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Processando Login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Neuroscience

행동과 EEG를 결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이 에피소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구

Published: May 11, 2020 doi: 10.3791/61247

Summary

여기에서는 마음 챙김 명상 훈련, 에피소드 기억 작업 및 EEG를 결합하여 에피소드 기억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행동 및 신경 효과를 이해하는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Abstract

마음 챙김 명상이 일화 기억과 뇌 구조 및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최근 관심이 있었지만, 마음 챙김 명상이 에피소드 기억에 미치는 행동 및 신경 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없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마음 챙김 명상 훈련, 에피소드 기억 작업 및 EEG를 결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이 행동 수행과 에피소드 기억의 신경 상관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조사하는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의 피험자는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과 비교되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의 피험자들은 4 주 동안 마음 챙김 명상을 훈련하고 연습했습니다. 마음 챙김은 5면 마음 챙김 설문지 (FFMQ)를 사용하여 훈련 전후에 측정되었습니다. 에피소드 기억은 소스 인식 작업을 사용하여 훈련 전후에 측정되었습니다. 소스 인식 작업의 검색 단계에서 EEG가 기록되었습니다. 결과는 마음 챙김 명상 훈련 후 오른쪽 전두엽 및 왼쪽 정수리 채널의 마음 챙김, 소스 인식 행동 수행 및 EEG 세타 파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마음 챙김의 증가는 오른쪽 전두엽 채널의 세타 파워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마음 챙김 명상 훈련, 에피소드 기억 작업 및 EEG를 결합하여 얻은 결과는 에피소드 기억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행동 및 신경 효과를 보여줍니다.

Introduction

최근 정신 질환의 증상을 치료하고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한 마음 챙김 명상에 대한 관심이 있었지만 마음 챙김 명상이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마음챙김 명상은 스트레스, 우울증, 범불안 장애, 중독, 주의력 결핍 장애 및 통증 장애 1,2,3,4,5,6,7,8,9의 증상을 줄이고 주의력과 실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2,3,4 ,5,6,7,10,11,12,13,14,15,16.

마음 챙김 명상이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마음 챙김 명상이 에피소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17. 에피소드 인코딩 및 검색에 대한 주의력과 실행 기능의 기여를 감안할 때, 마음 챙김 명상은 또한 에피소드 기억을 증가시켜야합니다. 최근의 몇 가지 행동 연구에 따르면 마음 챙김 훈련은 인식 기억 기억18,19 및 자유 회상20을 증가시킵니다.

인지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행동 효과 외에도 이전 연구에서는 마음 챙김 명상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은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두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요하게도, 마음 챙김 명상은 에피소드 기억과 관련된 네트워크에서 뇌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1,22,23; 특히 전두엽 피질 1,24,25,26,27,28,29,30,31,32 및 해마 25,27,28,33,34,35에서 회백질의 양과 활동 증가 ,36,37 뿐만 아니라 세타(4\u20128Hz) 전력 및 일관성1,36,38,39,40,41,42,43,44,45를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이전 연구에서는 일화 기억17,18,19,20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행동 효과와 마음 챙김 명상의 신경 효과 1,21,22,23,24,25,26,27,28,29 를 별도로 조사했습니다. ,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 . 일화 기억과 신경 상관 관계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효과를 이해하려면 에피소드 기억 동안 행동과 뇌 활동을 모두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화 기억의 신경 상관 관계를 연구하는 한 가지 방법은 뇌파 검사 (EEG)입니다. 여기에서는 뇌파를 측정하는 동안 마음 챙김 명상 훈련과 에피소드 기억 작업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마음 챙김 명상 훈련과 에피소드 기억의 행동 및 신경 측정을 결합함으로써 우리는인지 기능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효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tocol

모든 절차는 인간 피험자 보호에 대한 연방 지침에 따라 Bowdoin College의 기관 검토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1. 피험자 모집 및 실험 준비

  1. 명상 순진하고 오른손잡이이며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고 정상 또는 정상 시력으로 교정되고 신경학적 상태가 없는 40명의 18-29세 피험자를 모집합니다.
    참고: 어린 아이들과 노인을 연구하려면 별도의 연령별 연구가 필요합니다. 전두엽과 두정엽의 발달은 일화 기억 작업을 수행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뇌파의 변동성이 있습니다. 어린 어린이와 노인을 연구하려면 연령별 인지 작업과 본 프로토콜에 수용되지 않는 전문 EEG 기록 및 데이터 분석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EEG 활동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오른 손잡이 피험자 만 모집하십시오.
  2.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또는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40 명의 피험자를 무작위로 할당하여 각 그룹의 총 20 명의 피험자를 지정합니다.
  3.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대해 사전 훈련과 훈련 후 실험 세션 사이의 지연이 동일하도록 실험 세션과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을 예약하십시오 (세션의 시각적 묘사는 그림 1 참조).

Figure 1
그림 1: 세션의 시각적 묘사. 피험자들은 5면 마음챙김 설문지(FFMQ)46 을 완료하고 훈련 전 및 훈련 후 실험 세션 동안 EEG가 기록되는 동안 에피소드 기억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피험자들은 4 주 동안 마음 챙김 명상을 훈련하거나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을받을 대기자 명단에 남아 있도록 무작위로 배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 행동 테스트, EEG 기록 및 마음 챙김 명상 훈련과 관련된 절차에 대해 피험자에게 알립니다. 피험자가 연구를 위해 수행 된 것 이외의 명상을 자제하도록합니다.

2. 마음 챙김 설문지

  1. 각 실험 세션에 대해 피험자가 5면 마음챙김 설문지(FFMQ)46 을 작성하게 합니다( 보충 파일 1 참조).
  2. 마음 챙김 데이터를 분석하십시오.
    1. 각 하위 척도에 대한 점수를 합산하여 FFMQ 합계 및 관찰, 설명, 인식, 비판단 및 비반응 척도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여 각 주제의 마음챙김을 측정합니다(일부 항목의 경우 FFMQ46 의 지침에 따라 점수를 반전(즉, 1에서 5로, 2에서 4, 4에서 2, 5에서 1로 변경)해야 합니다( 보충 파일 1의 채점 지침 참조).
    2. 사전 훈련 및 훈련 후 실험 세션에서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대한 피험자의 FFMQ 합계와 관찰, 설명, 인식, 비 판단 및 비 반응 점수를 비교합니다.

3. 에피소드 기억 작업

  1. Kucera 및 Francis 47 단어 규범에 따라 단어 빈도와 동일한800 개의 형용사 목록을 준비하십시오 ( 보충 파일 2 참조).
  2. 각 실험 세션에 대해 피험자에게 10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아래에 설명된 대로 인코딩 작업을 수행하여 인코딩 단계를 연습하게 합니다.
  3. 각 실험 세션에 대해 피험자에게 인코딩 단계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1. 피험자에게 200 개의 형용사 목록을 연구하고 형용사 (장소 작업)로 설명 된 공간 장면의 정신적 이미지를 만들거나 단어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고 즐거움 (즐거운 작업)을 평가하게합니다.
    2. 각 단어를 제시한 후 피험자에게 인코딩 작업을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 평가하도록 요청합니다(인코딩 절차를 시각적으로 묘사하려면 그림 2 참조).
  4. 각 실험 세션에 대해 피험자에게 인코딩 연습에서 표시된 10개의 단어와 5개의 새로운 단어를 제시하여 소스 검색 단계를 연습하게 하고 아래에 설명된 대로 소스 검색 작업을 수행합니다.
  5. 각 실험 세션에 대해 피험자가 EEG를 기록하는 동안 소스 검색 단계를 수행하도록 합니다.
    1. 인코딩시 표시된 200 단어를 무작위로 혼합 된 200 개의 단어를 제시하십시오. 각 행동 조건에 해당하는 타임스탬프를 EEG 기록에 보냅니다. 단어는 피험자가 눈을 쉴 수 있도록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20 블록으로 제시되어야합니다.
    2. 각 단어를 발표하는 동안 피험자에게 단어가 새로운 것인지 또는 인코딩 단계에서 연구 된 것으로 인식했는지 표시하도록 요청하십시오. 인식 된 단어의 경우, 단어가 장소 작업 또는 즐거운 작업에서 연구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피험자에게 출처를 표시하도록 요청하십시오 (소스 검색 절차의 시각적 묘사는 그림 2 참조).
      알림: 에피소드 메모리 작업은 작업 이벤트를 사용하여 EEG 기록에 타임스탬프를 보낼 수 있는 EPrime과 같은 행동 연구를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습니다( 자료 표 참조). 튜토리얼 및 예제 실험은 온라인(예: https://pstnet.com, https://step.talkbank.org48)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gure 2
그림 2: 실험 패러다임의 시각적 묘사. 에피소드 기억 과제 동안, 피험자들은 형용사를 연구하고 장면을 상상하거나 (장소 과제) 그 즐거움 (즐거운 과제)을 판단했습니다. 소스 검색 단계에서 피험자는 각 단어 ( "이전 장소 작업"또는 "오래된 즐거운 작업") 또는 "새로운"으로 수행 된 작업을 결정했습니다. 이 수치는 Nyhus et al.60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 행동 상태와 피험자의 반응(그림 3그림 4 참조)을 기반으로 각 시험을 표시하고 에피소드 기억 행동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1. 항목 차별을 계산하여 출처 정보를 기억하는 피험자의 능력을 측정합니다(항목 d', 그림 3 참조).
      Z (적중률) Z (거짓 경보 비율)
    2. 출처 판별을 계산하여 출처 정보를 기억하는 피험자의 능력을 측정합니다(출처 d', 그림 4 참조).
      Z(올바른 소스 속도) – Z(잘못된 소스 속도)
    3. 사전 훈련 및 훈련 후 실험 세션에서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대한 피험자의 항목 및 출처 차별 (항목 및 출처 d ')을 비교합니다.

Figure 3
그림 3: 단어 기억 측정에 포함된 데이터 범주. 시험은 행동 상태와 피험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표시되고 항목 차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항목 d').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4
그림 4: 소스 메모리 측정에 포함된 데이터 범주. 시험은 행동 상태와 피험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표시되었으며 출처 차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출처 d').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4. 뇌파 기록 및 분석

  1. EEG 캡을 설정하십시오 ( 재료 표 참조).
    알림: EEG 캡핑 튜토리얼 및 기타 유용한 정보는 온라인 리소스(예:https://pursue.richmond.edu 49)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피사체의 머리를 측정하고 확장 된 국제 10-20 시스템에 따라 모든 전극을 올바른 크기의 EEG 캡에 놓습니다.
    2. 알코올 물티슈로 피사체의 이마를 닦으십시오.
    3. 머리카락을 가르고 무딘 바늘이 달린 Luer-lock 주사기로 전도성 젤을 삽입하여 피험자의 머리에 EEG 캡을 적용합니다.
    4. EEG 기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클릭하고 연구원이 사용하도록 선택한 특정 EEG 시스템에서 권장하는 저항 수준 미만인지 확인하십시오.
    5. 실험 중에 피험자에게 가능한 한 가만히 있도록 요청하십시오. 피사체가 가만히 있을 때와 눈을 깜박이거나 턱이나 얼굴을 움직일 때 EEG 신호를 보여줍니다.
  2. 뇌파를 기록하십시오.
    1. 작업 공간 편집을 클릭하여 EEG 기록 소프트웨어로 EEG 증폭기를 설정하고 모든 피사체에 대해 .1\u2012100Hz 대역통과 필터 및 500Hz 샘플링 속도로 신호를 수집하도록 설정합니다.
    2. 뇌파 기록을 시작하십시오.
    3. 소스 검색 단계를 시작하고 소스 검색 작업의 타임스탬프가 EEG 기록에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3. 피험자가 소스 검색 작업을 완료하면 EEG 캡과 전극을 탈 이온수와 소독제로 청소하십시오.
  4. EEG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합니다.
    1. 고역 통과는 1Hz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저역 통과는 100Hz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합니다.
    2. 주변 채널을 사용하여 불량 채널을 식별하고 보간합니다50.
    3. 데이터를 평균 참조(51)로 재참조한다.
    4. 원본 검색 작업에서 각 타임스탬프의 시작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할하고 사전 자극 기준 기간을 뺍니다.
    5. EEG 데이터에서 눈 깜박임 및 눈 운동 아티팩트와 같은 아티팩트를 식별하고 제거합니다. 아티팩트가 큰 시험(1,000μV 이상의 전압 변동 또는 표준을 초과하는 데이터 5 표준 편차)이 있는 시험을 검출하고 불합격시킵니다. 독립 성분 분석(ICA)52 을 실행하고 소음 성분(53)을 식별 및 제거한 후 EEG를 재구성합니다.
    6. 웨이블릿이 3Hz에서 3사이클에서 25Hz로 증가하는 모렛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하여 3Hz에서 125Hz까지 100개의 로그 간격 주파수에서 EEG 데이터를 시간-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합니다.
    7. 소스 검색 54,55,56,57 동안 효과를 보여주는 오른쪽 전두엽 및 왼쪽 정수리 채널의 사전 훈련 및 훈련 후 실험 세션에서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대기자 명단 대조군의 사전 자극 기준선과 관련된 세타 파워를 비교합니다. 모든 분석은 다중 비교를 제어해야 합니다.
      참고: EEG 데이터는 EEGLab58과 같은 신호 처리를 위해 설계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 및 분석할 수 있습니다. EEGLab 교육 워크샵 및 자습서는 Swartz 전산 신경 과학 센터 (https://sccn.ucsd.edu/eeglab/index.php)를 통해 제공됩니다.

5. 마음 챙김 명상 훈련

  1. 마음 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MBSR) 기술59에서 훈련 된 마음 챙김 명상 강사를 고용하십시오.
    참고: MBSR 기법을 익힌 강사는 온라인(예: https://www.brown.edu/public-health/mindfulness/programs/mbsr-teacher-recognition)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의 20 명의 피험자가 마음 챙김 명상 강사와 함께 4 주 동안 매주 한 시간 동안 그룹으로 만나도록하십시오.
    참고: 표준 MBSR 과정은 8주이며 호흡 인식, 앉은 명상, 요가 및 이완 기술이 포함됩니다. 마음 챙김 명상 훈련에는 호흡 인식 및 앉아있는 명상과 같은 표준 MBSR 과정의 측면이 포함되어야합니다 ( 보충 파일 3 참조). 주의 집중 및 실행 기능과 관련된 이러한 관행은 에피소드 기억에 기여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3. 피험자가 마음 챙김 명상 강사가 제공 한 안내 호흡 인식 명상 녹음을 사용하여 매일 최소 20 분 동안 마음 챙김 명상을 연습하게하십시오.
  4. 매일 이메일 설문 조사를 통해 피험자에게 마음 챙김 명상을 몇 분 동안 연습했는지, 명상 중에 무엇을했는지, 연습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물어 매일 마음 챙김 명상 연습을 추적하십시오 ( 자료 표 참조).
    참고 : 연구자들은 마음 챙김 명상을 연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 피험자를 제외하는 것을 고려해야합니다.
  5.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을 마친 후 가능한 한 빨리 훈련 후 실험 세션을 예약하십시오.
    참고 : 연구원은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을 마친 직후 훈련 후 실험 세션을 완료 할 수없는 피험자를 제외하는 것을 고려해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무작위 대조 실험에 EEG 기술을 사용하는인지 신경 과학 전문가에게 문의하십시오.

Representative Results

대표적인 결과는 40 명의 명상 순진하고 오른 손잡이이며 유창한 영어를 사용하는 피험자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에서 18 세에서 22 세 사이의 남성 10 명과 여성 10 명, 대기자 명단 대조군에서 18 세에서 22 세 사이의 남성 7 명과 여성 13 명)에 대해보고되었습니다. 행동 및 EEG 데이터는 시간(훈련 전, 훈련 후)에 따른 마음챙김 명상 실험 및 대기자 명단 대조군(실험, 대조군)을 비교하는 혼합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다중 비교를 위해 모든 사후 테스트가 수정되었습니다.

마음 챙김 설문지
첫째, 분석은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이 성공적인지 여부를 평가했습니다. 피험자들은 마음 챙김 명상을 연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고 FFMQ로 측정 한대로 마음 챙김이 증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FFMQ 합계 (F (1,38) = 11.15, MSE = 67.67, p <. 01)에 대한 그룹과 시간 간의 상호 작용과 FFMQ 설명 (F (1,38) = 3.35, MSE = 12.26, p = .08) 및 비 판사 (F (1,38) = 3.87, MSE = 15.37, p = .06) 척도에 대한 그룹과 시간 간의 한계 상호 작용 이있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의 경우 FFMQ 합계 (F (1,19) = 15.60, MSE = 63.34, p < .01), 설명 (F (1,19) = 6.36, MSE = 8.44, p = .02) 및 비 판사 (F (1,19) = 10.12, MSE = 8.60, p < .01)에 대한 사전 훈련에서 사후 훈련으로 점수가 증가한 반면 대기자 명단 대조군은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표 1 참조).

실험적인 제어
사전 교육 교육 후 사전 교육 교육 후
합계 128.13 (2.38) 138.07 (3.24) 123.59 (4.19) 121.25 (4.77)
관찰하다 26.98 (1.16) 28.70 (1.00) 23.83 (1.14) 23.70 (1.26)
묘사하다 29.5 (1.36) 31.82 (.99) 27.10 (1.25) 26.55 (1.26)
자각 25.25 (1.06) 26.95 (1.12) 25.27 (.94) 24.05 (1.28)
비판사 24.65 (1.26) 27.60 (1.40) 27.50 (1.42) 27.00 (2.05)
비활성 21.75 (.99) 23.00 (1.08) 19.90 (1.09) 19.95 (1.16)

표 1 : 5 패싯 마음 챙김 설문지 데이터. FFMQ 합계뿐만 아니라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훈련 후 실험 세션과 비교 한 사전 훈련을위한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대한 관찰, 설명, 인식, 비 판사 및 비 반응 점수. 괄호 안에 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이 표시됩니다. 이 표는 Nyhus et al.60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에피소드 기억
둘째, 분석은 에피소드 기억 과제의 행동 수행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은 근원 차별 (출처 d ')에 의해 측정 된 근원 기억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그룹과 시간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없었지만 (F (1,38) = 1.16, MSE = .12, p = .29), 쌍별 비교는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 (F (1,19) = 10.53, MSE = .12, p<.01)에 대한 사전 훈련에서 사후 훈련으로 소스 차별이 증가했지만 대기자 명단 대조군은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 2 참조).

실험적인 제어
조건 사전 교육 교육 후 사전 교육 교육 후
치다 올바른 소스 배치 .66 (.02) .67 (.03) .71 (.03) .69 (.02)
즐거움 올바른 출처 .61 (.03) .72 (.03) .64 (.05) .74 (.03)
잘못된 소스 배치 .34 (.02) .33 (.03) .29 (.03 .31 (.02)
즐거움 잘못된 출처 .39 (.03) .28 (.03) .36 (.05) .26 (.03)
출처 d' .70 (.11) 1.06 (.12) 1.04 (.17) 1.23 (.14)
출처 c -.06 (.05) .07 (.05) -.12 (.12) .10 (.07)

표 2: 소스 행동 데이터.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및 훈련 후 실험 세션과 비교하여 사전 훈련을위한 대기자 명단 대조군에 대한 적중률, 오경보율, 출처 차별 (출처 d ') 및 반응 편향 (출처 c). 괄호 안에 표준 오차가 있는 평균이 표시됩니다. 이 표는 Nyhus et al.60에서 수정되었습니다.

뇌파 결과
셋째, EEG 분석은 일화 기억의 신경 상관 관계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효과를 조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세타 파워는 1000에서 1500ms까지 오른쪽 전두엽 및 왼쪽 정수리 채널에서 검사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다중 소스 검색 작업54,55,56,57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왼쪽 정수리 채널의 경우, 그룹은 시간과 상호 작용했습니다 (F (1,37) = 9.52, MSE = .92, p < .01).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 (F (1,19) = 17.37, MSE = .23, p< .01)의 경우 사전 훈련에서 훈련 후로 세타 파워가 증가했지만 대기자 명단 대조군은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그림 5 참조).

Figure 5
그림 5 : 마음 챙김 명상이 세타 파워에 미치는 영향. 마음 챙김 명상 실험을위한 세타 파워 및 훈련 후 실험 세션과 비교하여 사전 훈련을위한 대기자 명단 대조군. (A) 오른쪽 전두엽 채널의 시간과 주파수에 걸친 시간-주파수 스펙트로그램. (B) 왼쪽 정수리 채널의 시간과 주파수에 걸친 시간-주파수 스펙트로그램. (C) 10001500ms의 모든 채널에 걸친 세타 전력 및 사전 훈련에서 사후 훈련까지의 차이. (C) 흑색 * 마크는 오른쪽 전두엽 및 왼쪽 정수리 부위의 채널을 분석하였다. 색상 스케일: 사전 자극 기준선에서 데시벨 변화와 사전 훈련의 p-값에서 훈련 후 차이로. 이 수치는 Nyhus et al.60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마지막으로, 마음 챙김의 변화와 에피소드 기억 행동 수행 및 EEG의 변화 사이의 상관 관계를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에서 조사했습니다. FFMQ Describe 점수의 증가는 훈련 전에서 훈련 후까지의 증가와 우측 전두엽 채널에서 훈련 전에서 훈련 후로의 EEG 세타 파워 증가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습니다(r = .72, n = 20, p < .01, 양측, Bonferrroni 수정됨, 그림 6 참조).

Figure 6
그림 6: FFMQ와 세타 거듭제곱의 변화 간의 상관관계. 오른쪽 전방 채널에서 히트와 올바른 거부에 대한 사전 훈련과 사후 훈련 사이의 세타 거듭제곱의 평균 차이와 FFMQ의 차이 간의 상관 관계 사전 훈련과 훈련 후 점수 설명. 이 수치는 Nyhus et al.60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보충 파일 1. 이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보충 파일 2. 이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보충 파일 3. 이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Discussion

현재의 프로토콜은 마음 챙김 명상이 소스 메모리와 세타 진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첫 번째 증거를 제공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훈련과 행동 및 신경 측정을 결합함으로써 우리는 일화 기억과 그 신경 상관 관계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효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일화 기억에 대한 마음 챙김 명상의 행동 효과 17,18,19,20과 마음 챙김 명상의 신경 효과 1,21,22,23,24,25,26,27,28,29 ,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 , 에피소드 기억 동안 행동과 뇌파를 결합한 연구는 없습니다. 또한, 마음 챙김 명상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종종 전문 명상가 1,17,21,22,23,24,25,26,27,28,29,30,32,33,35, 36,37,38,39,40,41,43,44이므로 자기 선택 편향의 위험이 있습니다. 무작위로 할당 된 마음 챙김 명상 및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과 함께 종단 설계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그룹 차이를 더 잘 제어 할 수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마음 챙김 명상에 대한 이전 연구는 종종 전체 8 주 MBSR 과정을 사용했지만, 현재 연구는 4 주간의 마음 챙김 명상 훈련만으로 상당한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몇 가지 주요 단계가 있었습니다. 첫째, 마음 챙김 명상 실험 또는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에 대한 무작위 할당은 그룹이 대략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중요했습니다. 둘째, 집중 집중 및 실행 기능 (예 : 호흡 인식)과 관련된 MBSR 과정의 측면에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을 집중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셋째, 피험자가 마음 챙김 명상을 연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매일 명상하는 데 소비 한 시간을 정확하게보고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넷째, 마음 챙김 명상 실험 그룹과 대기자 명단 통제 그룹 간의 사전 훈련과 훈련 후 실험 세션 사이의 시간을 동일시하여 타이밍을 제어하고 마음 챙김 명상 훈련 후 가능한 한 빨리 훈련 후 실험 세션을 예약하여 마음 챙김 명상 훈련의 효과가 테스트 전에 사라지지 않도록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다섯째, 마음 챙김 명상은 주의력과 실행 기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에피소드 기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소스 메모리와 같은 실행 기능이 필요한 에피소드 메모리 작업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공물이없는 고품질 EEG 데이터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장점이 있었지만 몇 가지 제한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마음 챙김 명상이 소스 메모리에 미치는 영향은 약했습니다. 이것은 기억력이 좋은 건강한 젊은 성인이거나 피험자가 마음 챙김 명상을 연습하는 데 소비 한 제한된 시간을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4주간의 마음챙김 명상 훈련은 표준 8주 MBSR 과정보다 짧았으며 평균적으로 피험자들은 매일 마음챙김 명상을 연습하는 데 20분을 소비하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활성 대조군이 없었기 때문에 마음 챙김 명상이 소스 기억이나 세타 진동을 향상시키는 데있어 다른 치료법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는 불분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여기에 사용 된 EEG 분석 방법은 결과의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비주기적 1 / f 비 진동 전력의주기적인 진동 전력의 기여를 분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기억력이 약한 피험자를 사용하고, 전체 8주 MBSR 과정을 구현하고, 능동적 제어 조건을 사용하고, 진동 및 1/f 비진동 활동을 분리하는 새로 개발된 분석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61.

따라서 현재의 방법은 행동과 뇌파를 결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이 에피소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을 에피소드 기억을 개선하고 뇌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다른 치료법과 비교해야합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행동과 신경 측정을 결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이인지의 다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야합니다. 행동 및 신경 측정을 결합하고 마음 챙김 명상을 대체 치료법과 비교함으로써인지 향상을위한 가장 유망한 치료법을 더 잘 결정할 수 있습니다.

Disclosures

저자는 공개 할 것이 없습니다.

Acknowledgments

이 작업은 Bowdoin College 및 Bowdoin Life Sciences Research Fellowship, Peter J. Grua 및 Mary G. O'Connell Faculty / Student Research Award 및 Kufe Family Student Research Fellowship의 행정부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과정을 이끌어 주신 Benjamin Tipton과 실험 설계 및 분석에 도움을 주신 Hannah Reese에게 감사드립니다.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BrainVision actiCHamp Brain Products GmbH, Gilching, Germany BP-09020 64-channel EEG system
BrainVision Recorder Brain Products GmbH, Gilching, Germany BP-00020 EEG recording software for EEG data acquisition
E-Prime 2.0 Professional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Sharpsburg, PA PST-100577 Software designed for behavioral research that can interface with the EEG recording
Qualtrics Qualtrics, Provo, UT Core XM Survey tool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Cahn, B. R., Polich, J. Meditation states and traits: EEG, ERP, and neuroimaging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2 (2), 180-211 (2006).
  2. Creswell, J. D. Mindfulness Interventions. Annuaul Reviews of Psychology. 68, 491-516 (2017).
  3. Eberth, J., Sedlmeier, P.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 meta-analysis. Mindfulness. 3, 174-189 (2012).
  4. Goyal, M., et al. Meditation programs for psychological stress an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Internal Medicine. 174 (3), 357-368 (2014).
  5. Holzel, B. K., et al. How Does Mindfulness Meditation Work? Proposing Mechanisms of Action From a Conceptual and Neural Perspectiv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6 (6), 537-559 (2011).
  6. Sedlmeier, P., et al.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meditat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38 (6), 1139-1171 (2012).
  7. Tang, Y. Y., Holzel, B. K., Posner, M. I. The neurosci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6 (4), 213-225 (2015).
  8. Van Dam, N. T., et al. Mind the Hype: A Critical Evaluation and Prescriptive Agenda for Research on Mindfulness and Meditation.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 (2017).
  9. MacCoon, D. G., et al. The validation of an active control intervention for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0 (1), 3-12 (2012).
  10. Bailey, N. W., et al. Mindfulness meditators show enhanced working memory performance concurrent with different brain region engagement patterns during recall. bioRxiv. , (2019).
  11. Chiesa, A., Calati, R., Serretti, A. Does mindfulness training improve cognitive 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of neuropsychological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 (3), 449-464 (2011).
  12. Lutz, A., Slagter, H. A., Dunne, J. D., Davidson, R. J. Attention regulation and monitoring in medita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2 (4), 163-169 (2008).
  13. MacCoon, D. G., MacLean, K. A., Davidson, R. J., Saron, C. D., Lutz, A. No sustained attention differences in a longitudinal randomized trial comparing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versus active control. PLoS One. 9 (6), 97551 (2014).
  14. Mrazek, M. D., Franklin, M. S., Phillips, D. T., Baird, B., Schooler, J. W. Mindfulness training improve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GRE performance while reducing mind wandering. Psychological Science. 24 (5), 776-781 (2013).
  15. Wang, M. Y., et al. Mindfulness meditation alters neural activity underpinning working memory during tactile distraction. bioRxiv. , (2019).
  16. Zeidan, F., Johnson, S. K., Diamond, B. J., David, Z., Goolkasian, P. Mindfulness meditation improves cognition: evidence of brief mental training.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9 (2), 597-605 (2010).
  17. Levi, U., Rosenstreich, E. Minfulness and memory: a review of findings and a potential model.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 (2018).
  18. Basso, J. C., McHale, A., Ende, V., Oberlin, D. J., Suzuki, W. A. Brief, daily meditation enhances attention, memory, mood, and emotional regulation in non-experienced meditators. Behavioral Brain Research. 356, 208-220 (2019).
  19. Brown, K. W., Goodman, R. J., Ryan, R. M., Analayo, B. Mindfulness Enhances Episodic Memory Performance: Evidence from a Multimethod Investigation. PLoS One. 11 (4), 0153309 (2016).
  20. Lykins, E. L. B., Baer, R. A. Performance-based tests of attentention and memory in long-term mindfulness meditators and demographically matched non-meditators. Cognitive Therapy Research. 36, 103-114 (2012).
  21. Fox, K. C., et al. Functional neuroanatomy of meditation: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78 functional neuroimaging investigation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65, 208-228 (2016).
  22. Fox, K. C., et al. Is meditation associated with altered brain struct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orphometric neuroimaging in meditation practitioner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43, 48-73 (2014).
  23. Tomasino, B., Fregona, S., Skrap, M., Fabbro, F. Meditation-related activations are modulated by the practices needed to obtain it and by the expertise: an ALE meta-analysis stud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6, 346 (2012).
  24. Kang, D. H., et al. The effect of meditation on brain structure: cortical thickness mapping and diffusion tensor imaging.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8 (1), 27-33 (2013).
  25. Lazar, S. W., et al. Functional brain mapping of the relaxation response and meditation. Neuroreport. 11 (7), 1581-1585 (2000).
  26. Lazar, S. W., et al. Meditation experienc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cortical thickness. Neuroreport. 16 (17), 1893-1897 (2005).
  27. Luders, E., et al. Global and regional alterations of hippocampal anatomy in long-term meditation practitioners. Human Brain Mapping. 34 (12), 3369-3375 (2013).
  28. Luders, E., Toga, A. W., Lepore, N., Gaser, C. The underlying anatomical correlates of long-term meditation: larger hippocampal and frontal volumes of gray matter. Neuroimage. 45 (3), 672-678 (2009).
  29. Sperduti, M., Martinelli, P., Piolino, P. A neurocognitive model of meditation based on activation likelihood estimation (ALE) meta-analysi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21 (1), 269-276 (2012).
  30. Tang, Y. Y., Rothbart, M. K., Posner, M. I. Neural correlates of establishing, maintaining, and switching brain states.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6 (6), 330-337 (2012).
  31. Tomasino, B., Fabbro, F. Increases in the righ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decreases the rost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after-8 weeks of focused attention based mindfulness meditation. Brain and Cognition. 102, 46-54 (2016).
  32. Zeidan, F. The Handbook of Mindful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he. , Guilford Press. (2015).
  33. Engstrom, M., Pihlsgard, J., Lundberg, P., Soderfeldt, B.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hippocampal activation during silent mantra meditation.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6 (12), 1253-1258 (2010).
  34. Holzel, B. K., et al. Mindfulness practice leads to increases in regional brain gray matter density. Psychiatry Research. 191 (1), 36-43 (2011).
  35. Holzel, B. K., et al. Investig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practitioners with voxel-based morphometry.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3 (1), 55-61 (2008).
  36. Lou, H. C., et al. A 15O-H2O PET study of meditation and the resting state of normal consciousness. Human Brain Mapping. 7 (2), 98-105 (1999).
  37. Luders, E., Kurth, F., Toga, A. W., Narr, K. L., Gaser, C. Meditation effects within the hippocampal complex revealed by voxel-based morphometry and cytoarchitectonic probabilistic mapping. Frontiers in Psychology. 4, 398 (2013).
  38. Aftanas, L. I., Golosheikin, S. A. Changes in cortical activity during 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 study of meditation by high resolution EEG. Fiziologiia Cheloveka. 29 (2), 18-27 (2003).
  39. Brandmeyer, T., Delorme, A. Reduced mind wandering in experienced meditators and associated EEG correlates. Experimenal Brain Research. 236 (9), 2519-2528 (2018).
  40. Delmonte, M. M. Electrocortical activity and related phenomena associated with meditation practice: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24 (3-4), 217-231 (1984).
  41. Fell, J., Axmacher, N., Haupt, S. From alpha to gamma: elect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meditation-related states of consciousness. Medical Hypotheses. 75 (2), 218-224 (2010).
  42. Kubota, Y., et al. Frontal midline theta rhythm is correlated with cardiac autonomic activities during the performance of an attention demanding meditation procedure. Cognitive Brain Research. 11 (2), 281-287 (2001).
  43. Lee, D. J., Kulubya, E., Goldin, P., Goodarzi, A., Girgis, F. Review of the Neural Oscillations Underlying Medita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12, 178 (2018).
  44. Lomas, T., Ivtzan, I., Fu, C. H. A systematic review of the neurophysiology of mindfulness on EEG oscillation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57, 401-410 (2015).
  45. Tang, Y. Y., et al. Central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nteraction is altered by short-term medit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6 (22), 8865-8870 (2009).
  46. Baer, R. A., Smith, G. T., Hopkins, J., Krietemeyer, J., Toney, L.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13 (1), 27-45 (2006).
  47. Kucera, H., Francis, W. N. Computational Analysis of Present-day American English. , Brown University Press. (1967).
  48. MacWhinney, B., St James, J., Schunn, C., Li, P., Schneider, W. STEP--a System for Teaching Experimental Psychology using E-Prime.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3 (2), 287-296 (2001).
  49. Bukach, C. M., Stewart, K., Couperus, J. W., Reed, C. L. Using Collaborative Models to Overcome Obstacles to Undergraduate Publication in Cognitive Neuroscience. Frontiers in Psychology. 10, 549 (2019).
  50. Srinivasan, R., Nunez, P. L., Tucker, D. M., Silberstein, R. B., Cadusch, P. J. Spatial sampling and filtering of EEG with spline laplacians to estimate cortical potentials. Brain Topography. 8 (4), 355-366 (1996).
  51. Dien, J. Issues in the application of the average reference: Review, critiques, and recommendation.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0, 34 (1998).
  52. Bell, A. J., Sejnowski, T. J. An information-maximization approach to blind separation and blind deconvolution. Neural Computation. 7 (6), 1129-1159 (1995).
  53. Chaumon, M., Bishop, D. V., Busch, N. A. A practical guide to the selection of independent components of the electroencephalogram for artifact correction.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250, 47-63 (2015).
  54. Medrano, P., Nyhus, E., Smolen, A., Curran, T., Ross, R. S. Individual differences in EEG correlates of recognition memory due to DAT polymorphisms. Brain and Behavior. 7 (12), 1-16 (2017).
  55. Nyhus, E., Badre, D. The Wiley Handbook on the Cognitive Neuroscience of Memory. Addis, M., Barense, M., Duarte, A. , John Wiley & Sons, Ltd. 131-149 (2015).
  56. Ross, R. S., et al. Genetic variation in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influences ERP old/new effects during recognition memory. Neuropsychologia. 78, 95-107 (2015).
  57. Ross, R. S., Smolen, A., Curran, T., Nyhus, E. MAO-A Phenotype Effects Response Sensitivity and the Parietal Old/New Effect during Recognition Memory.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2, 53 (2018).
  58. Delorme, A., Makeig, S. EEGLAB: an open source toolbox for analysis of single-trial EEG dynamics includ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34 (1), 9-21 (2004).
  59.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 Dell Publishing. (1990).
  60. Nyhus, E., Engel, W. A., Pitfield, T. D., Vakkur, I. M. W. Increases in Theta Oscillatory Activity During Episodic Memory Retrieval Following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3, 311 (2019).
  61. Haller, M., et al. Parameterizing neural power spectra. bioRxiv. , (2018).

Tags

신경 과학 문제 159 행동 마음 챙김 명상 에피소드 기억 기억 검색 뇌파 세타 진동
행동과 EEG를 결합하여 마음 챙김 명상이 에피소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구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Nyhus, E., Engel, W. A., Pitfield,More

Nyhus, E., Engel, W. A., Pitfield, T. D., Vakkur, I. M. W. Combining Behavior and EEG to Study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Episodic Memory. J. Vis. Exp. (159), e61247, doi:10.3791/61247 (2020).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