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전자 수송 사슬 : 복합체 I 및 II

Electron Transport Chain: Complex I and II
JoVE Core
Cell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Cell Biology
Electron Transport Chain: Complex I and II
Please note that all translation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12,741 Views

01:46 min
April 30, 2023

Overview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사슬(ETC)은 진핵 세포의 주요 에너지 생성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는 산화적 인산화 중 큰 전자 흐름으로 인해 세포 독성 활성 산소종(ROS)도 생성합니다. 복합체 I은 과산화물 라디칼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이지만, 복합체 II에 의한 ROS 생성은 드물며 돌연변이된 복합체가 있는 암세포에서만 관찰될 수 있습니다.

ROS 생성은 건강한 세포에서 정상적인 세포 신호 전달 과정에 필요한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되고 유지됩니다. 그러나 암세포는 더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암세포 사멸을 일으키지 않고 종양 형성 촉진 경로를 유발하는 수준에서 ROS 유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암세포는 산화 환원 환경이 변경되어 높은 ROS 생산 속도가 높은 ROS 소거 속도의 균형을 맞춥니다. 암세포의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정상 세포보다 ROS 수치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만듭니다. ETC의 규칙적인 전자 흐름을 방해하는 억제 화합물도 미토콘드리아 세포 사멸 경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metform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펜레티나이드(fenretinide)와 같은 ETC 억제제는 호흡기 복합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합니다. 이는 암세포의 항산화 능력을 초과하는 수준까지 ROS 생산을 증가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킵니다.

복합체 I은 미토콘드리아 호흡 기능을 차단하고 췌장암 및 유방암 세포를 포함한 여러 유형의 암세포에서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인 메트포르민에 의해 억제됩니다. 복합체 II의 돌연변이는 드물지만 말초 신경계의 경동맥 신체 감각 기관의 종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암 외에도 전자 전달 사슬 복합체의 비정상적인 활동이나 결핍은 인간의 신경 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의 경우 복합체 I의 기능이 부족합니다. 마찬가지로, II복합체의 결함은 헌팅턴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Transcript

미토콘드리아 내막은 고에너지 운반체, NADH 및 FADH2에서 에너지적으로 내리막 순서로 저에너지 전자 수용체-산소로 전자를 운반하는 일련의 5개의 다중 소단위 효소 복합체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복합체인 NADH-Q 산화환원효소는 시리즈에서 가장 큰 효소 복합체로, NADH에서 코엔자임 Q로 전자를 전달합니다.

이 L자형 복합체는 45개의 서로 다른 소단위를 포함하며, 그 중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7개를 암호화합니다. 주요 촉매 성분은 NADH 결합 부위, 1차 전자 수용체(FMN) 및 다중 철-황 클러스터입니다.

두 번째 복합체는 구연산 회로와 전자 전달 사슬의 일부입니다. 석시네이트에서 FADH2 로 전자를 운반하고 마지막으로 철-황 클러스터를 통해 코엔자임 Q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이 복합체는 석시네이트-Q 환원효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은 두 개의 친수성 소단위체(A와 B)를 가진 핵으로 인코딩된 사량체입니다. Subunit-A는 FAD 보조인자와 숙시네이트 결합 부위를 가진 플라보단백질입니다. Subunit-B는 3개의 철-황 클러스터를 가진 철-황 단백질입니다. 다른 두 소단위인 C와 D는 Q-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소수성 통합막 단백질입니다.

Key Terms and definitions​

Learning Objectives

Questions that this video will help you answer

This video is also useful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