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대립 유전자(multiple allele)는 세 가지 이상의 대립유전자(allele) 형태로 존재하는 유전자(gene)를 설명합니다. 인간과 같은 이배체(diploid) 유기체는 보통 유전자당 두 개의 대립유전자만 가지고 있지만, 인구로 따지면 많은 (사실 대부분의) 인간 유전자는 여러 개의 대립유전자, 즉 복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혈액형은 복대립유전자의 한 예입니다. 인간에게는 IA, IB, i, 이렇게 혈액형(HBB 유전자)에 대한 세 가지 대립유전자가 있습니다.
겸상적혈구 빈혈(sickle cell anemia)은 베타글로빈(beta-globin) 유전자(HBB)에 생기는 돌연변이(mutation)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불완전 현성(incomplete dominance; 불완전 우성; 주: 우성/열성은 현성/잠성으로 개선해야 할 표현입니다)의 한 예입니다. 이 질환은 겸상적혈구 대립유전자의 사본 두 개가 필요하며, 겸상적혈구 대립유전자에 대한 동형접합자(homozygote)는 혈관을 막는 낫 모양의 딱딱한 적혈구를 생산합니다. 정상적인 베타글로빈 대립유전자에 대한 동형접합자는 혈관 속을 쉽게 이동하는 원반 모양의 유연한 적혈구를 만듭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대립유전자 하나와 겸상적혈구 대립유전자 하나를 가진 이형접합자(heterozygote)는 정상적인 적혈구와 낫 모양의 적혈구를 모두 만드는데, 이를 “겸상적혈구 형질(trait)을 가지고 있다”고 부릅니다. 이런 이형접합자는 낮은 산소 농도를 경험하지 않는 한 질환에 따른 합병증을 거의 앓지 않습니다. 이렇게 이형접합자가 정상 적혈구와 낫 모양의 적혈구를 모두 가진 중간 표현형(intermediate phenotype)을 나타내는 것은 불완전 현성의 예입니다.
겸상적혈구 이형접합자의 정상 적혈구 세포 대립유전자와 낫 모양 적혈구 세포 대립유전자는 적혈구 세포에서 거의 동일한 수준의 단백질 생성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겸상적혈구 이형접합자는 분자 수준에서 공동현성(codominance; 공동우성; 공우성)을 보입니다.
혈액형은 공동현성의 또 다른 예입니다. IA, IB, 그리고 i는 모두 인간의 혈액형 대립유전자입니다. IA 대립유전자와 IB 대립유전자는 각각 A 항원(antigen) 단백질과 B 항원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i 대립유전자는 항원 단백질을 전혀 암호화하지 않습니다. IA와 IB는 i보다 현성이며, O형 혈액형을 가지려면 i의 사본 두 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IA와 IB는 공동현성적입니다. 따라서, IAIB 이형접합적(heterozygous)인 사람에게선 A 항원과 B 항원이 모두 발현되고 이 항원들을 각 적혈구의 표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93.3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104.3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223.1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68.8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79.3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35.8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33.2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62.6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41.5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35.9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20.0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59.3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49.6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48.9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93.9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37.2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21.2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49.2K views
Classical and Modern Genetics
37.5K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