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청각 경로

JoVE Core
Anatomy and Physiology
A subscription to JoVE is required to view this content.  Sign in or start your free trial.
JoVE Core Anatomy and Physiology
Auditory Pathway
Please note that all translation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2,884 Views

01:15 min
February 01, 2024

청각 경로는 말초 청각 시스템에서 뇌로 청각 정보를 전달하고 해석하는 복잡한 신경 회로를 구성합니다. 음파는 처음에는 외이에 의해 포착되어 외이도를 통해 유입되어 고막(고막)에 도달합니다. 이러한 진동은 중이의 이소골을 통해 내이의 달팽이관으로 전달됩니다.

횡단면으로 볼 때, 달팽이관은 달팽이관 옆에 있는 스칼라 전정(scala vestibuli)과 스칼라 고막(scala tympani)을 드러냅니다. 달팽이관 안에는 수많은 코르티 기관이 있으며, 달팽이관은 달팽이관의 파동 운동을 신경 자극으로 변환합니다. 달팽이관 내의 코르티 기관과 스칼라 고막 사이에 있는 기저막 위에 위치한 이 기관은 스칼라 전정과 스칼라 고막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 파동에 반응합니다. 기저막의 위치는 파동 주파수에 선택적으로 반응합니다. 달팽이관 기저부에 가까운 영역은 더 높은 주파수에 반응하고 달팽이관 끝에 가까운 영역은 더 낮은 주파수에 반응합니다.

코르티 기관 안에는 유모 세포가 산재해 있으며, 이는 정점 표면에서 돌출된 입체섬모(털을 닮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가장 큰 것부터 가장 작은 것까지 구배로 조직된 이러한 입체섬모는 각 배열 내의 단백질 섬유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단백질 밧줄은 기저막 이동에 반응하여 이러한 어레이의 집단적 굽힘을 촉진합니다. 코르티 기관(Corti organ)의 중간에 부착된 구조막(tectorial membrane)을 향해 뻗어 있는 이 입체섬모는 스칼라(scala)의 압력파가 기저막(bassilar membrane)을 자극함에 따라 측면 이동을 겪습니다. 배열에서 가장 높은 쪽으로 또는 멀어지는 입체섬모가 구부러지면 단백질 밧줄 장력이 변경되어 가장 높은 쪽으로 구부러지면 유모 세포막 내의 이온 채널이 열리고 가장 짧은 쪽으로 구부러지면 닫힙니다. 소리가 없을 때, 서 있는 입체섬모는 밧줄에 약간의 장력을 가하여 유모 세포막의 약간의 탈분극을 초래합니다.

유모 세포는 기계적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청각 신경 섬유를 활성화합니다. 이러한 신호는 청각 신경을 통해 뇌간, 특히 달팽이관 핵으로 이동하고, 상올리바 복합체(superior olivary complex)와 하구(inferior colliculus)를 포함한 여러 릴레이를 통해 상승합니다.

청각 신호는 시상으로 계속 이동하여 궁극적으로 뇌의 측두엽에 있는 청각 피질에 도달합니다. 이 영역은 정보를 처리하여 음높이, 강도 및 위치화와 같은 다양한 소리 속성을 구별하여 청각 자극을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