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Login processing...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Engineering

초미세 입자형 금속의 기계적 강도 결정

Published: November 22, 2021 doi: 10.3791/61819
*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Summary

여기에 제시된 프로토콜은 고압 방사형 다이아몬드 모루 세포 실험 및 관련 데이터 분석을 설명하며, 이는 전통적인 접근법에 대한 중요한 돌파구와 함께 나노 물질의 기계적 강도를 얻는 데 필수적입니다.

Abstract

금속의 기계적 강화는 산업 및 학계에서 재료 과학의 오랜 도전이자 인기있는 주제입니다. 나노금속의 강도에 따른 크기 의존성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낮은 나노 미터 규모에서 재료의 강도를 특성화하는 것은 전통적인 기술이 더 이상 나노 압흔, 마이크로 필라 압축, 인장 등과 같이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없게되기 때문에 큰 도전이었습니다. 현재 프로토콜은 방사형 다이아몬드 모루 셀 (rDAC) X 선 회절 (XRD) 기술을 사용하여 차동 응력 변화를 추적하고 초미세 금속의 강도를 결정합니다. 초미세 니켈 입자는 더 거친 입자보다 더 중요한 항복 강도를 가지며 니켈의 크기 강화는 3nm까지 계속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 중요한 발견은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있는 특성화 기술에 크게 의존합니다. rDAC XRD 방법은 나노 물질 역학을 연구하고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ntroduction

소성 변형에 대한 저항은 재료의 강도를 결정합니다. 금속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이 크기 강화 현상은 밀리미터에서 서브 미크론 정권 1,2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인 홀 - 페치 관계 이론에 의해 잘 설명 될 수 있습니다.이 이론은 벌크 크기의 금속의 전위 매개 변형 메커니즘, 즉 전위가 입자 경계 (GBs)에 쌓여 움직임을 방해하여 금속 3,4의 기계적 강화로 이어집니다.

대조적으로, 종종 역 홀 - 페치 관계라고 불리는 기계적 연화는 지난 20 년 동안미세 나노 금속에 대해보고되었습니다 5,6,7,8,9,10. 따라서, 나노 금속의 강도는 여전히 수수께끼 같고 지속적인 경화가 10 nm∼10 nm까지 내려가는 입자 크기에 대해 검출되었고 11,12 nm 이하의 크기 연화의 경우도 7,8,9,10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논쟁의 여지가있는 주제에 대한 주요 어려움 또는 과제는 초미세 나노 금속의 기계적 특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재현 가능한 측정을하고 나노 금속의 강도와 입자 크기 사이의 신뢰할 수있는 상관 관계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어려움의 또 다른 부분은 나노 금속의 플라스틱 변형 메커니즘의 모호성에서 비롯됩니다. 전위 13,14, 변형 자매결연 15,16,17, 스태킹 결함15,18, GB 마이그레이션 19, GB 슬라이딩 5,6,20,21, 그레인 회전 22,23,24, 원자 결합 매개 변수25,26,27,28 등 그러나 어느 것이 소성 변형을 지배하고 따라서 나노 금속의 강도를 결정하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이러한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해, 인장 시험29, 비커스 경도 시험30,31, 나노 압흔 시험 32, 마이크로필러 압축33,34,35 등과 같은 기계적 강도 검사의 전통적인 접근법은 나노 구조 재료의 큰 조각의 높은 품질이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고 기존의 인덴터는 재료의 단일 나노입자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단일 입자 역학). 이 연구에서는 방사형 DAC XRD 기술36,37,38을 재료 과학에 도입하여 이전 연구에서 지구 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입자 크기의 나노 니켈의 항복 응력 및 변형 텍스처링을 현장에서 추적합니다. 기계적 강화는 이전에 보고된 가장 실질적인 크기의 나노금속보다 훨씬 작은 3nm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홀-페치 관계의 체제를 확대하여 rDAC XRD 기술이 재료 과학에 미치는 중요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Protocol

1. 시료 준비

  1. 상업용 소스로부터 3 nm, 20 nm, 40 nm, 70 nm, 100 nm, 200 nm 및 500 nm 니켈 분말을 얻습니다 ( 재료 표 참조). 형태학 특성화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2. 반응 주전자를 사용하여 3 nm 니켈 입자를 가열하여 8 nm 니켈 입자를 준비 하십시오 (재료 표 참조).
    1. ~20 mL의 절대 에탄올과 ~50 mg의 3 nm 니켈 분말을 반응 주전자에 넣는다. 참고 : 전체 솔루션은 주전자 부피의 ~ 70 %에 도달해서는 안됩니다.
    2. 반응 주전자를 80°C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한다.
    3.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작은 용액을 하나의 구리 메쉬에 떨어 뜨립니다 (TEM 그리드, 재료 표 참조).
    4. 건조된 구리 메쉬를 투과 전자 현미경(TEM) 챔버에 넣고 200 kV 전압 전자빔 하에서 샘플 형태를 관찰하였다.
      참고 : 구리 메쉬는 ~ 5 분 동안 공기 건조되거나 5 분의 건조 조명을 사용했습니다.
    5. TEM 이미지에서 입자 크기 분포를 수동으로 측정합니다.
      참고: 입자 크기 측정은 Image J와 같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6. 용액을 꺼내어 실온에서 에탄올을 기화시킨다; 그 후, 나머지 흑색 고체는 평균 입자 크기가 8nm인 순수한 니켈 분말이다.
  3. 12 nm 니켈 분말 준비
    1. 단계 1.2를 반복하되, "절대 에탄올" 및 "24시간 동안 80°C"를 "절대 이소프로판올" 및 "12시간 동안 150°C"로 변경하되, 평균 입자 12 nm의 순수 니켈 분말을 얻었다.

2. 고압 방사형 DAC XRD 측정

  1. 레이저 드릴링 머신을 사용하여 X 선 투명 붕소 에폭시 가스켓을 만드십시오 ( 재료 표 참조).
    1. Kapton (플라스틱의 일종) 지원 개스킷 준비
      참고 : Kapton은 폴리이미드 필름 재료 입니다 (재료 표 참조).
      1. 언급 된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레이저 드릴링 머신으로 내부 원을 자릅니다 : 35 % 레이저 출력, 3 패스, 0.4 mm / s (절삭 속도).
      2.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외부 직사각형을 자릅니다 : 레이저 출력의 80 %, 두 개의 패스, 1.2mm / s (절삭 속도). 직사각형 치수는 8 x 1.4mm입니다.
    2. 직경이 ~10mm인 더 큰 붕소 디스크에서 붕소 에폭시 개스킷을 준비합니다.
      참고: 붕소 디스크는 비정질 붕소 분말과 에폭시 접착제(36)의 혼합물을 압축하여 제조된다.
      1. 원시 디스크를 수동으로 사포로 60-100 μm 두께로 연마하십시오.
        참고 : 사포는 ~ 400 메쉬에서 ~ 1000 메쉬까지입니다.
      2. 언급 된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레이저 드릴링 머신으로 내부 원을 자릅니다 : 35 % 레이저 출력, 3 패스, 0.4 mm / s (절삭 속도).
      3. 레이저 드릴링 머신으로 외부 원을 자르십시오 : 레이저 출력의 30 %, 한 패스, 0.4 mm / s (절삭 속도). 반복하고 그것이 나올 때 즉시 중지하십시오.
    3. 개스킷 조립
      1. Kapton 지지 가스켓(단계 2.1.1에서 준비)을 유리 슬라이드 위에 놓습니다.
      2. 뚫린 붕소 개스킷을 Kapton 가스켓의 내부 구멍에 놓습니다. 붕소 가스켓의 큰 끝이 맨 위에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3. 또 다른 깨끗한 유리 슬라이드를 맨 위에 놓습니다. 가스켓이 Kapton 개스킷의 구멍에 단단히 삽입 될 때까지 단단히 잡고 누르십시오.
      4. 제작된 개스킷 어셈블리를 두 개의 깨끗한 유리 슬라이드 사이에 보관하고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접착제 테이프로 감싸십시오.
        참고: 개스킷 직경, Ø = 다이아몬드 컬릿 크기 + 150μm. 더 나은 재현성을 위해, 가스켓 준비 중에 레이저 드릴링 및 절단에 동일한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언가가 잘못되었을 경우 작은 조정이 가능). 좋은 크기 매칭을 위해 레이저 절단을 위해 입력되는 개스킷의 직경은 Ø + 23 μm이고 Kapton 지지 개스킷의 내부 구멍 직경 (레이저 절단을 위해 입력됨)은 Ø - 23 μm입니다.
  2. 방사형 DAC 실험 로딩
    1. 개스킷 어셈블리 장착
      1. 보는 컴퓨터 모니터(광학 현미경에 연결됨)에서 점을 표시하여 다이아몬드의 중심(DAC의 피스톤 다이아몬드)을 찾습니다.
      2. 붕소-에폭시 가스켓(단계 2.1에서 제조됨)을 장착하고 가스켓 구멍의 중앙에 마크를 장착한다.
      3.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가스켓 어셈블리를 눌러 개스킷이 피스톤의 다이아몬드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합니다.
        참고: DAC에는 두 개의 동일한 다이아몬드 조각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위쪽은 실린더 다이아몬드라고 하고, 아래쪽은 피스톤 다이아몬드라고 합니다.
    2. 개스킷 설정 청소 및 압축
      1. 가스켓 구멍보다 작은 청크 크기의 샘플을 로드하여 가스켓 표면에 재료가 오버플로우되지 않도록 합니다.
        참고 : 여기에있는 샘플은 실험에서 연구 한 후보 물질을 의미합니다. 본 연구에서, 샘플은 상이한 크기의 Ni 분말 및 Pt 칩이다.
      2. 치밀화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샘플 조각을로드 한 후 셀을 닫으십시오.
    3. 부드러운 재료의 적재 (예 : 금)
      1. 부드러운 샘플의 한 조각만로드하십시오 (부드러운 재료를 적재 된 재료의 작은 부분으로 만드십시오).
      2. 단단한 비정질 재료를 사용하여 가스켓 구멍을 채워 소형화하십시오.
    4. 원자 수가 적은 물질의 적재 (예 : 스피넬, 파이로프, 뱀)
      1. 샘플을 10% Pt 또는 Au와 혼합합니다. 가스켓 구멍을 혼합물로 채우지 만 오버플로는 없습니다.
      2. 필요한 경우 단단한 비정질 재료를 상단에 올려 놓아 컴팩트 함을 향상시킵니다.
  3. X선 회절 연구
    1. 점토의 지지체와 함께 DAC의 300 μm 큐렛의 상부에 두께 100 μm 및 60 μm의 챔버 구멍으로 X선 투명 붕소-Kapton 가스켓(단계 2.1에서 제조됨)을 장착한다.
    2. Ni 샘플 위에 작은 Pt 칩 조각을 압력 교정제로 놓습니다.
      참고: 축방향과 방사형 사이의 차동 응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압력 매체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3. 25 또는 30keV의 에너지를 가진 단색 싱크로트론 X선 (물질의 표 참조)을 사용하여 x-레이 회절 실험을 실시하십시오.
    4. X선 빔을 샘플의 ~30 x 30μm2 표면적에 초점을 맞춥니다.
    5. 100 μm/pixel의 분해능을 갖는 2차원 이미지 플레이트( 재료 표 참조)에 의해 1-2 GPa의 압력 간격으로 X선 회절 패턴을 수집합니다. 사용된 설정은 그림 2그림 3에 나와 있습니다.
  4. 실험 데이터 분석
    1. 각 X선 회절 이미지를 Fit2d 37,38,39,40,41,42를 사용하여 5° 방 위각 단계에 걸쳐 72개의 스펙트럼 포함된 파일로 처리합니다.
      참고: 이차원 회절 이미지에는 360°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응력 및 질감 정보를 분석하려면 각 파일에 5° 방위각 정보가 포함된 72개의 파일로 분리해야 합니다. Fit2d는 X선 회절 데이터 37,38,39,40,41,42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2. MAUD37 소프트웨어에서 Rietveld 방법으로 회절 패턴을 구체화합니다. 각 격자 평면의 격자 변형률은 패턴37,40을 피팅하여 구하였다.
    3. 격자 변형률 이론 38 및 폰 미제스 항복 기준38,39에 따라 차동 응력 및 항복 강도를 다음 단계 2.5에 따라 계산한다.
  5. 실험 데이터 분석을 위한 격자 변형 이론
    1. 다음 수학식 18에 따른 폰 미제스 항복 기준에 기초하여 재료의 항복 강도(38)의 하한 추정치를 제공하는 미분 응력(이들 최대(σ22 = σ33)과 최소 응력(σ11) 성분 간의 차이)을 결정하σy를 결정한다.
      (1) t= σ11-σ 33<2τ= σy.
    2. 다음 수학식 28에 의해 상이한 회절 방향으로부터 d-간격을 측정함으로써 방향 의존적 일탈률 Qhkl을 구한다:
      (2) Equation 1
      여기서 d0° 및 d90°는 각각 Ψ = 0° 및 Ψ = 90°(회절 벡터와 부하축 사이의 각도)로부터 측정된 d-간격이다.
    3. 그런 다음 수학식 38을 사용하여 t의 값을 도출합니다.
      Equation 2
      여기서 GR(hkl) 및 Gv는 각각 르우스(iso-stress) 조건 및 보이트(iso-strain) 조건 하에서의 응집체의 전단 모듈러스이고; α는 Reuss 및 Voigt 조건(40)의 상대적 중량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참고: 현재 실험의 복잡한 응력/변형 조건을 고려할 때 이 연구에서는 α = 0.5가 사용됩니다.
    4. 입방 시스템의 경우 방정식 4-6 38,40,41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G R (hkl) 및 Gv를 계산하십시오.
      (4) Equation 3
      (5) Equation 4
      (6) Equation 5
      여기서 Sij는 단결정 탄성 순응도이며 재료의 탄성 강성 상수Cij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3. TEM 측정

  1. 집속 이온 빔(FIB) 시스템을 사용하여 TEM용 얇은 가압된 Ni 호일을 준비 합니다(재료 표 참조). 시편의 이온 밀링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줄이려면 후보 영역에 ~1μm 두께의 SEM에 장착된 Pt 건을 사용하여 보호 Pt 층을 증착합니다.
  2. 고각 환형 암장(HAADF) 및 브라이트필드(BF) 검출기가 장착된 300kV 수차 보정 투과 전자 현미경에서 TEM 측정을 수행합니다.
  3. 고해상도 TEM 이미지를 촬영합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Representative Results

정압 압축에서 압연되지 않은 X 선 회절 선은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이어야합니다. 그러나 비정압 하에서는 곡률(방위각을 따라 플롯된 선의 비선형성으로 해석되는 XRD 링의 타원도)이 유사한 압력에서 초미세 입자 니켈을 크게 증가시킵니다(그림 4). 유사한 압력에서, 3 nm 크기의 니켈의 차동 변형률이 가장 높다. 기계적 강도 결과(응력-변형 곡선)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강도는 더 거친 곡물에서 더 미세한 곡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이는 전통적인 지식 5,6,10 (역 홀 - 페치 관계)과 다릅니다. 완전한 수율 후에, 나노 금속은 또한 강한 변형 경화를 갖는다.

상이한 압력에서 다양한 그레인 크기를 갖는 나노니켈의 인 시츄 포획된 변형 텍스처는 또한 방사형 DAC XRD 데이터(36)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우리의 이전 연구36에서, 20nm 이상의 더 큰 나노 입자 크기는 저압에서도 매우 강한 변형 질감을 보여줍니다. 입자 크기가 20nm 미만으로 감소하면 매우 약한 변형 질감을 보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총 전위 활성이 20nm 이하의 나노 니켈에서 덜 활성이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당연히, 다른 변형 메커니즘은 완전한 전위 슬립 대신 초미세 니켈 나노 결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아야합니다.

부분 슬립 변형 메커니즘을 검증하기 위해, 가압된 니켈 결정에 대해 TEM 이미징 측정을 수행하였다. 예상대로, 거친 그레인 샘플에서 높은 함량의 전위가 나타납니다(그림 6C). 대조적으로, 나노트윈은 고압으로 회수된 나노결정질 니켈에 잘 포획되고, 일부 적층 결함(43 )을 수반한다(도 6A, B). 요컨대, TEM 측정치(도 6)에서 관찰된 스태킹 결함에 의해 유도되는 자매결연은 부분적 전위(15)의 핵형성 및 운동으로부터 기인한다. 이것은 10nm 이하의 입자 크기 체제에서, 완전 전위 매개 변형이 고압 압축에서 부분 전위 매개 변형 (완전한 전위의 어느 정도 기여와 함께)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Figure 1
그림 1: TEM 및 SEM 이미지. 압축 전에 생 3 nm (A), 8 nm (B), 12 nm (C), 20 nm (D), 40 nm (E), 70 nm (F), 100 nm (G) 및 200 nm (H) 니켈 샘플의 TEM 및 SEM 특성화. 이 그림은 참조36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2
그림 2: 방사형 DAC XRD의 실험 설정. 이 그림은 참조36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3
그림 3: 샘플 챔버의 상단도. 다이아몬드의 큐렛은 붕소 가스켓 (노란색 부분)보다 작아야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4
그림 4: 방위각(0~360°) 굴곡되지 않은 다른 압력에서 니켈의 회절 이미지. 검은색 화살표는 축방향 압축 방향을 나타냅니다. 유사한 압력에서, 회절 라인의 곡률은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지속적으로 기계적 강화를 시사한다. 이 그림은 참조36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5
그림 5 : 니켈의 크기 강화. 200nm에서 3nm까지 니켈 강도(차동 응력)는 항상 증가하여 홀-페치 관계를 반영합니다. 이 그림은 참조36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6
그림 6: 약 40 GPa에서 담금질된 대표적인 니켈의 TEM 관측. (A) 3 nm Ni. (b) 20 nm Ni. (c) 200 nm Ni. 부분적인 전위 유도 쌍둥이는 20nm 이하의 니켈에서 볼 수 있으며, 거친 입자에서는 완벽한 전위 선이 많이 관찰됩니다. 가장자리 전위(노란색 "T")는 (C)의 인셋에 레이블이 지정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ussion

나노 금속 5,6,16,17,27,42의 강도에 대한 입자 크기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전산 시뮬레이션이 널리 채택되었습니다. 완벽한 전위, 부분 전위 및 GB 변형은 나노 물질의 변형 메커니즘에서 결정적인 역할을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에서 Yamakov et al.42는 SF 에너지, 재료의 탄성 특성 및 적용된 응력의 크기에 의존하는 완벽한 전위, 부분 전위 및 GB 변형을 포함한 변형 메커니즘 맵을 제안했습니다. Swygenhoven et al.27은 나노 금속의 슬립은 SF 에너지의 절대 값으로 설명 될 수 없지만 안정적이고 불안정한 SF 에너지를 포함하는 일반화 된 평면 결함 (GPF) 에너지가되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Jo et al.44는 상이한 변형 모드들, 즉, 완전 슬립, 트윈닝, 및 SF들이 GPF 이론에 기초한 전단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이한 fcc 금속들에서 활성화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들은 크기 연화가 GB 매개된 메커니즘으로의 전이 매개로 인해 발생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10nm 이하 니켈 나노 결정의 관찰 된 크기 강화를 설명 할 수 없습니다. 전류 측정은 나노 니켈의 더 작은 크기 범위에서 크기 강화가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거친 니켈과 미세한 니켈 모두에서 완벽한 탈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벽한 탈구가 주요 강화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부분적인 탈구의 미끄러짐과 입자 경계의 억제는이 극단적 인 강화에 필수적인 역할을합니다. 나노Pd와 나노Au를 사용하여 나노의 강도도 동일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미세 금속의 크기 강화 현상이 입자 경계 활동의 고압 억제와 함께 보편적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줍니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나노 물질의 기계적 성능을 특성화하는 데 방사형 DAC XRD 실험 14,38,43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실제 나노미터 크기의 대형 조각(mm 치수 이상)의 높은 품질(임계 그레인 크기 10nm의 임계 그레인 크기 이하) 금속은 심한 소성 변형(SPD) 또는 동일 채널 각도 프레싱(ECAP) 방법에도 불구하고 입자 조대화와 순도 때문에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강화 현상(30)을 밝히기 위해 10 nm 이하 입자화 금속에 대한 실험적 기계적 측정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역홀-페치 관계 연구는 시뮬레이션6에 의해 보고된다. 소형 인장 시험은 밀리미터 수준 또는45,46 이상의 표본 크기를 필요로 합니다. 밀리미터(심지어 서브 mm, 그레인 크기가 10nm 미만의 다결정 금속)의 벌크 지오메트리 크기는 반복 가능한 기계적 특성을 얻기 어렵습니다. 또한, 고순도 금속 나노 분말의 역학은 기존의 접근법 (장력 또는 압축 테스트)으로 직접 측정 할 수 없습니다. 싱크로트론 기반 X선 및 방사형 DAC를 사용하면 실제 나노그레인 크기(10nm 이하) 금속 분말의 반복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계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먼저 지구 과학에서 재료 과학에 이르기까지 rDAC XRD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이것은 나노 금속의 기계적 특성화에 중요한 돌파구가되어야합니다.

방사형 DAC XRD를 사용한 압축 강도 측정을 통해 10nm 미만의 입자 크기 금속(47,48)의 기계적 특성도 통계적으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결과는 우수한 데이터 통계로 인해 재현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47,48)은 지구과학뿐만 아니라 물질과학에서도 더욱 확장된 응용을 할 것이다. 고압 방사형 DAC XRD 기술의 장점을 제외하고 강도 측정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확립된 격자 변형 이론(38) 때문에 분말 또는 다결정 샘플에 사용된다. 단결정의 고압 회절 데이터는 분석하기가 어렵습니다. 한편, 샘플을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비수압 고압 환경이 필요하며, 챔버 또한 작다(<100 μm).

요약하면, 역홀-페치 효과로 알려진 금속의 크기 연화 이외에, 크기 강화는 확립된 지식에 의해 예측된 것보다 훨씬 낮은 3 nm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방사형 DAC XRD 기술은 나노 물질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강조된다. TEM 관찰은 강화 메커니즘이 전체 전위 매개 소성 변형에서 부분 전위 관련 소성 변형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발견은 입자 크기 및 입자 경계 변형 억제를 엔지니어링하여 재료의 더 높은 강도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장려합니다. 이것은 나노 금속의 산업 응용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losures

저자는 공개 할 것이 없습니다.

Acknowledgments

우리는 보조금 번호 11621062, 11772294, U1530402 및 11811530001에 따라 중국 국립 자연 과학 재단 (NSFC)의 지원을 인정합니다. 이 연구는 또한 중국 박사후 과학 재단 (2021M690044)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원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계약 번호 DE-AC02-05CH11231 및 상하이 싱크로트론 방사선 시설에 따라 DOE 과학 사용자 시설 사무소 인 Advanced Light Source의 자원을 사용했습니다. 이 연구는 NSF 협력 협정 EAR 1606856에 따라 지구 과학의 재료 특성 연구 컨소시엄 인 COMPRES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원되었습니다.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20 nm Ni Nanomaterialstore SN1601 Flammable
3 nm Ni nanoComposix Flammable
40, 70, 100, 200, 500 nm Ni US nano US1120 Flammable
Absolute ethanol as the solution to make 8 nm Ni
Absolute isopropanol as the solution to make 12 nm Ni
Amorphous boron powder alfa asear
Copper mesh Beijing Zhongjingkeyi Technology Co., Ltd. TEM grid
Epoxy glue
Ethanol clean experimental setup
Focused ion beam FEI
Glass slide
Glue tape Scotch
Kapton DuPont Polyimide film material
Laser drilling machine located in high pressure lab of ALS
Monochromatic synchrotron X-ray Beamline 12.2.2, Advanced Light Source (AL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X-ray energy: 25-30 keV
Optical microscope Leica to mount the gasket and load samples
Pt powder thermofisher 38374
Reaction kettle Xian Yichuang Co.,Ltd. 50 mL
Sand paper from 400 mesh to 1000 mes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I Titan G2 60-300
Two-dimension image plate ALS, BL 12.2.2 mar 345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Hall, E. O. The Deformation and ageing of mild steel.3. Discussion of results. Proceedings of the Physical Society of London Section B. 64 (381), 747-753 (1951).
  2. Conrad, H. Effect of grain size on the lower yield and flow stress of iron and steel. Acta Metallurgica. 11 (1), 75-77 (1963).
  3. Kanninen, M. F., Rosenfield, A. R. Dynamics of dislocation pile-up formation. The Philosophical Magazine: A Journal of Theoretical Experimental and Applied Physics. 20 (165), 569-587 (1969).
  4. Thompson, A. A. W. Yielding in nickel as a function of grain or cell size. Acta Metallurgica. 23 (11), 1337-1342 (1975).
  5. Schiotz, J., Di Tolla, F. D., Jacobsen, K. W. Softening of nanocrystalline metals at very small grain sizes. Nature. 391 (6667), 561-563 (1998).
  6. Schiotz, J., Jacobsen, K. W. A maximum in the strength of nanocrystalline copper. Science. 301 (5638), 1357-1359 (2003).
  7. Conrad, H., Narayan, J. Mechanism for grain size softening in nanocrystalline Zn. Applied Physics Letters. 81 (12), 2241-2243 (2002).
  8. Chokshi, A. H., Rosen, A., Karch, J., Gleiter, H. On the validity of the hall-petch relationship in nanocrystalline materials. Scripta Metallurgica. 23 (10), 1679-1683 (1989).
  9. Sanders, P. G., Eastman, J. A., Weertman, J. R. Elastic and tensile behavior of nanocrystalline copper and palladium. Acta Materialia. 45 (10), 4019-4025 (1997).
  10. Conrad, H., Narayan, J. On the grain size softening in nanocrystalline materials. Scripta Materialia. 42 (11), 1025-1030 (2000).
  11. Chen, J., Lu, L., Lu, K. Hardness and strain rate sensitivity of nanocrystalline Cu. Scripta Materialia. 54 (11), 1913-1918 (2006).
  12. Knapp, J. A., Follstaedt, D. M. Hall-Petch relationship in pulsed-laser deposited nickel films.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19 (1), 218-227 (2004).
  13. Kumar, K. S., Suresh, S., Chisholm, M. F., Horton, J. A., Wang, P. Deformation of electrodeposited nanocrystalline nickel. Acta Materialia. 51 (2), 387-405 (2003).
  14. Chen, B., et al. Texture of Nanocrystalline Nickel: Probing the lower size limit of dislocation activity. Science. 338 (6113), 1448-1451 (2012).
  15. Chen, M. W., et al. Deformation twinning in nanocrystalline aluminum. Science. 300 (5623), 1275-1277 (2003).
  16. Yamakov, V., Wolf, D., Phillpot, S. R., Gleiter, H. Deformation twinning in nanocrystalline Al by molecular-dynamics simulation. Acta Materialia. 50 (20), 5005-5020 (2002).
  17. Yamakov, V., Wolf, D., Phillpot, S. R., Mukherjee, A. K., Gleiter, H. Dislocation processes in the deformation of nanocrystalline aluminium by molecular-dynamics simulation. Nature Materials. 1 (1), 45-49 (2002).
  18. Yamakov, V., Wolf, D., Salazar, M., Phillpot, S. R., Gleiter, H. Length-scale effects in the nucleation of extended dislocations in nanocrystalline Al by molecular-dynamics simulation. Acta Materialia. 49 (14), 2713-2722 (2001).
  19. Shan, Z. W., et al. Grain boundary-mediated plasticity in nanocrystalline nickel. Science. 305 (5684), 654-657 (2004).
  20. Li, H., et al. Strain-Dependent Deformation Behavior in Nanocrystalline Metals. Physical Review Letters. 101 (1), 015502 (2008).
  21. Van Swygenhoven, H., Derlet, P. M. Grain-boundary sliding in nanocrystalline fcc metals. Physical Review B. 64 (22), 224105 (2001).
  22. Ovid’ko, I. A. Deformation of nanostructures. Science. 295 (5564), 2386 (2002).
  23. Murayama, M., Howe, J. M., Hidaka, H., Takaki, S. Atomic-level observation of disclination dipoles in mechanically milled, nanocrystalline Fe. Science. 295 (5564), 2433 (2002).
  24. Wang, L., et al. Grain rotation mediated by grain boundary dislocations in nanocrystalline platinum. Nature Communications. 5, 4402 (2014).
  25. Edalati, K., et al. Influence of dislocation-solute atom interactions and stacking fault energy on grain size of single-phase alloys after severe plastic deformation using high-pressure torsion. Acta Materialia. 69, 68-77 (2014).
  26. Edalati, K., Horita, Z. High-pressure torsion of pure metals: Influence of atomic bond parameters and stacking fault energy on grain size and correlation with hardness. Acta Materialia. 59 (17), 6831-6836 (2011).
  27. Yamakov, V., Wolf, D., Phillpot, S. R., Mukherjee, A. K., Gleiter, H. Deformation-mechanism map for nanocrystalline metals by molecular-dynamics simulation. Nature Materials. 3 (1), 43-47 (2004).
  28. Starink, M. J., Cheng, X., Yang, S. Hardening of pure metals by high-pressure torsion: A physically based model employing volume-averaged defect evolutions. Acta Materialia. 61 (1), 183-192 (2013).
  29. Yang, T., et al. Ultrahigh-strength and ductile superlattice alloys with nanoscale disordered interfaces. Science. 369 (6502), 427 (2020).
  30. Hu, J., Shi, Y. N., Sauvage, X., Sha, G., Lu, K. Grain boundary stability governs hardening and softening in extremely fine nanograined metals. Science. 355 (6331), 1292 (2017).
  31. Yue, Y., et al. Hierarchically structured diamond composite with exceptional toughness. Nature. 582 (7812), 370-374 (2020).
  32. Li, X. Y., Jin, Z. H., Zhou, X., Lu, K. Constrained minimal-interface structures in polycrystalline copper with extremely fine grains. Science. 370 (6518), 831 (2020).
  33. Yan, S., et al. Crystal plasticity in fusion zone of a hybrid laser welded Al alloys joint: From nanoscale to macroscale. Materials and Design. 160, 313-324 (2018).
  34. Khalajhedayati, A., Pan, Z., Rupert, T. J. Manipulating the interfacial structure of nanomaterials to achieve a unique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Nature Communications. 7 (1), 10802 (2016).
  35. Chen, L. Y., et al.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magnesium containing a dense uniform dispersion of nanoparticles. Nature. 528 (7583), 539-543 (2015).
  36. Zhou, X., et al. High-pressure strengthening in ultrafine-grained metals. Nature. 579 (7797), 67-72 (2020).
  37. Lutterotti, L., Vasin, R., Wenk, H. -R. Rietveld texture analysis from synchrotron diffraction images. I. Calibration and basic analysis. Powder Diffraction. 29 (1), 76-84 (2014).
  38. Singh, A. K., Balasingh, C., Mao, H. K., Hemley, R. J., Shu, J. F. Analysis of lattice strains measured under nonhydrostatic pressure. Journal of Applied Physics. 83 (12), 7567-7575 (1998).
  39. Hemley, R. J., et al. X-ray imaging of stress and strain of diamond, iron, and tungsten at megabar pressures. Science. 276 (5316), 1242-1245 (1997).
  40. Merkel, S., et al. Deformation of polycrystalline MgO at pressures of the lower mantl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olid Earth. 107, 2271 (2002).
  41. Singh, A. K. The lattice strains in a specimen (cubic system) compressed nonhydrostatically in an opposed Anvil device. Journal of Applied Physics. 73 (9), 4278-4286 (1993).
  42. Van Swygenhoven, H., Derlet, P. M., Frøseth, A. G. Stacking fault energies and slip in nanocrystalline metals. Nature Materials. 3 (6), 399-403 (2004).
  43. Chung, H. Y., et al. Synthesis of ultra-incompressible superhard rhenium diboride at ambient pressure. Science. 316 (5823), 436-439 (2007).
  44. Jo, M., et al. Theory for plasticity of face-centered cubic met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 (18), 6560 (2014).
  45. Klueh, R. L. Miniature tensile test specimens for fusion reactor irradiation studie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Fusion. 2 (3), 407-416 (1985).
  46. Konopík, P., Farahnak, P., Rund, M., Džugan, J., Rzepa, S. Applicability of miniature tensile test in the automotive sector.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461, 012043 (2018).
  47. Yang, J., et al. Strength enhancement of nanocrystalline tungsten under high pressure. Matter and Radiation at Extremes. 5 (5), 058401 (2020).
  48. Chen, B. Exploring nanomechanics with high-pressure techniques. Matter and Radiation at Extremes. 5 (6), (2020).

Tags

공학 문제 177 고압 방사형 다이아몬드 모루 셀 X선 회절 나노금속 기계적 강도 소성 변형
초미세 입자형 금속의 기계적 강도 결정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Xu, J., Wang, Y., Yan, J., Chen, B.More

Xu, J., Wang, Y., Yan, J., Chen, B. Determin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Ultra-Fine-Grained Metals. J. Vis. Exp. (177), e61819, doi:10.3791/61819 (2021).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