을 수행합니다. 5개의 회전을 함께 재활 세션으로 간주합니다(그림1B).
  3. 마지막 단방향 회전 후 의자에 피사체를 유지하여 40분 및 70분 후 단방향 회전에서 양방향 정현파 고조파 가속도(SHA) 회전 테스트를 통해 대칭을 테스트합니다.
    참고 : 의자에 환자를 유지하면 가변성이 감소합니다.
  4. 0.05Hz, 0.2Hz 및 0.8Hz의 주파수에서 60°s의 피크 속도로 다양한 정현파 회전을 사용하여 SHA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참고: 결과에 제시된 데이터의 경우 모든 평가에 0.2Hz(40°/s)의 정현파 회전이 사용되었습니다.

4. 실험 디자인

  1. VOR 비대칭을 테스트하고 중앙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초기 세션 동안 전정 테스트의 전체 배터리로 피험자를 평가합니다(아래 참조).
  2. 1주일 후, 피험자를 단방향 회전 및 SHA 테스트(단계 3.1-3.4)에 노출시다.
  3. 처음 2주 동안은 일주일에 2회, 다음 2주 동안은 주당 1회(총 6회의 세션)에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4. 각 세션의 시작 부분(3.4단계)과 끝(3.3 단계 및 3.4단계)에서 SHA 테스트를 관리하고 비대칭의 척도로 방향우성(DP)을 계산합니다.
    Equation
    어디에: VHR 및 VLR은 각각 더 높은 응답(HR) 및 낮은 응답(LR)을 가진 쪽으로 회전하는 동안 피크 눈 속도를 나타냅니다.
    참고: 방향 우세는 두 방향의 회전에 대한 피크 눈 속도의 차이에 대한 정규화된 측정값을 제공합니다. 주로 열량 응답에서 비대칭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SHA24,25,26,27,28에서VOR 비대칭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최종 세션으로서, 마지막 재활 세션 후 1주일 후에 또 다른 SHA 시험(단계 3.4)을 수행한다.

5. 세션 세부 정보

  1. 초기 세션
    1. 첫 번째 방문 중에 환자의 불균형 문제의 간략한 기록을 가지고 전정 비대칭 의 지속 기간을 확인하고 변동하는 장애의 징후를 확인하지 않습니다.
    2. saccades, 부드러운 추구, 광운동, 시선 유지, 위치 및 위치, 칼로리 및 회전 테스트를 포함한 전정 테스트의 전체 세트를 수행합니다.
    3. 회전 중에 VOR 비대칭을 가진 환자만 모집하며, 일반적으로 10% 이상의 비대칭 값을 가진 명확한 비정상적인 지향성 우세(DP)가 있습니다. 이는 각 피사체에 대한 초기(기준) DP로 간주됩니다.
      참고: 장비마다 다른 정상 범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에 지정된 범위를 사용하거나 실험실별 규범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4. 단방향 회전 절차 (한 세션에서 5 배)와 총 세션 수 (총 6 배)를 피험자에게 명확하게 설명하십시오.
    5. 피험자에게 현지 기관 검토 위원회(또는 미국 외부에서 수행된 실험에 대해 이와 동등한)가 승인된 동의서에 서명하도록 요청하는 한편, 어떤 이유로든 연구를 중단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알려주십시오.
  2. 단방향 회전 세션(6개 세션)
    1. 6개 세션(4.3단계 및 4.4단계)에서 피사체를 단방향 회전(단계 3.1-3.4)에 노출시다.
    2. 각 재활 세션의 시작 부분에서 SHA 테스트(단계 3.4)를 수행하고 DP 값을 계산합니다.
      참고 : 이것은 해당 세션에 대한 사전 재활 DP와 이전 세션에 대한 장기 재활 후 DP를 제공합니다.
    3. 재활 전 DP 값이 정상 범위(<10%)에 속하는 경우 단방향 회전 재활을 수행하지 마십시오. 세션에서 다음 세션에 대한 반환 을 지시합니다.
    4. 재활 전 DP가 비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 SHA 테스트 후 5분 간 기다렸다가 단방향 회전 재활을 수행합니다.
    5. 단방향 회전 재활(단계 3.4)의 종료 후 40분 및 70분 후에 두 번째 SHA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 세션에 대한 재활 후 DP를 계산합니다.
    6. 주제에게 다음 세션으로 돌아오도록 지시합니다.
  3. 최종 세션(7주차)
    1. SHA 테스트만 수행하고(3.4단계) DP 값을 계산합니다.
      참고: 이것은 최종 비대칭 측정으로 사용됩니다.
    2. 이 세션에서는 단방향 회전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Representative Results

단방향 회전의 단기 효과는 재활70분에서 0.2 Hz(40°/s) 정현파 회전 시험으로 VOR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3. 2는 두 방향의 회전에 대한 VOR 응답 동안피크 눈 속도를 나타내고(도2A)및 DP의 변화(도2B). 단방향 회전에 이어, 낮은 반응(LR)을 가진 측면 방향으로 회전에 대한 응답이 증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에 대한 응답이 증가(응답이 강한 방향[HR])가 감소하여 VOR 비대칭 및 DP 값이 감소합니다. 피험자가 비대칭 VOR 반응을 보였고 VOR 단계가 일반적인 대칭 이득을 가진 보상 된 환자에서 민감한 측정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응답의 위상은 현재 연구에서 계산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특히 낮은 주파수에서 회전26,29,30,31.

여러 세션 동안 피사체를 단방향 회전에 노출하여 DP 값을 더욱 감소시켰습니다. 이러한 재활의 효과는 세션 들 사이에 유지되었다 (그림2C),누적 효과는 단지 두 세션 후 정상 DP를 갖는 대부분의 과목 결과. 단기 효과와 유사하게, DP의 개선은 LR 측을 향한 회전에 대한 VOR 응답의 증가와 HR측을향한 회전 동안 VOR 응답의 감소의 결과3.

Figure 1
그림 1: 단방향 회전은 양측 사이의 비대칭을 감소시입니다. (A) 단방향 회전 뒤에 가설을 보여주는 회로도. 더 낮은 반응 (LR)과 더 높은 응답 (HR, 빨간 화살표)와 측면의 억제와 측면의 자극은 직접 구심성 입력뿐만 아니라 commissural 입력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이것은 LR 뉴런의 반응의 증가 및 양측 사이의 비대칭 감소 (검은 색 화살표)를 초래한다. (B) 실험설계 및 회전 패러다임.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2
그림 2: 단방향 회전의 단기 및 장기 효과. (A) 첫 번째 세션과 단방향 회전 후 70분 동안, 피크 아이 속도(°/s)는 더 낮은 반응(LR)을 가진 쪽으로의 회전에 대한 응답이 14% 증가하고, 더 높은 반응으로 측면을 향한 회전에 대해 1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HR, n = 16).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LR: 25.0 ±2.2 vs. 26.75±5.3°/s, 페어링된 학생의 t 검, p= 0.23; HR의 경우: 35.0±3.6 vs. 26.0±4.4°/s, 페어링된 학생의 t-test, p=0.15),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오류 막대는 SEM. (B) 해당 DP 값이 크게 감소 (페어링 된 학생의 t 테스트, p = 0.0006) 및 정상 값에 도달했습니다. 오류 막대는 SEM을 나타냅니다. (C) 단방향 회전의 효과는 더 긴 기간 동안 유지되고 누적되었습니다. 세션 전 값은 세션에서 재활 전에 측정되었고 세션 후 값은 해당 세션에서 재활 후 70 분 측정되었습니다. 음수 DP 값은 연구의 시작 부분에 비해 비대칭 방향의 반전을 나타냅니다. 세션은 그림 1B 회로도와 비슷합니다. 오류 막대는 SEM을 나타냅니다. 이 그림은 사데기 외3.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ussion

여기에 제시 된 재활 방법은 전정 불균형과 VOR 비대칭 환자에서 덜 반응 (LR) 측면을 향해 어둠 속에서 반복 단방향 회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재활 기술은 균형16,17,18,19,20을개선하기 위해 다감각 통합을 향상시킵니다. 여기에 제시된 방법은 전정 경로를 대상으로 하며, 그 효과는 LR 측의 VN의 반응 증가및 HR 측의 VN 반응의 감소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LR 측에서 센서 및 신경의 단방향 자극과 HR 측의 동시 감소로 인해 구심성 VN 시냅스에서 매개될 수 있다. 또한 전정 보상9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커미션 입력의 변화를 통해 VN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메커니즘에 관계없이이 방법은 양측의 응답에서 비대칭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전 연구는 반복 회전이 정상 동물과 인간32,33,34,35,36,37에서반응의 습관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조적으로 보이지만 시스템이 비대칭을 보정할 때 조건이 다릅니다. 더욱이, 단방향 회전의 설계에서 중요한 단계는 다른 쪽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매우 느린 감속을 가지는 것이다. 이전 연구 중 어느 것도 그러한 비대칭 자극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과목은 두 세션 후 정상적인 DP를 보여 여기에 발견되었다3. 이것은 환자가 그들의 진행 상황을 결정하고 미래 세션을 위한 계획을 결정하기 위하여 2개의 세션 후에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건의합니다. 게다가, DP에 있는 변경이 망막 미끄러짐의 주관적인 인식에 있는 변경과 상관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습니다. 향후 연구는 단방향 회전 세션 전후에 표준화된 전정/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러한 관계를 평가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VOR 비대칭의 변화는 낮은 회전 주파수(0.2 Hz)에서만 평가되었다. 1) VOR 단계 또는 2)에 대한 이 치료의 효과는 이 개선이 더 높은 회전 주파수로 또는 현관 척추 경로로 전달되는지 여부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정의 및 감독 운동은 가정에서 수행 할 수있는 감독되지 않은 운동에 비해 환자에서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잘 알려져있다38,39,40,41,42 ,43. 여기서, 단방향 회전을 수행하기 위해, 고가의 로터리 의자가 이 방법의 사용을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성공적인 단방향 회전을 위한 두 가지 중요한 매개 변수는 가속 및 느린 감속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피크 속도이며, 이는 환자가 훈련된 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부착될 수 있는 모든 회전 의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습니다. 비대칭 회전을 수행하거나 텔레 헬스 접근법을 사용하여 파트너에게 알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대체 저기술 접근법은 이 전정 재활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훨씬 저렴한 대안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예비 연구에서, 단방향 회전은 보상된 단계에서조차 환자에서 VOR 비대칭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결과는 이 방법이 오랜 전정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에서도 전정 재활을위한 효과적인 감독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losures

저자는 공개 할 것이 없다.

Acknowledgments

N. R. 의료 과학 및 건강 서비스의 샤히드 베헤쉬티 대학에서 연구 기금에 의해 지원되었다. S. G. S. NIDCD R03 DC015091 교부금에 의해 지원되었다.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VEST operating and analysis software NeuroKinetics
Electronystagmograph Nicolet Spirit Model 1992 Equipment used for collecting the data presented in the Results section
I-Portal NOTC (Neurotologic Test Center) NeuroKinetics Equipment shown for current studies and shown in the movie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Agrawal, Y., Ward, B. K., Minor, L. B. Vestibular dysfunction: prevalence, impact and need for targeted treatment.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23 (3), 113-117 (2013).
  2. Huterer, M., Cullen, K. E. Vestibuloocular reflex dynamics during high-frequency and high-acceleration rotations of the head on body in rhesus monkey. Journal of Neurophysiology. 88 (1), 13-28 (2002).
  3. Sadeghi, N. G., Sabetazad, B., Rassaian, N., Sadeghi, S. G. Rebalancing the Vestibular System by Unidirectional Rota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Vestibular Dysfunction. Frontiers in Neurology. 9, 1196 (2018).
  4. Beraneck, M., et al. Long-term plasticity of ipsilesional medial vestibular nucleus neurons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Journal of Neurophysiology. 90 (1), 184-203 (2003).
  5. Beraneck, M., et al. Unilateral labyrinthectomy modifies the membrane properties of contralesional vestibular neurons. Journal of Neurophysiology. 92 (3), 1668-1684 (2004).
  6. Sadeghi, S. G., Minor, L. B., Cullen, K. E. Neural correlates of motor learning in the vestibulo-ocular reflex: dynamic regulation of multimodal integration in the macaque vestibular system. Journal of Neuroscience. 30 (30), 10158-10168 (2010).
  7. Sadeghi, S. G., Minor, L. B., Cullen, K. E. Multimodal integration after unilateral labyrinthine lesion: single vestibular nuclei neuron responses and implications for postural compensation. Journal of Neurophysiology. 105 (2), 661-673 (2011).
  8. Sadeghi, S. G., Minor, L. B., Cullen, K. E. Neural correlates of sensory substitution in vestibular pathways following complete vestibular loss. Journal of Neuroscience. 32 (42), 14685-14695 (2012).
  9. Galiana, H. L., Flohr, H., Jones, G. M. A reevaluation of intervestibular nuclear coupling: its role in vestibular compensation. Journal of Neurophysiology. 51 (2), 242-259 (1984).
  10. Cullen, K. E., Minor, L. B., Beraneck, M., Sadeghi, S. G. Neural substrates underlying vestibular compensation: contribution of peripheral versus central processing. Journal of Vestibular Research. 19 (5-6), 171-182 (2009).
  11. Sadeghi, S. G., Minor, L. B., Cullen, K. E. Response of vestibular-nerve afferents to active and passive rotations under normal conditions and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Journal of Neurophysiology. 97 (2), 1503-1514 (2007).
  12. Sadeghi, S. G., Minor, L. B., Cullen, K. E. Dynamics of the horizontal vestibuloocular reflex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response to high frequency, high acceleration, and high velocity rotatio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75 (3), 471-484 (2006).
  13. Halmagyi, G. M., Black, R. A., Thurtell, M. J., Curthoys, I. S. The human horizontal vestibulo-ocular reflex in response to active and passive head impulses after unilateral vestibular deafferenta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04, 325-336 (2003).
  14. Maioli, C., Precht, W. On the role of vestibulo-ocular reflex plasticity in recovery after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lesio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59 (2), 267-272 (1985).
  15. Ushio, M., Minor, L. B., Della Santina, C. C., Lasker, D. M. Unidirectional rotations produce asymmetric changes in horizontal VOR gain before and after unilateral labyrinthectomy in macaque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10 (3-4), 651-660 (2011).
  16. Whitney, S. L., Rossi, M. M. Efficacy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Otolaryng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33 (3), 659-672 (2000).
  17. Telian, S. A., Shepard, N. T. Update on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Otolaryng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9 (2), 359-371 (1996).
  18. Hall, C. D., et al. Treatment for Vestibular Disorders: How Does Your Physical Therapist Treat Dizziness Related to Vestibular Problems. Journal of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40 (2), 156 (2016).
  19. Hillier, S., McDonnell, M. Is vestibular rehabilitation effective in improving dizziness and function after unilateral peripheral vestibular hypofunction? An abridged version of a Cochrane Review.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Rehabilitation Medicine. 52 (4), 541-556 (2016).
  20. Denham, T., Wolf, A. Vestibular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Management. 10 (3), 93-94 (1997).
  21. Cooksey, F. S. Rehabilitation in Vestibular Injuri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39 (5), 273-278 (1946).
  22. Enticott, J. C., Vitkovic, J. J., Reid, B., O'Neill, P., Paine, M. Vestibular rehabilitation in individuals with inner-ear dysfunction: a pilot study. Audiology and Neurootology. 13 (1), 19-28 (2008).
  23. Cohen, H. S., Kimball, K. T. Increased independence and decreased vertigo after vestibular rehabilitation. Otolaryngological Head and Neck Surgery. 128 (1), 60-70 (2003).
  24. Baloh, R. W., Halmagyi, G. M. Disorders of the vestibular system. ,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5. Furman, J. M., Cass, S. P., Furman, J. M. Vestibular disorders: a case-study approach. , 2nd ed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6. Brey, R. H., McPherson, J. H., Lynch, R. M. Balance Func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Jacobson, G. P., Shepard, N. T. , Plural Publishing. 253-280 (2008).
  27. Funabiki, K., Naito, Y. Validity and limitation of detection of peripheral vestibular imbalance from analysis of manually rotated vestibulo-ocular reflex recorded in the routine vestibular clinic. Acta Otolaryngology. 122 (1), 31-36 (2002).
  28. Zalewski, C. K. Rotational Vestibular Assessment. , Plural Publishing. (2018).
  29. Furman, J. M., Cass, S. P. Ch. 17. Disorders of the vestibular system. Baloh, R. W., Halmagyi, G. M. , Oxford University Press. 191-210 (1996).
  30. Desmond, A. Vestibular fun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 Thieme. (2004).
  31. Shepard, N. T., Goulson, A. M., McPherson, J. H. Ch. 15. Balance func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Jacobson, G. P., Shepard, N. T. , Plural Publishing Inc. 365-390 (2016).
  32. Clement, G., Flandrin, J. M., Courjon, J. H. Comparison between habituation of the cat vestibulo-ocular reflex by velocity steps and sinusoidal vestibular stimulation in the dark.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42 (2), 259-267 (2002).
  33. Clement, G., Tilikete, C., Courjon, J. H. Retention of habituation of vestibulo-ocular reflex and sensation of rotation in huma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90 (3), 307-315 (2008).
  34. Clement, G., Tilikete, C., Courjon, J. H. Influence of stimulus interval on the habituation of vestibulo-ocular reflex and sensation of rotation in humans. Neuroscience Letters. 549, 40-44 (2013).
  35. Cohen, H., Cohen, B., Raphan, T., Waespe, W. Habituation and adaptation of the vestibuloocular reflex: a model of differential control by the vestibulocerebellum. Experimental Brain Research. 90 (3), 526-538 (1992).
  36. Maxwell, S. S., Burke, U. L., Reston, C. The effect of repeated rotation on the duration of after-nystagmus in the rabbit.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58, 432-438 (1922).
  37. Griffith, C. R. The Ettect Upon the White Rat of continued Bodily Rotation. American Naturalist. 54, 524-534 (1920).
  38. Shepard, N. T., Telian, S. A. Programmatic vestibular rehabilitation. Otolaryngologicla Head and Neck Surgery. 112 (1), 173-182 (1995).
  39. Itani, M., Koaik, Y., Sabri, A. The value of close monitoring in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y. The Journal of Laryngology & Otology. 131 (3), 227-231 (2017).
  40. Pavlou, M., Bronstein, A. M., Davies, R. A. Randomized trial of supervised versus unsupervised optokinetic exercise in persons with peripheral vestibular disorder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7 (3), 208-218 (2013).
  41. Kao, C. L., et al. Rehabilitation outcome in home-based versus supervised exercise programs for chronically dizzy patien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1 (3), 264-267 (2010).
  42. Topuz, O., et al. Efficacy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on chronic unilateral vestibular dysfunction. Clinical Rehabilitation. 18 (1), 76-83 (2004).
  43. Black, F. O., Pesznecker, S. C. Vestibular adaptation and rehabilitation. Current Opinion in Otolaryngological Head and Neck Surgery. 11 (5), 355-360 (2003).

Tags

행동 문제 150 보상 현관 - 안구 반사 방향 우세 재활 현기증
전정 기능 장애 환자에서 전정 시스템 비대칭을 개선하기 위해 단방향 회전을 사용하여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Rassaian, N., Sadeghi, N. G.,More

Rassaian, N., Sadeghi, N. G., Sabetazad, B., McNerney, K. M., Burkard, R. F., Sadeghi, S. G. Using Unidirectional Rotations to Improve Vestibular System Asymmetry in Patients with Vestibular Dysfunction. J. Vis. Exp. (150), e60053, doi:10.3791/60053 (2019).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