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레이첼 리우, 바오, MBBCh, 응급 의학, 예일 의과 대학, 뉴 헤이븐, 코네티컷, 미국
장력 기발은 폐를 둘러싼 흉막 공간에 과도한 공기가 유입되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가슴 구멍에 대한 외상을 통해 또는 폐 자체에서 공기가 자발적으로 누출되는 것입니다. 흉막 공간 내에 갇힌 공기는 흉벽에서 폐를 분리하여 정상적인 호흡 메커니즘을 방해합니다. 폐렴구균은 장력으로 전환하지 않고 작을 수 있지만 흉막 구멍에 갇힌 공기의 상당한 양이 있을 때, 이 비정상적인 공기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면 폐가 수축되고 붕괴되어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압력은 또한 중간 (심장과 큰 혈관 포함)을 중앙 위치에서 밀어 내고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갈 수 없게하고 심장 출력을 감소시습니다. 긴장 기압은 가슴 통증, 극심한 호흡 곤란, 호흡 부전, 저산소증, 빈맥 및 저혈압을 유발합니다. 그(것)들은 환자가 극단주의에 있을 때 에머로 안심될 필요가 있습니다.
장력 폐렴은 흉부 튜브 삽입과 같은 갇힌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에 의해 결정적으로 관리됩니다. 그러나, 흉부 튜브 배치를 위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병원 설정 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병원 도착 전이나 흉부 튜브 재료가 수집되는 동안 환자를 악화시키는 데 온도 측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긴급 바늘 흉부 절제술 (“바늘 감압”이라고도 함)이 수행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흉막 내의 공기가 탈출할 수 있도록 흉막 공간을 통해 큰 보어 바늘이나 캐뉼라를 삽입하는 것입니다. 카테터 또는 캐뉼라를 즉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주사기에 부착된 긴 대형 보어 바늘로 시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공기는 주사기로 흉막 공간에서 흡량할 수 있습니다. 금속 바늘은 흉막 구멍에 머물 수 없습니다., 날카로운 팁 추가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가 흡인되면 가슴 벽에서 제거해야합니다.
1. 환자의 평가
2. 바늘 감압
장비: 클로르헥사딘 또는 베타딘 솔루션; 적어도 2 인치 길이의 14- 또는 16 게이지 카테터 또는 협심증; 테이프
3. 10 mL 주사기에 부착 된 캐뉼라와 바늘 감압.
바늘 감압은 또한 가슴 벽과 흉막에 구멍을 뚫을 때 더 나은 그립을 제공할 수 있는 10 mL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늘 감압”으로 도 알려진 바늘 흉부 절제술은 긴장 기압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악화되는 환자를 안정화시키는 절차이다. 간단히 말해서, 절차는 흉막 구멍에 가슴 벽을 통해 큰 보어 바늘이나 캐뉼라를 삽입하여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비디오에서는 먼저 폐렴경선원인원인을 검토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바늘 소장 절제술 절차를 설명 합니다 –준비 단계 및 바늘 삽입에 대 한 기술을 포함 하 여.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내정간섭과 관련되었던 가능한 합병증 및 금기설명에 토론할 것입니다.
먼저 폐렴경산병과 의병학 및 유형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해 봅시다.
폐렴구균은 폐를 둘러싼 흉막 공간에 과도한 공기가 유입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흉부 구멍에 외상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는 폐 자체에서 자발적인 누출 때문에. 결과는 가슴 벽에서 폐의 분리 및 일반적인 호흡 기계장치의 중단입니다.
간단한 폐렴의 경우 공기는 흉막 구멍을 입력하고 나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이 쌓일 수 없습니다. 장력 기압의 경우, 공기는 캐비티에만 들어갑니다. 따라서, 상당한 공기 함정이있을 수 있습니다, 증가 압력 또는 “장력”의 결과로, 이는 수축과 붕괴 폐를 강제로. 이것은 호흡 곤란으로 이끌어 내고 증가하는 압력은 심장과 그것의 중앙 위치에서 멀리 큰 혈관을 포함하여 내저를 더 위로하고, 심장에 혈액의 감소된 반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그러므로 심장 출력을 감소시합니다. 장력 폐렴은 가슴 통증, 극심한 호흡 곤란, 호흡 부전, 저산소증, 빈맥 및 저혈압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환자가 극단주의에 있을 때 “긴장”은 에머로 완화되어야 합니다.
압력을 완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늘 두근 절제술에 의한 것입니다 – 다음 섹션이 설명 할 기술.
필요한 소모품을 모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여기에는 클로레헥사딘 또는 베타딘 용액, 최소 2인치 길이 14 또는 16게이지 카테터 또는 협심증 및 테이프가 포함됩니다.
물리적 평가 단계를 수행 한 후, 비강 캐뉼라 또는 비 재호흡 마스크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보충 산소를 투여하십시오. 환자의 편안함에 따라 침대가 45° 각도로 상승하여 환자를 평평한 자세로 배치하거나 가능하면 앉을 수 있습니다. 영향을받는 측의 두 번째 늑간 공간을 식별합니다. 그것은 마누브리움과 흉골의 교차에 의해 형성 된 루이의 각도에 해당합니다. 중간 쇄골 선에 따라. 바늘 삽입의 랜드 마크는 두 번째 늑간 공간과 중간 쇄골 선의 교차점에 있습니다. 또한 상기 절차를 제4 또는 제5늑간 공간의 수준에서 전방 축실 또는 중간 축실 라인에서 수행할 수 있다. 더 우수한 삽입 부위는 복강내내침투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드마크를 찾은 후 클로르헥사딘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하여 공간을 살균하십시오. 다음으로, 긴 큰 보어 캐뉼라를 멸균 장에 놓고 멸균 장갑을 착용하십시오. 이제 바늘 감압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캐뉼라를 중간 쇄골 선의 가슴 벽에 90° 각도로 삽입하고 세 번째 갈비뼈 위의 2번째 늑간 공간에 삽입합니다. 이것은 각 갈비뼈 바로 아래에 누워 신경 혈관 구조를 손상 하지 않도록. 삽입은 한 동작으로 수행해야하며 강제 입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기 위해 거의 허브에 캐뉼라를 삽입해야 합니다. 바늘이 흉막에 침투할 때 “팝”이 느껴지며 바늘을 통해 공기의 돌진 또는 “히싱”이 들릴 것입니다.
대안적으로 바늘 감압은 또한 가슴 벽과 흉막에 구멍을 뚫을 때 더 나은 그립을 제공할 수 있는 10ml 주사기에 부착된 캐뉼라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메서드는 빈 주사기를 사용합니다. 주사기를 캐뉼라에 부착하고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흉벽과 흉막에 구멍을 뚫는다. 기압을 탈출하는 공기는 플런저를 밀어 올려야합니다 – 적절한 깊이를 확인합니다. 시점에서 주사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식염수 또는 물과 같은 액체로 반으로 채워진 10ml 주사기를 캐뉼라에 부착합니다. 유체와 주사기 플런저 사이에 약 1ml의 공기를 둡니다. 다음으로, 바늘 감압을 수행하고, 흉막이 뚫릴 때 기막에 구멍이 뚫려 주사기의 유체가 거품을 일으킵니다. 주사기와 캐뉼라의 금속 바늘을 제거하여 플라스틱 카테터만 남아 있도록 합니다. 테이프로 카테터를 고정합니다.
임상 개선을 위해 환자를 재평가하십시오. 이것은 덜 불편 또는 동요의 환자 외관에 의해 표시, 더 완전한 호흡, 더 완전한 문장을 말할 수있는 능력, 덜 빈치 또는 빈맥, 저산소증과 혈압의 개선, 기관 편차를 해결. 환자의 상태가 개선되지 않는 경우, 첫 번째에 인접한 또 다른 긴 큰 보어 캐뉼라를 삽입하여 반복 바늘 감압. 또는 이 컬렉션의 다른 비디오에서 덮인 가슴 튜브 배치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바늘흉부 절제술은 흉부 튜브를 배치하기 전에 극단주의에서 환자를 일시화하는 비교적 쉬운 절차입니다. 흉부 벽 근육, 피하 조직 및 흉막의 침투는 상당한 힘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바늘 입구의 찌르는 움직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절차의 실패에 대 한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바늘 길이 pleura에 도달 하기에 충분 하지 않습니다. 일부 환자는 표준 바늘이 침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당한 가슴 벽 두께가 있음을 유의하시기 유의. 이 때문에, 몇몇은 전방 부조 부문 또는 중간 illillary 선에서,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늑간 공간에서 측면 접근을 건의합니다.”
“위험은 각 갈비뼈 의 밑에 달리는 내부 흉부 동맥 및 늑간 신경에 손상을 포함합니다. 출혈은 중요할 수 있고, 헤모토락스로 이어질 수 있다. 부적절한 위치는 과류 동맥, 폐 동맥 열상, 또는 폐 실질성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모두 절차 후 출혈을 유발합니다. 그것은 또한 간단한 기체 호르몬제의 iatrogenic 창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카테터는 이물질이기 때문에 폐렴, 방피종 또는 국소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인 금기에는 이전 흉부 절제술, 폐렴 절제술 또는 플뢰데증이 포함됩니다. 또한 출혈 합병증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고 장애가있는 사람들을 위해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그러나, 긴장 기흉은 생명을 위협하고 비상사태 처리가 우선순위를 취합니다.”
당신은 방금 바늘 토라 코 절제술의 JoVE의 그림을 보았다. 이것은 생명을 구하는 절차이며, 단계가 간단하고 복잡하지 않지만 성공적인 절차는 표면 해부학, 손재주 및 자신감에 대한 좋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언제나처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바늘 흉부 절제술은 흉부 튜브를 배치하기 전에 긴장 기질에서 극단주의에서 환자를 감쇠하는 비교적 쉬운 절차이다. 흉부 벽 근육, 피하 조직 및 흉막의 침투는 상당한 힘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바늘 입구의 찌르는 움직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절차의 실패에 대 한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바늘 길이 pleura에 도달 하기에 충분 하지 않습니다. 몇몇 환자는 표준 바늘이 침투하지 않을 수 있는 중요한 가슴 벽 두께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몇몇은 전방 부조 부문 또는 중간 axillary 선에서,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늑간 공간에서 측면 접근을 건의합니다.
위험은 각 갈비뼈 아래 실행 내부 흉부 동맥과 늑간 신경에 손상을 포함한다. 출혈은 중요할 수 있고, 헤모토락스로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두 번째 늑간 공간에서 세 번째 갈비뼈 위의 절차를 수행하는 이유입니다. 부적절한 위치는 아클레아 동맥 열상, 폐 동맥 열상, 또는 폐 실질 손상 – 모든 수술 후 출혈을 일으키는 위험을 감수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또한 간단한 기체 호르몬의 iatrogenic 창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카테터는 이물질이기 때문에 폐렴, 엠피종 또는 국소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금기에는 이전 흉부 절제술, 폐렴 절제술 또는 플리포데증이 포함되며, 이러한 조건은 이러한 조건 후에 호흡 소리가 종종 존재하지 때문에 거짓 경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출혈 합병증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고 장애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나, 긴장 기흉은 생명을 위협하고, 응급 처리는 우선순위를 취합니다.
Needle thoracostomy, also known as “needle decompression” is a procedure performed to stabilize deteriorating patients in the life-threatening situation of a tension pneumothorax. To put it simply, the procedure involves inserting a large bore needle or cannula through the chest wall into the pleural cavity — to allow the air from within to escape.
In this video, we will first review the cause — pneumothoraces. Then, we will describe the needle thoracostomy procedure — including the prepping steps and the technique for needle insertion. Lastly, we will discuss the possible compl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associated with this intervention.
First let’s briefly talk about the etiology and types of pneumothoraces.
A pneumothorax occurs when excess air is introduced into the pleural space surrounding the lung. This may happen by trauma to the chest cavity, or due to a spontaneous leak from the lung itself. The result is separation of the lung from the chest wall and disruption of normal breathing mechanisms.
In case of a simple pneumothorax, the air can both enter and exit the pleural cavity. Hence, there is no pressure build up. Whereas in case of a tension pneumothorax, the air only enters the cavity. Thus, there can be substantial air entrapment, resulting in increased pressure or “tension”, which forces the lung to shrink and collapse. This leads to respiratory distress and the increasing pressure further displaces the mediastinum including the heart and the great vessels away from its central position, causing diminished return of the blood to the heart and therefore decreased cardiac output. A tension pneumothorax causes chest pain, extreme shortness of breath, respiratory failure, hypoxia, tachycardia and hypotension. Therefore, the “tension” needs to be relieved emergently when a patient is in extremis.
One of the methods to relieve the pressure is by needle thoracostomy – the technique that the following sections will explain.
Start by gathering the necessary supplies. These include chlorhexadine or betadine solution, an at least 2 inches long 14 or 16 gauge catheter or angiocatheter, and tape.
After performing the physical assessment steps, administer supplemental oxygen to the patient, using a nasal cannula or a non re-breather mask. Place the patient in a supine flat position, or if possible, seated with the bed elevated to a 45° angle, depending on patient comfort. Identify the second intercostal space on the affected side. It corresponds with the Angle of Louis formed by the junction of the manubrium and the sternum. Follow it to the mid-clavicular line. The landmark of needle insertion is at the intersection of second intercostal space and the mid-clavicular line. You may also perform the above procedure in the anterior axillary or mid-axillary line at the level of the fourth or fifth intercostal space. A more superior insertion site is preferred to avoid penetrat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After locating the landmark, sterilize the space using an antiseptic, like chlorhexadine. Next, place the long large bore cannula onto a sterile field and put on sterile gloves. You are now ready to perform the needle decompression.
Insert the cannula at a 90° angle to the chest wall in the mid-clavicular line, in the 2nd intercostal space above the third rib. This is to avoid damaging neurovascular structures that lie immediately below each rib. The insertion should be done in one motion and may require forceful entry. Make sure to insert the cannula to nearly its hub to reach adequate depth. A “pop” will be felt when the needle penetrates the pleura, and a rush or “hissing” of air through the needle will be audible.
Alternatively needle decompression may also be performed using a cannula attached to a 10ml syringe, which can offer better grip when puncturing the chest wall and pleura. There are two methods for doing this. The first method uses an empty syringe. Attach the syringe to the cannula and puncture the chest wall and pleura as described previously. The air escaping the pneumothorax should push plunger up — confirming appropriate depth. At the point you can remove the syringe. The second method uses a 10ml syringe half-filled with fluid, such as saline or water, attached to the cannula. Leave about 1ml of air between the fluid and the syringe’s plunger. Next, perform needle decompression, and when the pleura is punctured the pneumothorax will cause the fluid in the syringe to bubble. Remove the syringe and the metal needle of the cannula so that only the plastic catheter remains. Secure the catheter with tape.
Reassess the patient for clinical improvement. This is signified by patient appearance of less discomfort or agitation, fuller respirations taken, ability to speak more complete sentences, less tachypnea or tachycardia, improvement in hypoxia and blood pressure, and resolving tracheal deviation. If patient’s condition does not improve, repeat needle decompression by inserting another long large bore cannula adjacent to the first. Alternatively, you can move straight to chest tube placement covered in another video of this collection.
“Needle thoracostomy is a relatively easy procedure to temporize a patient in extremis before a chest tube can be placed. Penetration of the chest wall muscle, subcutaneous tissue and pleura may require significant force, so a stabbing motion of needle entry may be necessary. The most common reason for failure of this procedure is that the needle length is not sufficient enough to reach the pleura. Note that some patients have significant chest wall thicknesses that standard needles may not penetrate. Because of this, some suggest a lateral approach in the fourth or fifth intercostal space, in the anterior axillary or mid-axillary lines.”
“Risks include damage to the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intercostal nerves, which run underneath each rib. Bleeding may be significant, and may lead to hemothorax . Inappropriate positioning may risk subclavian artery, pulmonary artery laceration, or lung parenchyma injury, all causing post-procedural bleeding. It may also cause iatrogenic creation of simple pneumothoraxes. As the catheter is a foreign body, pneumonia, empyema, or local skin infection may develop.”
“Relative contraindications include prior thoracotomy, pneumonectomy or pleurodesis. Also care must be taken for those with coagulation disorders, as bleeding complications may arise post-procedure. However, a tension pneumothorax is life-threatening and emergent treatment takes priority.”
You’ve just watched JoVE’s illustration of needle thoracostomy. This is a lifesaving procedure, and although the steps are straightforward and uncomplicated, a successful procedure requires good knowledge of the surface anatomy, dexterity, and confidence. As always, thank you for watching!
Related Video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38.3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26.8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27.2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21.8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17.2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19.2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57.6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23.5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29.3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60.1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33.2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19.5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42.7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45.1K views
Emergency Medicine and Critical Care
45.3K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