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로버트 이 살리스,메릴랜드 카이저 퍼머넌트, 폰타나, 캘리포니아, 미국
무릎은 대퇴골과 경골을 연결하는 힌지 관절입니다. 그것은 신체에서 가장 큰 관절이며, 하반신의 중간에 위치로 인해 다양한 외상및 퇴행성 력을 받습니다. 무릎의 검사는 매우 복잡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그것은 다양한 인대에 의해 함께 개최하고 충격 흡수제 역할을하고 관절의 접촉 영역을 증가 menisci에 의해 지원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관절이기 때문에. 또한 슬개골은 무릎 앞에 놓여 있으며, 달리기와 발로 뛰는 데 필요한 무릎의 강력한 연장을 허용하는 풀크럼 역할을합니다. 바디에 있는 가장 큰 sesamoid 뼈로, 무릎은 외상 또는 과용과 관련있는 고통의 일반적인 근원입니다.
무릎을 검사 할 때, 전체 허벅지, 무릎, 하반신이 노출되도록 충분한 옷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은 주요 해부학 적 랜드 마크의 검사 와 촉진으로 시작, 환자의 운동 범위의 평가 (ROM). 무릎 검사는 인대 또는 반월 상 연골 부상에 대한 테스트와 파텔로페모랄 기능 장애 및 슬개골의 탈구에 대한 특별 테스트와 함께 계속됩니다. 반대 쪽 무릎은 부상당한 무릎을 평가하는 표준으로 사용되어야한다, 그것은 이전에 부상하지 않은 경우.
1. 검사
2화 팔기
3. 동작 범위 (ROM)
무릎 관절의 ROM은 일반적으로 환자가 supine 거짓말을하면서 수동적으로 평가됩니다. 무릎은 다음 동작을 확인해야합니다 :
4. 인대 검사
5. 메니스칼 테스트
반월 상 연골 부상에 대 한 평가 하기 위해 수행 하는 테스트는 종종 거짓 긍정의 높은 비율과 특이 하지 않습니다. 설명된 일반적인 반월상 연골 시험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6. 슬개골 테스트
여러 테스트는 patellofemoral 기능 장애, 통증 또는 탈구에 대 한 평가 할 수 있습니다. 슬개골 검사는 환자가 척추 위치에 누워 있는 것으로 수행됩니다.
그 위치 때문에, 무릎은 외상과 퇴행성 력의 다양한 대상이되고, 그 복잡한 구조는 무릎 검사를 매우 복잡하게만든다.
무릎은 신체에서 가장 큰 관절이지만, 그것은 다양한 인대에 의해 함께 개최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관절의 접촉 영역을 증가 하는 menisci에 의해 지원, 충격 흡수제 역할을. 본체에서 가장 큰 세사모이드 뼈인 슬개골은 무릎 앞에 놓여 있으며, 사두근 페모리스 힘줄과 슬개골 힘줄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무릎의 강력한 확장을 허용 하는 충 청 역할을, 실행 같은 활동에 필요한, 슬개골 외상 또는 남용에 관련 된 통증의 일반적인 소스를 만들기.
여기에서는 관련 해부학 적 일러스트와 결합된 포괄적 인 무릎 검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필수 단계를 검토 할 것입니다. 우리는 또한 무릎 평가 도중 우연히 만날 수 있는 각종 사실 인정의 진단 관련성을 설명할 것입니다.
대부분의 근골격계 시험과 마찬가지로 검사와 자극부터 시작합시다. 시작하기 전에 환자가 무릎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충분한 옷을 제거했는지 확인하십시오. 절뚝거리는, 고통, 붓기, 절충, 자궁 내막 및 쿼드 위축을 관찰하는 동안 환자에게 앞뒤로 걸어 가도록 요청하십시오. 환자가 부상당한 무릎이 있는 경우 비부상 무릎은 평가의 표준으로 사용되어야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다음 단계는 촉진입니다. 환자를 만지기 전에 손을 철저히 씻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환자에게 시험 테이블에 앉은 다음 척추를 내려 놓도록 하십시오. 슬개골 주위의 붓기를 평가하여 시작합니다. 무릎 위와 아래에서 아래로 우유를 내려 놓고 손가락으로 슬개골을 밀어 내려와 그 위와 아래에 있는 액체를 감상하십시오. 다른 쪽에서 도 마찬가지입니다. 슬개골 앞에 팽윤은 슬개골 의 앞에 팽윤은 슬개골 뒤에 액체의 존재가 무릎 합동 유출 및 가능성이 중요한 내부 교활을 건의하는 반면, 전 슬개골 활액 낭염 또는 감염을 건의합니다.
다음으로, 부드러움을 위해 경골 덩이 줄기를 만지작시다. 이것은 슬개골 힘줄의 삽입 부위입니다. 환자의 무릎을 구부리고 근위 경골의 전방 표면에 거친 돌출을 느낍니다. 결핵에 부드러움은 어린이와 청소년 인구에 있는 Osgood Schlatter의 질병을 건의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서, 스트롱골 바로 위에 시작하여 슬개골의 하부 극으로 확장 넓은 밧줄 같은 구조인 슬개골 힘줄을 만지작시다. 힘줄을 따라 부드러움은 염증을 나타냅니다.
거기에서, 슬개골 주변 지역을 만지질, 이번에는 부드러움을 확인합니다. 열등한 극에서 시작한 다음 내측과 측면측면을 만지시고 마지막으로 슬개골 의 상단을 느껴보십시오. 열등한 극의 부드러움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신딩-라센 질병을 제안할 수 있으며, 주변 또는 그 아래에서 는 파텔로페모덕 통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단위에는 슬개골 전 활액염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조인트 라인을 느껴보십시오. 슬개골 힘줄의 양쪽에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을 넣어, 다음 측면과 내측을 따라 밀어, 관절 라인에서 부드러움이나 통증을 확인, 존재하는 경우, 반월 상 연골 눈물 이나 골관절염을 제안.
마지막으로, 무릎의 내측 과 측면 측면을 만지설. 내측 대퇴 추도사에서 시작, 내측 측부 인대의 부착 사이트, 이는 근위 내측 경골에 콘딜에서 확장. 다음으로 전방 내측 조인트 라인 바로 아래에 위치한 페스 안세린 부르사(pes anserine bursa)를 확인하여 부드러움을 확인하십시오. 그 후, 측면 대퇴 추도, 측면 측부 인대의 시작 부위를 만지작시면 근위 측경경과 비골에 삽입 될 때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엉덩이에서 측면측면을 따라 달리는 일리오티비어 밴드를 만지작거리고 거디의 결핵에서 경골에 부착합니다.
시험의 검사 및 심P가 완료된 후에는 무릎의 운동 범위를 테스트하십시오.
supine 위치에있는 동안 환자는 완전히 다리를 곧게하고 확장을 테스트하기 위해 약간 들어 올립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0° 각도를 표시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무릎 굴곡을 확인하십시오. 수동적으로, 가능한 한 자신의 엉덩이에 가까운 자신의 발 뒤꿈치를 가져와 환자의 무릎을 구부립니다. 이 모션의 범위는 약 130°여야 합니다. 제한된 경우 관절 절충액 또는 사두근 경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환자가 앉은 위치로 전환하고 무릎을 곧게 하도록 요청하십시오. 이는 엑스텐서 메커니즘의 무결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수동적이거나 능동적이며 구부러지고 확장되기 때문에 손바닥을 무릎 위에 놓아 움직임에 의해 생성되는 만져볼 수 있는 연삭인 크레피투스에 대한 느낌을 줍니다. 이 표시는 거의 임상적으로 중요 한, 통증과 관련 된 하지 않는 한, 삼혈, 또는 운동의 제한.
위에서 언급한 모든 기동을 수행한 후 다양한 특수 테스트를 사용하여 무릎의 구조를 평가하십시오. 이들 중 첫 번째는 인대 테스트입니다. 이러한 기동은 내측 및 측부 인대의 통증과 느슨함을 평가하고, MCL, LCL, ACL 및 PCL로 축약된 전방 및 후방 십자 인대는 각각 평가합니다.
MCL 및 LCL 검사의 경우, 먼저 한 손으로 발목에서 들어 올려 환자의 무릎을 곧게 한 다음 다른 손을 사용하여 약 20 °로 구부리십시오. MCL을 평가하려면 무릎을 구부린 자세로 유지하고 발목을 바깥쪽으로 밀어 서 발거 스트레스를 가하십시오. 그런 다음 무릎을 연장하여 똑같이 하십시오. LCL을 확인하려면 손 위치를 전환하고 발목을 내측으로 밀어 내측으로 밀어 바루스 스트레스를 적용한 다음 구부러지도록 하십시오. 두 경우 모두, 이 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증과 느슨함에 의해 인대 부상을 득점.
다음 몇 가지 테스트, 즉 Lachman 테스트와 전방 서랍 테스트는 ACL을 검사합니다. Lachman 검사를 위해 환자에게 다리를 이완한 다음 무릎을 약 20° 각도로 구부립니다. 그리고 한 손으로 근위 경골을 앞으로 당기면서 다른 손으로 대퇴골을 밀어 내다. 이 기동으로 ACL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엔드 포인트에 대한 느낌이 듭니다.
다음으로, 전방 서랍 테스트를 실시합니다. 그런 다음, 움직이지 않도록 발에 앉습니다. 양검골이 뒤쪽 관절선에 양검골으로 무릎 바로 아래에 손을 놓고 양골이 앞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합니다.
후방 서랍 테스트와 처진 사인 찾기 – 두 가지 기동에 따라 – PCL을 평가합니다. 후방 서랍 테스트의 경우, 환자가 전방 서랍 테스트처럼 무릎을 구부린 다음 슬개골 힘줄의 양쪽에 두 엄지 손가락을 넣고 경골의 상부 측면에 뒤로 당기고 밀어 넣습니다. 상당한 변위는 PCL 부상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새그 사인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환자의 무릎이 90 °로 구부러지고 시험 테이블에 평평하게 발을 디디는 경우; 경골이 대퇴골에 대하여 처지거나 다시 떨어지면 주의하십시오. 양측을 비교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이 표지판의 존재는 중요한 후방 느슨함으로 PCL 눈물을 제안 할 수 있습니다.
인대 검사 후, 반월 상 경 상 부상을 검사 하는 다음과 같은 기동을 수행.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는 종종 비특이적이며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러한 테스트의 첫 번째는 바운스 테스트입니다. 환자 척추와 함께 발목에서 다리를 들어 올리고 무릎을 완전히 연장하여 부드럽게 “바운스”합니다. 반월 상 연골이 찢어지면이 기동은 통증을 유발합니다. 반월 상 연골이 있는 내측 및 측면 조인트 라인을 따라 관절 라인의 부드러움을 평가한다. 여기에 어떤 부드러움은 반월 상 연골 또는 골관절염에 부상을 제안 할 수있다.
다음으로, 환자에게 시험 테이블의 끝에 매달려 있는 두 무릎을 가진 경향이 있는 위치로 전환하도록 요청하십시오. 이것은 경향이 무릎 확장 테스트. 발 뒤꿈치 높이의 차이는 찢어지고 변위 된 반월 상 연골에 의해 발생 하는 무릎 확장에 기계적 블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 후 맥머레이의 시험을 실시합니다. 첫째, 환자의 무릎을 구부리고 완전히 구부려 서 내부적으로 회전하고 확장합니다. 외부로 회전하여 동일한 반복합니다. 이 시험 도중 중요한 응징 소리는 변위 반월경 파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기동은 찢어진 반월 상 연골이 무릎 관절을 대체하고 잠그게 할 수 있으므로주의해서 이루어져야합니다.
다음으로 Apley 압축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환자가 수동적으로 무릎을 90°로 구부리고, 내부적으로 경골을 회전시키고, 축 하중을 바르고, 무릎을 계속 구부리고 연장하여 클링 사운드를 확인합니다. 경골을 외부로 회전시키면서 기동을 반복합니다. 중요한 응고는 찢어진 반월 상 연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마지막 반월 상복부 검사를 위해, 오리 워크 테스트에게 불린. 환자는 이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면 상당한 연골이나 인대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마지막으로, 슬개골 검사에게 불린 몇몇 시험은 patellofemoral 기능 장애, 고통, 또는 탈구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 그룹의 첫 번째 기동은 불안 테스트라고합니다. 환자의 슬개골을 측면 방향으로 밀어 내고 환자가 슬개골이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지 확인하여 이전의 슬개골 탈구를 시사합니다. 다음으로, 환자의 슬개골을 아래로 밀어 앞뒤로 갈아서 슬개골 갈기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이 기동 도중 환자가 경험한 고통은 patellofemoral 기능 장애를 건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두근 또는 Q-각도를 확인합니다. 환자 supine을 사용하면 전방 우수한 일강 척추와 슬개골 중심을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전방 경골아래로 슬개골 의 중심에서 티비알 결핵에 이르는 라인을 추정합니다. 남성의 10°와 여성의 15°보다 큰 각도는 파텔로페모랄 문제에 대한 경향을 시사합니다.
당신은 무릎 내침을 자세히 설명하는 JoVE 비디오를 보았습니다. 이 비디오에서는 검사, 심피, 운동 테스트 범위 및 추가 특수 진단 기동을 포함하여 이 시험의 필수적인 측면을 검토하여 무릎 문제와 관련된 차동 진단을 좁히기 위해 했습니다. 언제나처럼, 시청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릎의 검사는 앉고 척추 위치에있는 환자와 함께 단계적 접근 방식을 따라 가장 잘 수행됩니다. 환자는 시험장 안팎으로 걸어나가는 동안 절뚝거리거나 통증을 관찰해야 합니다. 환자가 충분한 옷을 제거하여 무릎의 표면 해부학을 보고 관련되지 않은 쪽에 비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릎 검사는 검사로 시작해야한다, 관련 무릎과 관련 무릎 사이의 비대칭을 찾고, 관련 무릎이 더 큰 지 여부를 지적 (붓기를 나타내는) 또는 작은 (근육 위축을 나타내는). 이것은 무릎 주위에 중요한 구조물의 심근에 선행됩니다, 부드러움을 찾고, 팽윤, 온기, 또는 기형. 다음으로, ROM은 관련되지 않은 쪽과 비교하면서 먼저 적극적으로 그리고 수동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거기에서, 하나는 무릎에 일반적인 통증 발생기를 평가하기 위해 이동해야, 다양한 인대포함, 반월 상 연골, 그리고 슬개골.
Due to its location, the knee is subjected to a variety of traumatic and degenerative forces, and its intricate structure makes knee examination quite complex.
Although the knee is the largest joint in the body, it has an inherently unstable structure held together by various ligaments, and supported by menisci, which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joint, and act as shock absorbers. The patella, which is the largest sesamoid bone in the body, lies in front of the knee, attached to the quadriceps femoris tendon and the patella tendon. It acts as a fulcrum to allow forceful extension of the knee, which is needed for activities like running, making patella a common source of pain related to trauma or overuse.
Here, we will review the essential steps required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knee examination, combined with relevant anatomical illustrations. We will also explain the diagnostic relevance of various findings that one may come across during knee assessment.
Like most musculoskeletal exams, let’s begin with inspection and palpation. Before you start, make sure that the patient has removed enough clothing to expose their knees and lower legs. Ask the patient to walk back and forth, while you observe for limping, pain, swelling, effusion, ecchymosis and quad atrophy. Remember, if the patient has an injured knee then the non-injured knee should be used as the standard for evaluation.
The next step is palpation. Remember to wash your hands thoroughly before you touch the patient. Ask the patient to sit on the exam table and then have them lay down supine. Start by assessing for swelling around the kneecap. Milk down from above and below the knee and then push down on the patella with your finger to appreciate any fluid above and below it. Repeat the same on the other side. Swelling in front of the kneecap suggests pre-patella bursitis or infection, whereas presence of fluid behind the patella suggests a knee joint effusion and likely significant internal derangement.
Next, palpate the tibial tubercle for tenderness. This is the insertion site of the patella tendon. Bend the patient’s knee and feel the roughened protrusion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proximal tibia. Tenderness at the tubercle may suggest Osgood Schlatter’s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 population. From there, palpate the patella tendon, which is broad rope-like structure beginning just above the tubercle and extending to the lower pole of the kneecap. Tenderness along the tendon indicates inflammation.
From there, palpate the region around patella, this time checking for tenderness. Start at the inferior pole, then palpate the medial and lateral sides, and lastly feel the top of the kneecap. Tenderness at the inferior pole may suggest Synding-Larsen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round or under may indicate patellofemoral pain, and over the top may suggest pre-patella bursitis.
Next, feel the joint line. Put your finger and thumb on either side of the patella tendon, and then push along the lateral and medial side, checking for tenderness or pain at the joint line, which, if present, suggests a meniscus tear or osteoarthritis.
Finally, palpate the medial and lateral aspect of the knee. Start at the medial femoral condyle, the attachment sit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which extends from the condyle to the proximal medial tibia. Next, check the pes anserine bursa located just below the anterior medial joint line for tenderness. After that, palpate the lateral femoral condyle, the start site for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which can be felt till it inserts into to the proximal lateral tibia and fibula. Lastly, palpate the iliotibial band that runs from the hip, along the lateral side, and attaches on the tibia at Gerdy’s tubercle.
After the inspection and palpation portion of the exam is complete, move on to testing the knee’s range of motion.
While in supine position have the patient fully straighten their leg and lift it up slightly to test extension. Normally, this should reveal a 0° angle. Next, check for knee flexion. Passively, bend the patient’s knee by bringing their heel as close to their buttocks as possible. The range for this motion should be about 130°. If limited, it can indicate joint effusion or quadriceps spasm.
Next, have the patient transition into seated position and ask them to straighten their knee. This is to test the integrity of the extensor mechanism. Lastly, feel for crepitus — the palpable grinding produced by motion — by placing your palm over the knee, as it is either passively or actively, flexed and extended. This sign is rarely clinically significant, unless associated with pain, effusion, or limitation of motion.
After performing all the above-mentioned maneuvers, evaluate the structure of the knee by using a variety of special tests. The first of these is the Ligament Testing. These maneuvers assess pain and laxity in the medial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s,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s, abbreviated as the MCL, LCL, ACL and PCL, respectively.
For the MCL and LCL tests, first straighten the patient’s knee by lifting it at the ankle with one hand, then use your other hand to flex it to about 20°. To assess the MCL, keep the knee in flexed position, and apply valgus stress by pushing the ankle outside. Then do the same with the knee extended. To check the LCL, switch hand positions, and apply varus stress by pushing the ankle medially with the knee extended and then flexed. In either case, score the ligament injury by pain and laxity as shown in this table.
The next couple of tests, namely the Lachman test and the Anterior Drawer test examine the ACL. For the Lachman test, request the patient to relax their legs, then flex their knee to about 20° angle. And while pulling forward on the proximal tibia with one hand, push down on the femur with the other. With this maneuver, you are feeling for an end point as the ACL gets stressed.
Next, conduct the Anterior Drawer Test. Ask the patient to bend their knee and lay their foot flat on the table. Then, sit on the foot so that it does not move. Place your hands just below the knee with both index fingers at the posterior joint line and pull to check if the tibia moves forward, which it should not.
Following two maneuvers – the Posterior Drawer test and the looking for Sag Sign -evaluate the PCL. For the Posterior Drawer test, have the patient bend their knee just like the Anterior drawer test, then put both your thumbs on either side of the patella tendon, and pull back and push posteriorly on the upper aspect of the tibia. Significant displacement may suggest a PCL injury.
Lastly, perform the Sag sign test. With the patient’s knee flexed to 90° and foot flat on the exam table; note if the tibia sags or drops back with respect to the femur. It is a good approach to compare between sides. Presence of this sign may suggest a PCL tear with significant posterior laxity.
After ligament testing, perform the following maneuvers that check for meniscal injury. However, on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se tests are often nonspecific and require additional confirmation.
First of these tests, is the Bounce test. With the patient supine, lift the leg at the ankle and gently “bounce” the knee by forcing it into full extension. This maneuver will cause pain if the meniscus is torn. To assess the joint line tenderness palpate along the medial and lateral joint lines, where the meniscus is located. Any tenderness here may suggest either an injury to the meniscus or osteoarthritis.
Next, ask the patient to transition into prone position with both knees hanging just off the end of the exam table. This is the prone knee extension test. Difference in heel height may indicate a mechanical block to knee extension caused by a torn and displaced meniscus.
Subsequently, conduct the McMurray’s test. First, bend the patient’s knee and flex it fully, then internally rotate and extend it. Repeat the same by rotating it externally. A significant clunking sound during this test may indicate a displacing meniscal tear. This maneuver should be done with caution as one may cause a torn meniscus to displace and lock the knee joint.
Next, perform the Apley Compression test. With the patient prone, passively flex the knee to 90°, rotate the tibia internally, apply axial load, and flex and extend the knee continually to check for any clunking sound. Repeat the maneuver while rotating the tibia externally. Significant clunking may indicate a torn meniscus.
For the last meniscal test, called the Duck Walk Test. Request the patient to get into a full squat position and then walk. A patient is unlikely to have a significant cartilage or ligament injury if they are able to do this.
Finally, a few tests called the patella tests can be performed to evaluate for patellofemoral dysfunction, pain, or dislocation.
First maneuver in this group is called the apprehension test. Push the patient’s kneecap in a lateral direction, and see if the patient becomes apprehensive that the patella may dislodge, which suggests a prior patella dislocation. Next, perform the patella grind test by pushing down on the patient’s kneecap and grind it back and forth. Pain experienced by the patient during this maneuver may suggest patellofemoral dysfunction.
Finally, check the quadriceps- or the Q-angle. With the patient supine, estimate the angle formed by a line connecting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nd the center of patella, with a line from the center of patella down the anterior tibia to the tibial tubercle. Angles greater than 10° in males and 15° in females suggest a predisposition to patellofemoral problems.
You have just watched a JoVE video detailing the knee assesment. In this video, we reviewed the essential aspects of this exam including inspection, palpation, range of motion testing, and additional special diagnostic maneuvers to narrow down the differential diagnosis associated with knee problems. As always, thanks for watching!
Related Videos
Physical Examinations III
151.5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77.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1.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0.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8.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0.6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6.4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2.7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3.8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53.6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29.9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6.3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3.2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42.0K views
Physical Examinations III
31.1K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