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21.1:

내분비계란 무엇인가?

JoVE Core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Biology
What is the Endocrine System?

Languages

Share

내분비계는 세포, 조직샘 및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생산하고분비하고 호르몬을 규제한다호르몬은 이웃 세포와 체내의 먼 곳과 사이에교신을 하는 화학적 신호이다여러 호르몬이 세포외 액으로분비되고 순환계를 통하여여러 세포 유형으로 움직여 간다그런데 특정의 표적에만, 이를테면, 특별호르몬을 위한 특정 수용기를 가진 세포에만영향을 준다이렇게 내분비계는 수많은 생물학적 과정을유지하는데, 항상성, 신진대사, 생식 및발달 등이 이에 포함 된다

21.1:

내분비계란 무엇인가?

내분비계(endocrine system)는 호르몬(화학적 신호)을 혈류를 통해 표적 세포(호르몬이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세포)로 보냅니다. 이 신호는 내분비세포(endocrine cell)에서 생성되고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으로 분비되어 혈액으로 확산합니다. 마지막으로 호르몬은 혈액 밖으로 확산해 호르몬을 인식하는 특수 수용체(receptor)를 가진 표적 세포에 결합합니다.

대체 경로

대부분의 호르몬은 순환계(circulatory system)를 통해 표적 세포에 도달하지만 이외에 호르몬을 표적 세포에 운반하는 다른 경로도 있습니다. 측분비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은 호르몬을 내분비세포에서 세포외액으로 내보내 국소 세포에 영향을 끼칩니다. 자가분비 신호전달(autocrine signaling)이라고 불리는 측분비 신호전달의 한 형태에서, 세포외액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은 해당 호르몬을 분비한 세포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 다른 신호전달 방식인 시냅스 신호전달(synaptic signaling)은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을 뉴런 말단(neuron terminal)에서 시냅스(synapse; 뉴런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특수 접합점)로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에서 인접한 뉴런, 근육 세포, 그리고 분비샘(gland; 분비선)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합니다. 신경내분비 신호전달(neuroendocrine signaling)에서 신경분비 세포(neurosecretory cell)는 표적 세포에 영향을 주기 위해 혈액을 통해 이동하는 신경호르몬(neurohormone)을 분비합니다. 전반적으로, 내분비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은 호르몬이 표적 세포에 도달하는 데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신호보다 더 느린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그 효과 또한 일반적으로 더 오래 지속합니다.

호르몬 분비

호르몬은 따로 관(duct)이 없기 때문에 내분비샘(endocrine gland; 내분비선)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액으로 직접적으로 퍼집니다. 이와 비교하여 침샘(salivary gland)과 같은 외분비샘(exocrine gland; 외분비선)은 표면이나 안(cavity; 강)에 직접 목표 선량을 분비하는 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분비세포는 특수화된 내분비샘에서 있는 것 외에도, 위와 같은 장기에 있는 다른 기능을 가진 세포들 사이에도 있을 수 있습니다.

표적 세포

호르몬은 호르몬을 인식하는 수용체를 가진 특정한 표적 세포(target cell)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자물쇠와 열쇠처럼 표적 세포의 수용체가 자물쇠이고 거기에 맞는 호르몬이 열쇠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표적 세포는 호르몬을 생산하는 내분비세포와 아주 가까울 수도 있고 아주 멀 수도 있지만, 호르몬은 일단 혈류를 통해 이동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와 소장에 있는 내분비세포는 위 세포의 위산 분비를 바꿀 수 있는 호르몬을 방출합니다. 반면에, 뇌 아래에 위치한 뇌하수체(pituitary gland)가 분비하는 호르몬은 콩팥(신장) 세포에 작용해 소변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uggested Reading

Jones, Christopher M., and Kristien Boelaert. “The Endocrinology of Ageing: A Mini-Review.” Gerontology 61, no. 4 (2015): 291–300. [Source]

Yang, Oneyeol, Hye Lim Kim, Jong-Il Weon, and Young Rok Se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Review of Toxicological Mechanisms Using Molecular Pathway Analysis.”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 no. 1 (March 2015): 12–24.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