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Login processing...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Medicine

비만 성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의 급성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 시험

Published: December 1, 2023 doi: 10.3791/65478

Summary

이 연구는 비만 개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량의 급성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작위 대조 시험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Abstract

근력 운동(SE)의 급성 세션은 몇 시간 동안 인슐린 감수성(IS)을 개선합니다. 그러나 SE 부피(즉, 세트 수)의 효과는 철저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SE가 없는 것보다 낫고 더 많은 것이 IS 개선에 더 좋다는 것은 직관적이지만, 질병이 있는 인구, 특히 빠르게 걷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는 비만 성인에게는 많은 양의 세션을 완료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비만 성인의 IS에 대한 SE의 급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임상 시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포함 기준은 체질량 지수>30kg/m2, 중심 비만(허리둘레 >여성과 남성 각각 88cm, >102cm), 연령>40세)입니다. 참가자는 SE(주요 근육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7가지 운동)에 익숙해진 다음 무작위 순서로 3개의 세션을 수행합니다: 세션 1 - 대용량 세션(3세트/운동); 세션 2 - 저용량 세션(1세트/연습); 세션 3 - 제어 세션(운동 없음). 식단은 세션 전날과 당일에 관리됩니다. 세션은 밤에 완료되고 다음날 아침에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를 수행하여 포도당과 인슐린의 곡선 아래 면적(AUC), Matsuda 지수, Cederholm 지수, 근육 IS 지수 및 Gutt 지수와 같은 IS의 여러 지수를 도출합니다. 파일럿 연구에 따르면, 대조군 세션에 비해 대용량 세션 후 IS(인슐린 AUC, Matsuda 및 Cederholm 지수)가 ~15% 개선되고, 저용량 세션 후에는 ~8%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연구는 대량 SE 세션이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시간과 노력의 1/3을 투자하여 IS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인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Introduction

근력 운동이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만성적인 영향은반복적으로 나타났지만1,2,3, 격렬한 근력 운동만으로도 최대 48시간 동안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4. 이 효과는 건강한 당뇨병 환자(5,6,7,8), 비만인 환자9, 노인 환자(10),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4, 제2형 당뇨병 환자(11)에서 입증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보고되지 않았으며, 12,13,14,15,16,17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불분명하다.

최근의 내러티브 리뷰(narrative review)18에서는 근력 운동량(운동당 세트 수)이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 의하면 21세트 이상으로 구성된 세션은 21세트 미만으로 구성된 세션에 비해 인슐린 작용이 더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그러나 문헌의 제한된 증거만이 이 개념을 직접적으로 뒷받침합니다. 예를 들어, 고강도 운동량(30세트)은 저강도(10세트)보다 포도당 대사를 더 많이 개선했습니다20. 그러나 이 연구는 전통적인 근력 운동과의 비교를 제한하는 서킷 스타일의 근력 운동을 구현했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8세트 프로토콜에 비해 32세트 근력 운동 프로토콜 후에 더 나은 인슐린 감수성이 관찰되었다21. 그러나 세트 이후의 노력 정도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아마도 대용량 프로토콜 이후에 더 컸을 것입니다. 이는 노력의 정도(또는 주어진 반복의 동심원 운동의 실패로 인해 세트를 계속할 수 없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동심원 근부전과의 근접성)도 인슐린과 포도당 대사를 개선하는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어 왔기 때문에 중요하다18. 따라서, 방법론적 한계와 함께 이 주제에 대한 제한된 연구들은 근력 운동량이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추론을 배제한다.

근력 운동량을 논의할 때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근력 운동량이 본질적으로 시간 투자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운동량이 적다는 것은 체육관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운동 프로그램을 지키지 않는 이유 중 시간 부족은 목록의 맨 위에 있습니다22. 따라서, 인슐린 감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저용량 근력 운동 세션은 더 적은 시간 투입을 의미하며23 더 높은 장기 순응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 무언가를 성취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자기인식)과 쾌락감과 재미감(즐거움)과 같은 주관적 감정도 운동 순응도와 관련이 있다24,25,26. 사람들이 건강 개선으로 이어지는 저용량 근력 운동 세션을 수행할 때 더 자신감을 느끼고 운동 경험을 더 즐길 수 있다고 추측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위에 요약된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비만 개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량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무작위, 대조, 교차 임상 시험을 위한 프로토콜을 설명합니다. 2차 목표로, 근력 운동량이 주관적 감정(자기 효능감, 애정,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이 프로토콜은 무작위, 대조, 3방향, 교차 임상 시험을 설명합니다. 프로토콜의 연대순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건강 기록 및 인체 측정 측정(체질량, 키, 허리둘레 및 체성분)에 대한 사전 참여 평가; 팀의 공인 영양사와의 약속; 근력 운동 및 주관적 감정 설문지에 익숙해지는 기간; 각 운동의 근력 평가; 세션 순서의 무작위 할당; 3 세션 (7-28 일 간격)의 수행, 주관적 감정 설문지에 대한 답변이 바로 이어집니다. 다음날 아침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OGTT); 및 데이터 분석. 그림 1 은 프로토콜 설계를 설명합니다.

Figure 1
그림 1: 스터디 설계. 임상시험 방법론의 순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만(체질량 지수[BMI] >30kg/m2; 허리둘레 >102/88cm) 피험자; 2 : 인체 측정 평가 및 친숙화; 3: 고용량 근력 운동 세션(21세트), 4: 저용량 근력 운동 세션(7세트) 또는 5: 대조군에 무작위 할당; 6 : 표준 식사 다음 세션; 7 : 잠을 자고 밤새 금식하십시오. 8 : 경구 포도당 내성 테스트.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Protocol

연구 프로토콜과 정보에 입각한 동의서를 지역 기관 검토 위원회(IRB) 또는 지역 연구 윤리 위원회(REC)에 제출하여 연구에 대한 윤리적 허가를 받습니다. 임상시험은 IRB 또는 REC 승인 후에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제시된 결과는 피험자가 등록 전에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파일럿 연구의 결과입니다. IRB 또는 REC 승인 후 임상시험(https://clinicaltrials.gov)과 같은 공개 리포지토리에 프로토콜을 전향적으로 등록합니다. 귀하의 국가에 국가 저장소가 있는 경우 해당 프로토콜에 등록하십시오(예: 브라질에는 브라질 임상 시험(https://ensaiosclinicos.gov.br)이 있음). 본 연구는 현지 IRB(인증번호 CAAE 63190422.0.0000.5108)의 승인을 받았으며 임상시험 등록부(ReBEC #RBR-3vj5dc5 https://ensaiosclinicos.gov.br/rg/RBR-3vj5dc5)에 전향적으로 등록되었습니다.

1. 자원봉사자 선발 및 준비

  1. 시행에 필요한 표본 크기 계산
  2. 다음과 같은 피험자를 선택하십시오 : 비만 (체질량 지수 >30kg / m2); 중심 비만(남성/여성의 경우 허리 둘레 > 102/88cm); >40세;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3. 당뇨병 또는 기타 대사 질환,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신장 질환, 호흡기 질환 및 골관절 질환의 징후, 증상 또는 존재를 보이는 피험자제외 27; 예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사용 보고(경구 피임약포함28) 단백 동화 스테로이드 사용보고; 연구 기간 동안 임신 중이거나 임신할 계획이 있습니다. 카페인, 베타-알라닌, 크레아틴, 중탄산나트륨 등 운동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건강 보조 식품 섭취에 대해 설명하십시오29.
  4. 정보에 입각한 동의서에 참가자의 서명을 받아 개인 사물함에 보관하십시오.

2. 참가자의 체성분 측정

  1. 이 연구에서는 체지방량, 무지방 질량 분석에 대한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측정법을 통해 체성분을 평가합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확립된 방법(즉, Bod Pod, 수중 계량, 피부 접기)을 사용할 수 있다.

3. 식이 조절

  1. 연구팀의 공인 영양사와 약속을 잡아 참가자에게 3일(주중 2일, 주말 1일) 식단을 기록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2. 참가자의 에너지 요구량과 음식 섭취량을 기반으로 영양사와 함께 음식 계획을 개발하여 세션 전날과 당일에 등칼로리 식단을 보장합니다30.

4. 숙지

  1. 참가자들에게 최소 2일 간격으로 5회의 친숙화 세션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1. 팸트립세션 1
      1. 참가자에게 리프팅 형태에 대해 지시합니다: 7가지 근력 운동(1 - 헥스 바 스쿼트, 2 - 벤치 프레스, 3 - 레그 프레스, 4 - 랫 풀다운, 5 - 레그 익스텐션, 6 - 숄더 프레스, 7 - 레그 컬).
      2. 참가자에게 OMNI-RES 척도30을 기반으로 노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지시합니다.
      3.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4. 참가자가 OMNI-RES 척도에 따라 쉽다고 생각하는 7가지 운동 또는 레벨 3과 4 사이에서 각각 8회씩 3세트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5. 세트와 운동 사이에 90-120초의 회복을 허용하십시오.
    2. 팸트립세션 2
      1. 참가자에게 애정 척도31,32, 신체 활동 즐거움 척도(PACES) 32,33 및 자기 효능감 척도 34에 답하는 방법을 지시합니다.
      2.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전에 애정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3.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4. 참가자가 OMNI-RES 척도에 따라 어렵거나 레벨 5에서 7 사이의 어렵다고 생각하는 7가지 운동 각각에서 8회씩 3세트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5. 세트와 운동 사이에 90-120초의 회복을 허용하십시오.
      6.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후 애정 척도, PACES 및 자기 효능감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3. 팸트립세션 3
      1.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전에 애정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2.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3. 참가자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7가지 운동 각각에서 8회씩 3세트를 수행하거나 OMNI-RES 척도에 따라 레벨 7과 9 사이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4. 세트와 운동 사이에 90-120초의 회복을 허용하십시오.
      5.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후 애정 척도, PACES 및 자기 효능감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4. 팸트립세션 4
      1.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전에 애정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2.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3. 참가자가 OMNI-RES 척도에 따라 어렵고 극도로 어렵거나 레벨 9와 10 사이로 간주되는 7가지 운동 각각에서 8회씩 3세트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4. 세트와 운동 사이에 90-120초의 회복을 허용하십시오.
      5. 참가자가 친숙화 세션 후 애정 척도, PACES 및 자기 효능감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5. 팸트립세션 5
      1. 참가자가 강도 테스트를 모방하도록 합니다(5단계의 세부 정보 참조). 팸트립 세션 사이의 간격은 최대 7일이 될 수 있으며 지연된 근육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일정을 잡을 수 있습니다.
        알림: 이 마지막 친숙화 세션은 참가자가 강도 테스트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1) 참가자가 동심 부전18 또는 이에 매우 가까운 시기에 세트를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2) 근육 손상이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철저한 숙지 기간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35,36,37.

5. 강도 테스트 (최대 8 회 반복)

  1. 마지막 익숙화 세션 후 총 8시간 이상(최대 72일 이하) 동안 7가지 운동 각각에서 근력 테스트(최대 7회 반복[RM])를 수행합니다.
    1.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2. 참가자가 각 운동 전에 저부하(12회 반복, RM의 40%-50%, 3-4 OMNI 스케일)로 4세트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3. 참가자가 좋은 자세로 8번이 아닌 9번을 반복할 수 있는 예상 하중에 맞게 무게를 조정합니다. 이 하중을 기록합니다.
    4. 참가자가 좋은 자세를 잃거나 동심원 근육 부전으로 인해 8회 반복을 수행할 수 없거나 참가자가 피로로 인해 자발적으로 세트를 중단하는 경우 부하를 5-10% 줄이고 3-5분 동안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시도하십시오.
    5. 참가자가 9회 반복할 수 있는 경우 부하를 5-10% 높이고 3-5분 동안 휴식을 취한 후 다시 시도합니다.
    6. 참가자가 8회가 아닌 9회를 반복하고 부하를 기록할 수 있을 때까지 5.1.4단계와 5.1.5단계를 반복합니다.
      참고: 평가자 간 변동성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연구팀 구성원이 모든 참가자와 강도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7. 위에서 설명한 운동과 동일한 순서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1-육각 바 스쿼트; 2-벤치 프레스; 3-레그 프레스; 4-위도 풀다운; 5-다리 확장; 6-숄더 프레스; 7 - 레그 컬, 운동 사이에 최소 3분 허용.
      알림: 강도 테스트가 모방될 다섯 번째 친숙화 세션의 성능에 대한 예상 부하를 기반으로 합니다. 과도한 피로를 피하려면 각 운동의 첫 번째 시도에서 8RM 부하를 찾는 것이 가장 좋지만 2번의 시도는 허용됩니다.

6. 무작위 세션 할당

  1. 각각 고용량, 저용량 및 컨트롤을 나타내는 숫자 1, 2 및 3으로 임의의 시퀀스를 인쇄하고 각 시퀀스를 불투명하고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진 봉투 안에 삽입하고 봉투를 밀봉합니다.
  2. 봉투를 열어 강도 테스트 후 세션 순서를 표시합니다.
    참고: 6.1단계는 데이터 수집에 직접 관여하지 않거나 봉투를 열 책임이 없는 연구 협력자가 수행해야 합니다.

7. 블라인드 데이터 수집

  1. 참가자에게 전날 밤에 수행한 세션을 OGTT가 수행될 임상 실험실의 직원에게 공개하지 않도록 지시합니다.
  2.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연구 협력자가 코드를 사용하여 OGTT의 데이터를 별도의 스프레드시트에 이중 입력하여 참가자의 신원과 수행된 세션을 숨기도록 합니다.
    참고: 이 연구 설계(운동)에 내재된 특성으로 인해 참가자와 치료사 모두의 눈을 멀게 할 수 없습니다.

8. 운동 세션

  1. 세션 1 - 대용량
    1. 참가자에게 세션 전 최소 2일 동안 중강도에서 고강도 운동을 하지 않도록 지시합니다.
    2. 참가자에게 세션 전날과 당일에 영양사가 처방한 식단을 따르도록 지시합니다. 마지막 식사는 오후 6시 30분입니다.
    3. 참가자에게 오후 7시 30분에 체육관에 보고하도록 지시합니다.
    4. 참가자가 오후 7시 55분에 운동 세션 전에 애정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5. 참가자가 5-3km/h의 속도로 러닝머신을 걸으면서 4분 동안 워밍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6. 참가자가 3RM 테스트의 부하로 7가지 운동 각각에서 가능한 한 많은 반복(동심원 근육 부전 또는 참가자가 자발적으로 세트를 중단할 때까지)으로 8세트를 수행하고 각 세트의 반복 횟수를 기록하도록 합니다.
    7. 참가자에게 각 세트와 기록 후 OMNI-RES 척도를 기반으로 노력을 평가하도록 요청합니다. 세트와 운동 사이에 120초 동안 회복할 수 있습니다.
    8. 참가자가 세션을 마친 후 애정 척도, PACES 및 자기 효능감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9. 참가자가 오후 9:00-9:30 사이에 세션 후 식사를 섭취하도록 하고 참가자에게 OGTT가 수행될 다음 날 아침까지 다른 것(물 제외)을 섭취하지 말고 집으로 보내도록 지시합니다.
  2. 세션 2 - low-volume
    1. 8.1.1단계부터 8.1.3단계까지 반복합니다. 참가자가 오후 8시 35분에 애정 척도에 답하도록 합니다. 8.1.5단계를 반복합니다.
    2. 참가자가 1RM 테스트의 부하로 7가지 운동 각각에서 가능한 한 많은 반복(동심원 근육 부전이 발생할 때까지 또는 참가자가 자발적으로 세트를 중단할 때까지)으로 8세트를 수행하고 각 세트의 반복 횟수를 기록하도록 합니다.
    3. 8.1.7 - 8.1.9단계를 반복합니다.
  3. 세션 3 - 제어일
    1. 8.1.1에서 8.1.4까지 절차를 반복합니다.
    2. 참가자를 각 운동/장비에 30초 동안 위치시키되(활성 설정 시간 모방) 근육 수축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시합니다(또는 단순히 운동/장비에 가만히 있도록).
    3. 8.3.2 운동 모두에 대해 3 개의 가짜 세트에 대해 7 단계를 반복합니다 (세션 1을 모방하지만 근육 수축은 없음).
    4. 8.1.7 - 8.1.9단계를 반복합니다.

9. OGTT 및 데이터 분석

  1. 참가자들에게 오전 7:00에서 7:30 사이에 실험실에 보고하도록 지시합니다.
  2. 38,39에 설명된 대로 공복 혈액 샘플을 수집합니다.
  3. 참가자에게 300mL 용액에 담긴 포도당 75g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포도당 섭취 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합니다.
  4. 38,39에 설명된 대로 모든 혈액 샘플에서 혈장 포도당 및 혈청 인슐린 농도를 측정합니다. OGTT에서 데이터를 플로팅합니다.
  5. a) 사다리꼴 규칙40에 따라 포도당 및 인슐린에 대한 AUC를 계산합니다. b) 경구 포도당 인슐린 감수성 지수41; c) 마츠다 인슐린 감수성 지수42; d) 세데르홀름 지수43; e) 근육 인슐린 감수성 지수44,45; f) Gutt 지수46; g) 아비뇽 외 색인47; h) Stumvoll et al. 색인48.

10. 통계 분석

  1. 7.2단계부터 코딩된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할당에 대한 블라인드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2. 데이터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현합니다. Shapiro-Wilk 검정을 사용하여 데이터 정규성을 평가합니다. 정규 분포 데이터의 경우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유의한 주효과가 관찰되면 사후 Tukey 검정을 사용합니다.
  3. 비모수 데이터의 경우 Kruskal-Wallis의 검정 또는 Friedman의 검정을 사용합니다. p 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 유의성을 고려하십시오.
  4. 모든 통계가 실행된 후 할당을 표시합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Representative Results

그림 2는 OGTT 동안 포도당(그림 2A)과 인슐린(그림 2B)에 대한 대표적인(파일럿 연구에서) 반응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포도당 및 인슐린 값의 피크는 30분 측정에서 관찰되며, 이후 120분 측정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합니다. 포도당 피크가 낮을수록 결과가 더 좋아지는데, 이는 간 포도당 생성이 억제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피크 후 포도당 감소가 빠를수록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포도당 처리가 더 빠르다는 것을 나타냅니다(일반적으로 골격근 포도당 흡수와 관련됨). 인슐린의 경우 값이 낮을수록 혈당 조절을 위해 췌장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적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 해석은 기능적 베타 세포를 가진 개인에게만 유효한데, 기능 장애(또는 사멸) 베타 세포를 가진 개인은 OGTT 동안 인슐린 반응이 낮지만 혈당 반응은 높기 때문입니다.

Figure 2
그림 2: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 비만 성인의 경우 운동 없음(대조군) 후 경구 포도당 내성 검사에 대한 혈당(A) 및 인슐린(B) 반응, 21세트 근력 운동(고용량) 및 7세트 근력 운동(저용량) 프로토콜. 평균(막대) 및 표준 편차(오차 막대)로 표시되는 데이터입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3은 OGTT에서 파생된 인슐린 감수성 지수를 보여줍니다. 가장 흔한 것은 포도당(그림 3A)과 인슐린(그림 3B) AUC입니다. AUC가 낮을수록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표준 포도당 챌린지 후 혈당과 인슐린 농도가 낮은 사람은 인슐린 감수성이 더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인슐린 감수성 지수는 OGTT의 결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그림 3C-I). 인슐린 감수성을 추정하기 위해 OGTT의 다른 매개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결과는 지수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저용량 및 고강도 운동이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표에서 패턴이 유사하지만 후자의 조건에서 우수한 결과가 관찰됩니다.

Figure 3
그림 3. 인슐린 감수성 지수. 비만 성인의 경구 내당능 검사에서 파생된 인슐린 민감도(IS) 지수(ISI) 지수(ISI) 반응, 비만 성인의 근력 운동(고용량) 및 7세트 근력 운동(저용량) 프로토콜. 포도당(A) 및 인슐린(B) 곡선 아래 영역(AUC), 구강 포도당(OG) IS(C), 마츠다 ISI(D), Cederholm ISI(E), 근육 ISI(F), Gutt ISI(G), 아비뇽 ISI(H) 및 Stumvoll ISI(I). *p<0.05; p<0.001 - Tukey 사후 테스트. 데이터는 개별 값(플롯), 평균(막대) 및 표준 편차(오차 막대)로 표시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ussion

이 논문은 비만 성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량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작위 대조 시험의 단계를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무작위 대조 시험은 편견 없는 방식으로 치료의 인과 관계를 확립하기 위한 최고의 연구 프로토콜이다49,50.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차설계를 채택할 것인데, 이는 모집된 모든 피험자가 무작위 순서로 각 조건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1 교차연구는 피험자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이월 효과가 있는 장기 치료에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이 설계는 데이터 변동성을 줄이고 결론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참가자 수를 줄인다52.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의 급성 효과는 48시간이상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세션 사이의 간격은 최소 7일이며 참가자는 3가지 조건만 완료하므로 본 연구 설계가 연구 질문에 성공적으로 답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프로토콜의 몇 가지 중요한 측면을 다룰 가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력 운동이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큰 근육량을 모으는 다관절 운동을 처방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사람들도 있다18. 이 프로토콜에서 7가지 운동 중 5가지(데드리프트, 벤치 프레스, 레그 프레스, 랫 풀다운, 숄더 프레스)는 다관절이고, 나머지 2개는 단일 관절이지만 큰 근육량(레그 익스텐션 및 레그 컬)을 모집합니다. 또한, 인슐린과 포도당 수치 감소로 알 수 있듯이 동심원 근육 부전에 가까운 세트를 수행하는 것이 혈당 조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18. 이러한 이유로 현재 프로토콜의 집합은 동심 실패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결과, 21세트 이상으로 구성된 근력 운동 세션은 21세트 미만인 세션에 비해 인슐린 작용이 더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 동일한 7개 운동에서 1세트에 대한 선택은 1/3 기간의 세션이 비만 피험자가 완료하는 데 더 실행 가능하고 더 높은 장기 순응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본 연구에서 우리가 사용한 긴 숙지 기간은 익숙하지 않은 편심 기반 근력 운동이 인슐린 감수성의 급격한 악화를 초래한다는 관찰에 근거하고 있다.36,37 이는 후속 세션에서 역전된다35. 또한 참가자들이 실패에 대한 세트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만하고 신체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은 피험자의 경우 철저한 숙지 기간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음식 섭취가 인슐린 감수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53,54 본 프로토콜에서는 전날과 각 세션의 당일에 식이 섭취를 통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OGTT55에서 파생된 지수를 계산하여 인슐린 감수성 평가를 설명합니다. 고인슐린혈증 혈당 클램프는 생체 내 인슐린 감수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황금 표준으로 간주되지만(56), 이는 고도로 훈련된 인력을 필요로 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침습적인 절차이다(57). 또한, 시술에서 얻어진 지속적인 고인슐린혈증은 식사에서 75g의 포도당을 섭취하는 것에 대한 일슐린혈증 반응과는 대조적으로 정상적인 생리학(58)을 재생하지 못한다고 주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기술된 OGTT 유도 지수는 0.61 내지 0.9657 사이에서 변하는 고인슐린혈증-유글리세믹 클램프와 높은 상관계수를 갖는다. 더욱이, OGTT는 연속된 날에 걸쳐 인슐린 감수성을 추정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고 일관된 방법임이 밝혀졌다59, 그리고 틀림없이 포도당 대사에 대한 근력 운동의 급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4,7,10,11,12,13,17,20,37,60,61,62입니다. 따라서, OGTT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7,10,11,12,13,17,20,37,60,61,62, 생존 가능(57), 재현 가능(59), 강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인슐린 감수성을 평가하기 위한 저렴하고 간단한 생리학적 방법이다57 골드 스탠다드 고인슐린혈증-유혈당 클램프 방법 사용.

표시된 결과는 4명의 비만 개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파일럿 연구에서 나온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파일럿 연구는 분명히 전력이 부족하여 비만 개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량의 효과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배제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저용량 근력 운동이 고용량 근력 운동과 같은 정도는 아니지만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저용량 운동 프로토콜은 고용량 프로토콜에 비해 1/3의 시간이 걸리고(각각 18분 대 55분) 더 나은 정서적 및 즐거움 반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저용량 근력 운동 프로토콜은 더 높은 운동 순응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더 큰 건강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연구의 결과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많은 양의 근력 운동이 어렵거나 의욕을 떨어뜨리는 사람들을 위한 근력 운동 프로토콜의 처방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losures

저자는 선언할 이해 상충이 없습니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국가과학기술개발위원회(CNPQ: Grant#407975/2018-7 and # 402091/2021-3)와 미나스제라이스 주 연구개발청(FAPEMIG: Grant# APQ-00008-22)의 지원을 받습니다. 연구비 제공자는 본 연구의 설계에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으며, 연구 수행, 데이터 해석 또는 결과 보고에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연구 수행에 필요한 장비와 공간(DXA, 근력훈련실, 근력운동 기구 등)을 제공하는 Jequitinhonha 및 Mucuri Valleys 연방대학교(브라질 Diamantina-MG)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GE DXA, Lunar, iDXA Advanced for assessing body composition
G*Power program  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 Germany version 3.1.9.6 for calculating sample size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Ismail, A. D., et al. The effect of short-duration resistance training on insulin sensitivity and muscle adaptations in overweight men. Experimental physiology. 104 (4), 540-545 (2019).
  2. Jiahao, L., Jiajin, L., Yifan, L.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insulin sensitivity in the elderly: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Exercise Science and Fitness. 19 (4), 241-251 (2021).
  3. Liu, Y., et al.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is correlated with attenuation of HbA1c and insuli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 (1), (2019).
  4. van Dijk, J. W., et al. Both resistance- and endurance-type exercise reduce the prevalence of hyperglycaemia in individual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in insulin-treated and non-insulin-treated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ologia. 55 (5), 1273-1282 (2012).
  5. Koopman, R., et al. A single session of resistance exercise enhances insulin sensitivity for at least 24 in healthy 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4 (1-2), 180-187 (2005).
  6. Andersen, E., Høstmark, A. T. Effect of a Single Bout of Resistance Exercise on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the Next Day in Healthy, Strength-Trained Men. Th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1 (2), 487 (2007).
  7. Tong, T. K., Kong, Z., Shi, X., Shi, Q. Comparable Effects of Brief Resistance Exercise and Isotime Sprint Interval Exercise on Glucose Homeostasis in Men. Journal of Diabetes Research. 2017, (2017).
  8. Monroe, J. C., Naugle, K. M., Naugle, K. E. Effect of Acute Bouts of Volume-Matched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Protocols on Blood Glucose Level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4 (2), 445-450 (2020).
  9. Bittel, A. J., et al. A Single Bout of Premeal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Postprandial Glucose Metabolism in Obese Men with Prediabet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53 (4), (2021).
  10. Fluckey, J. D., et al.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on glucose tolerance in normal and glucose-intolerant subject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7 (3), 1087-1092 (1994).
  11. Fenicchia, L. M., et al. Influence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glucose control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53 (3), 284-289 (2004).
  12. Gordon, B. A., Fraser, S. F., Bird, S. R., Benson, A. C. Insulin sensitivity not modulated 24 to 78h after acute resistance exercis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15 (5), 478-480 (2013).
  13. Gordon, B. A., Fraser, S. F., Bird, S. R., Benson, A. C. Insulin sensitivity in response to a single resistance exercise session in apparently healthy individuals. Journal of Endocrinological Investigation. 35 (7), 665-669 (2012).
  14. Malin, S. K., Hinnerichs, K. R., Echtenkamp, B. G., Evetovich, T. K., Engebretsen, B. J. Effect of adiposity on insulin action after acute and chronic resistance exercise in non-diabetic wo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3 (12), 2933-2941 (2013).
  15. Moreno-Cabañas, A., et al. One Bout of Resistance Training Does Not Enhance Metformin Actions in Prediabetic and Diabetic Individual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54 (7), (2022).
  16. Luebbers, P. E., et al. Glucose Uptake After Resistance Training of Different Intensities but of Equal Work Volum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2 (4), 1094-1100 (2008).
  17. Chapman, J., Garvin, A. W., Ward, A., Cartee, G. D. Unaltered insulin sensitivity after resistance exercise bout by postmenopausal wome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4 (6), 936-941 (2002).
  18. Brown, E. C., Franklin, B. A., Regensteiner, J. G., Stewart, K. J. Effects of single bout resistance exercise on glucose levels, insulin action, and cardiovascular risk in type 2 diabetes: A narrative review.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34 (8), (2020).
  19. Ishiguro, H., et al. In Search of the Ideal Resistance Training Program to Improve Glycemic Control and its Indication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46 (1), 67-77 (2016).
  20. Reed, M. E., Ben-Ezra, V., Biggerstaff, K. D., Nichols, D. L. The Effects of Two Bouts of High- and Low-Volume Resistance Exercise on Glucose Tolerance in Normoglycemic Wo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6 (1), 251-260 (2012).
  21. Black, L. E., Swan, P. D., Alvar, B. A. Effects of Intensity and Volume on Insulin Sensitivity During Acute Bouts of Resistance Training.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4 (4), 1109-1116 (2010).
  22. Carballo-Fazanes, A., et al. Physical Activity Habits and Determinants, Sedentary Behaviour and Lifestyle in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 (9), 3272 (2020).
  23. SCHOENFELD, B. J., et al. Resistance Training Volume Enhances Muscle Hypertrophy but Not Strength in Trained Me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51 (1), 94-103 (2019).
  24. Neupert, S. D., Lachman, M. E., Whitbourne, S. B. Exercise Self-Efficacy and Control Beliefs: Effects on Exercise Behavior after an Exercise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7 (1), 1-16 (2009).
  25. Gjestvang, C., Abrahamsen, F., Stensrud, T., Haakstad, L. A. H. Motives and barriers to initiation and sustained exercise adherence in a fitness club setting—A one-year follow-up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30 (9), (2020).
  26. Collado-Mateo, D., et al. Key factors associated with adherence to physical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older adults: An umbrell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 (4), (2021).
  27. Riebe, D., et al. Updating ACSM’s Recommendations for Exercise Preparticipation Health Scree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47 (11), 2473-2479 (2015).
  28. Cortés, M. E., Alfaro, A. A. The effects of hormonal contraceptives on glycemic regulation. Linacre Quarterly. 81 (3), (2014).
  29. Kerksick, C. M., et al. ISSN exercise & sports nutrition review update: research & recommendations. , 1-57 (2018).
  30. ROBERTSON, R. J., et al. Concurrent Validation of the OMNI Perceived Exertion Scale for Resistance Exercis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5 (2), 333-341 (2003).
  31. Hardy, C. J., Rejeski, W. J. Not What, but How One Feels: The Measurement of Affect during Exercis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1 (3), (2016).
  32. Alves, E. D., Panissa, V. L. G., Barros, B. J., Franchini, E., Takito, M. Y. Translation, adaptation, and reproducibility of the Physical Activity Enjoyment Scale (PACES) and Feeling Scale to Brazilian Portuguese. Sport Sciences for Health. 15 (2), (2019).
  33. Kendzierski, D., DeCarlo, K. J. Physical Activity Enjoyment Scale: Two Validation Studie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3 (1), (2016).
  34. McAuley, E., Lox, C., Duncan, T. E. Long-term maintenance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physiological change in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48 (4), (1993).
  35. Chen, T. C., et al. Changes in Insulin Sensitivity and Lipid Profile Markers Following Initial and Secondary Bouts of Multiple Eccentric Exercises. Frontiers in Physiology. 13, (2022).
  36. Jimenez, C., Santiago, M., Sitler, M., Boden, G., Homko, C. Insulin-Sensitivity Response to a Single Bout of Resistive Exercise in Type 1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18 (4), 564-571 (2009).
  37. Gonzalez, J. T., Barwood, M. J., Goodall, S., Thomas, K., Howatson, G. Alterations in whole-body insulin sensitivity resulting from repeated eccentric exercise of a single muscle group: A pilot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Nutrition and Exercise Metabolism. 25 (4), 405-410 (2015).
  38. Ismail, A. D., et al. The effect of short-duration resistance training on insulin sensitivity and muscle adaptations in overweight men. Experimental Physiology. 104 (4), 540-545 (2019).
  39. de Matos, M. A., et al.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Improves Markers of Oxidativ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of Individuals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Frontiers in Physiology. 9 (OCT), (2018).
  40. Carbohydrate Homeostas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83 (5), 237-246 (1970).
  41. Mari, A., Pacini, G., Murphy, E., Ludvik, B., Nolan, J. J. A Model-Based Method for Assessing Insulin Sensitivity From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Diabetes Care. 24 (3), 539-548 (2001).
  42. Matsuda, M., DeFronzo, R. A. Insulin sensitivity indices obtained from oral glucose tolerance testing: comparison with the euglycemic insulin clamp. Diabetes Care. 22 (9), 1462-1470 (1999).
  43. Cederholm, J., Wibell, L. Insulin release and peripheral sensitivity at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0 (2), 167-175 (1990).
  44. Abdul-Ghani, M. A., Matsuda, M., Balas, B., DeFronzo, R. A. Muscle and Liver Insulin Resistance Indexes Derived From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Diabetes Care. 30 (1), 89-94 (2007).
  45. de Matos, M. A., et al.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Improves Markers of Oxidative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of Individuals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Frontiers in Physiology. 9, (2018).
  46. Gutt, M., et al. Validation of the insulin sensitivity index (ISI0,120): comparison with other measure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7 (3), 177-184 (2000).
  47. Avignon, A., Bœgner, C., Mariano-Goulart, D., Colette, C., Monnier, L. Assessment of insulin sensitivity from plasma insulin and glucose in the fasting or post oral glucose-load 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3 (5), (1999).
  48. Stumvoll, M., van Haeften, T., Fritsche, A., Gerich, J.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dexes for Insulin Sensitivity and Secretion Based on Various Availabilities of Sampling Times. Diabetes Care. 24 (4), 796-797 (2001).
  49. Kendall, J. M. Designing a research project: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d their principles.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 (2), (2003).
  50. Moher, D., et al. CONSORT 2010 explanation and elaboration: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sed trials. BMJ (Clinical research ed.). 340, (2010).
  51. Sibbald, B., Roberts, C. Understanding controlled trials Crossover trials. BMJ. 316 (7146), (1998).
  52. Lim, C. Y., In, J. Considerations for crossover design in clinical stud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74 (4), (2021).
  53. Taylor, H. L., et al. Post-exercise carbohydrate-energy replacement attenuates insulin sensitivity and glucose tolerance the following morning in healthy adults. Nutrients. 10 (2), (2018).
  54. Johnson-Bonson, D. A., et al. Interactive effects of acute exercise and carbohydrate-energy replacement on insulin sensitivity in healthy adults.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 Physiologie appliquee, nutrition et metabolisme. 46 (10), (2021).
  55. Patarrão, R. S., Wayne Lautt, W., Paula Macedo, M. Assessment of methods and indexes of insulin sensitivity. Revista Portuguesa de Endocrinologia, Diabetes e Metabolismo. 9 (1), 65-73 (2014).
  56. DeFronzo, R. A., Tobin, J. D., Andres, R. Glucose clamp technique: A method for quantifying insulin secretion and resistanc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Endocrinology Metabolism and Gastrointestinal Physiology. 6 (3), (1979).
  57. Monzillo, L. U., Hamdy, O. Evaluation of Insulin Sensitivity in Clinical Practice and in Research Settings. Nutrition Reviews. 61 (12), 397-412 (2003).
  58. Radziuk, J. Insulin Sensitivity and Its Measurement: Structural Commonalities among the Methods 1.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5 (12), (2000).
  59. Gordon, B. A., Fraser, S. F., Bird, S. R., Benson, A. C. Reproducibility of multiple repeated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94 (3), (2011).
  60. Beaudry, K. M., Surdi, J. C., Mari, A., Devries, M. C. Exercise mode influences post-exercise glucose sensitivity and insulin clearance in young, healthy males and females in a sex-dependent manner: A randomized control trial. Physiological Reports. 10 (13), (2022).
  61. Aguiar, S. daS., et al. Acute metabolic responses following different resistance exercise protocols. Applied Physiology, Nutrition and Metabolism. 43 (8), 838-843 (2018).
  62. Venables, M. C., Shaw, C. S., Jeukendrup, A. E., Wagenmakers, A. J. M. Effect of acute exercise on glucose tolerance following post-exercise feed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0 (6), 711-717 (2007).

Tags

의학 202호
비만 성인의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근력 운동의 급성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 시험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Rocha Silva, L. F., Chaves Garcia,More

Rocha Silva, L. F., Chaves Garcia, B. C., Mang, Z. A., Amorim, F. T., Dias-Peixoto, M. F., Gripp, F., Tricoli, V., Magalhães, F. d. C.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Study the Acute Effects of Strength Exercise on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Adults. J. Vis. Exp. (202), e65478, doi:10.3791/65478 (2023).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