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8.11:

세포호흡이란 무엇인가?

JoVE Core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Biology
Introduction to Cellular Respiration

Languages

Share

세포 호흡은 이화 과정이며생체 분자가 분해되어서전자 전달 연쇄 계를 통해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만드는 것을 칭한다.이 과정은 사람 안의 산소를 필요로하며 이는 대부분의 다른 생물도 같다.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물, 열, 그리고 ATP 형식의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한다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물, 열, 그리고 ATP 형식의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한다다른 많은 생체 분자,당, 아미노산, 지방질이세포 호흡에 이용 될 수 있을 때포도당은 원형으로 이용된다.그리하여 세포 호흡 등식은C6 H12 O6 + 여섯 개의 O2는C6 H12 O6 + 여섯 개의 O2는여섯 개의 이산화 탄소와 여섯 개의 H20 그리고 에너지를 만들며이는 광합성의 반대이기도 합니다.이 반응은 사실 여러 단계에서 발생하며당 분해는 세포질 안에서,피루비산염 산화와 구연산 회로는미토콘드리아에서,그리고 산화성 인산화는미토콘드리아 내막 위에서 발생한다.이 같은 세포 방식의 활동이 모여편모 운동, 근육 수축에서부터생체 분자 분해를 통해 ATP를 생성하는 것까지 이루게 해준다.

8.11:

세포호흡이란 무엇인가?

유기체는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지만, 이 에너지는 세포에 의해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세포는 영양소에 저장된 에너지를 보다 유용한 형태인 아데노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줄여서 ATP)으로 변환합니다.

ATP는 필요할 때 빨리 방출할 수 있는 화학 결합에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세포는 세포호흡(cellular respiration) 과정을 통해 ATP의 형태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세포호흡에서 나오는 많은 에너지가 열로 방출되지만, 그중 일부는 ATP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세포호흡 중 몇몇 산화환원반응(oxidation-reduction, 줄여서 redox)은 유기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 전자(electron)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산화(oxidation)는 전자 손실을, 환원(reduction)은 전자 획득을 의미합니다. 전자운반체(electron carrier) NAD+와 FAD는 각각 환원된 형태인 NADH와 FADH2와 함께 세포호흡의 여러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떤 원핵생물(prokaryote)은 산소가 필요하지 않은 무산소(anaerobic; 혐기성) 호흡을 합니다. 대부분의 유기체는 훨씬 더 많은 ATP를 생산하는 유산소(aerobic; 호기성) 호흡을 합니다. 유산소 호흡은 포도당과 산소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함으로써 ATP를 발생시킵니다.

유산소 호흡과 무산소 호흡 모두 산소가 필요하지 않은 해당과정(glycolysis)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해당과정은 포도당을 피루브산(pyruvate)으로 분해하여 ATP를 생성합니다. 산소가 없을 경우, 피루브산이 발효해서 해당과정을 지속하기 위한 NAD+를 생성합니다. 여러 종류의 효모는 이를 통해 알코올 발효를 합니다. 인간의 근육 세포는 산소가 고갈되면 유산(lactic acid) 발효를 합니다. 따라서 무산소 호흡은 발효로 끝납니다.

한편, 유산소 호흡은 피루브산 산화와 함께 계속됩니다. 피루브산 산화는 시트르산회로(citric acid cycle)로 들어가는 아세틸 CoA(acetyl CoA)를 생성합니다. 시트르산회로는 아세틸 CoA의 결합 에너지를 방출하는 여러 산화환원반응으로 구성되며, ATP와 환원된 전자운반체 NADH와 FADH2를 생성합니다.

세포호흡의 마지막 단계인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는 ATP의 대부분을 생성합니다. NADH와 FADH2는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chain)를 통해 전자를 전달합니다. 전자전달계는 양성자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방출하고, 배출된 양성자는 ATP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양성자 구배(proton gradient)를 형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