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chapter

22.1:

호흡기관

JoVE Core
B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Biology
The Respiratory System

Languages

Share

호흡기 시스템은 일련의 통로와덕트로 구성되어신체 외부에서 내부의 폐로공기를 공급합니다.공기가 먼저 콧구멍을 통해미립자가 있는 비강 속으로 들어오고박테리아, 먼지 같은 해로운 물질들은털과 점액으로 걸러지고더 깨끗해진 공기는 따뜻해지고 가습 됩니다.공기는 또한 입을 통해서수축이 가능한 매끄러운 근육으로 구성된 연골관과주요 기도로 흘러가기 전에인두와 후두부에 도달하게 되고호흡하는 동안 안정이 요구됩니다.기관은 흉강 안으로 연결되어왼쪽과 오른쪽 폐에 해당하는두개의 기관지로 갈라지게 됩니다.그것은 흉막으로 둘러싸여 있고다이어프램에 의해 아래쪽으로 얽혀 있습니다.각 폐 안에는 기관지가 나뉘어져 있습니다.세기관지라고 불리는 점점 더 작은 가지로 말이죠.가장 작은 팁에는작은 폐포 주머니들과 얇은 층 실질 세포로 세분되며,폐포 덕트가 있습니다.이 조직은 순환 시스템으로 발생하는가스교환을 위해 넓은 표면적을 제공합니다.

22.1:

호흡기관

호흡기관(respiratory system)은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기는 콧구멍과 입으로 들어가고, 그 다음 인두(pharynx)와 후두(larynx)로 이어져 기관(trachea)으로 이어집니다. 가슴안(thoracic cavity; 흉강)에서 기관은 두 개의 기관지(bronchus; bronchi)로 갈라져 공기가 허파(lung; 폐)로 들어갑니다. 기관지는 점차 작은 세기관지(bronchiole)로 나뉘며 가스 교환이 발생하는 허파꽈리(alveolus; alveoli; 폐포)라고 불리는 작은 묶음의 허파의 작은 주머니에서 끝납니다.

이물질 제거

공기는 코안(nasal cavity; 비강)에서 정화되지만, 이 방어선을 통과하거나 입을 통해 들어가는 것은 무엇이든 허파에 걸릴 수 있습니다. 허파는 이물질을 가두어 놓는 점액(mucus)을 생산하고, 기관지와 세기관지는 처리를 위해 목으로 향하여 점액과 이물질을 치켜드는 섬모(cilia)로 정렬됩니다. 흡연은 섬모를 손상해 흡연에 의해 생성된 과도한 점액을 제거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듭니다. 이것이 흡연자들이 호흡기 감염에 더 취약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p>

기관

기관은 10-12cm 길이의 관으로 식도 앞에 위치해 공기가 허파로 들어오고 나갈 수 있게 해줍니다. 기관의 C자형 유리질연골(hyaline cartilage; 초자연골)은 기관을 열어놓습니다. 기관의 민무늬근(smooth muscle; 평활근)이 수축하면, 기관의 지름이 줄어들고 내쉬는 공기가 큰 힘(기침 등)으로 밀려납니다. 목이나 입이 손상되어 호흡을 막는 경우, 기관절개술(tracheostomy)을 통해 기관에 구멍을 뚫어 허파에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게 할 수 있습니다.

허파꽈리

세기관지 끝에 있는 하나의 허파꽈리관(alveolar duct; 폐포관)은 대략 100개의 꽈리주머니(alveolar sac; 폐포낭)로 나뉘는데, 이것은 각각 줄기 위에 있는 포도 다발을 닮았습니다. 각각의 꽈리주머니는 작은 거품이나 포도처럼 보이는 20-30개의 허파꽈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허파꽈리는 가스 교환 장소이며 모세혈관과 직접 접촉합니다. 이 구조는 허파의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신체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허파의 기능에 매우 중요합니다. 허파에는 작은 아파트 크기인 75m2의 허파꽈리 표면적이 있습니다!

Suggested Reading

Hogan, Brigid L. M., Christina E. Barkauskas, Harold A. Chapman, Jonathan A. Epstein, Rajan Jain, Connie C. W. Hsia, Laura Niklason, et al. “Repair and Regeneration of the Respiratory System: Complexity, Plasticity, and Mechanisms of Lung Stem Cell Function.” Cell Stem Cell 15, no. 2 (August 7, 2014): 123–38.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