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Login processing...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Neuroscience

정신병유무에 관계없이 대마초 사용자의 뇌 형태 : 파일럿 MRI 연구

Published: August 18, 2020 doi: 10.3791/60881
*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Summary

이것은 대마초 유발 정신병 환자와 비 정신병 만성 대마초 사용자 사이의 회색 물질 볼륨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3T 자기 공명 이미징 연구입니다.

Abstract

대마초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법 약물이며, 그 소비는 모두 그렇지 않으면 건강한 주제에 정신 증상을 유도하고 이전 정신병 적 위험이있는 환자에서 플로리다 정신병 사진을 마스크를 해제 할 수 있습니다. 이전 연구는 만성 및 장기 대마초 노출 칸 나비 노이드 수용체로 농축 뇌 영역에 상당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대마초 의존성에 의해 결정 된 뇌 변경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표현형또는 학대자의 삶의 어느 시점에서 정신병 발병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마초 유발 정신병 (CIP)과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NPCU)와 만성 대마초 사용자 사이의 형태학적 뇌 차이를 조사하고 선택적 사회 인구 통계, 임상 및 심리 사회적 변수와 뇌 적자를 상관 화하는 것이었습니다.

10명의 CIP 환자 및 12개의 NPCU의 3T 자기 공명 화상 진찰 (MRI) 검사를 취득했습니다. 약물의 종류, 주파수, 그리고 지속 시간, 뿐만 아니라 사회 인구 통계, 임상 및 의존성의 심리사회적 매개 변수를 측정 했다. CIP 환자는 광범위한 회색 물질 (GM) 오른쪽 우수한 전두자 자이러스, 오른쪽 사전 중심, 오른쪽 우수한 측두엽 자이러스, 인술라 양측, 오른쪽 precuneus, 오른쪽 내측 난수 자이루스, 오른쪽 fusiform 자이러스, 정신병없이 만성 대마초 사용자에 비해 왼쪽 해마의 감소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CIP 환자에서, 결과는 간략한 정신과 평가 척도 (BPRS), BPRS 활동 및 선택적 GM 볼륨의 도메인 사이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결과는 대마초 유도 정신병이 NPCU에 존재하지 않는 선택적 뇌 감소를 특징으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경 이미징 연구는 대마초 사용자의 정신병개발 위험과 관련된 퍼티티 바이오마커를 식별할 수 있는 잠재적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Introduction

마약 및 마약 중독에 대 한 유럽 모니터링 센터에 따르면, 약 96 백만 (또는 29%) 유럽 연합 (EU)에서 성인의 (또는 29%) 불법 마약을 시도 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특히 대마초, 그들의 생활 동안. 일반 인구의 가장 젊고 가장 취약한 부분을 고려할 때, 젊은 성인의 약 16 %(15-34 세)는 작년에 대마초를 사용했으며 남성 대 여성 비율은 약 2:11 1로 사용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대마초 사용은 기분 변화, 증가 불안, 경주 생각, 왜곡 된 인식, 생각과 문제 해결의 어려움, 학습및 기억의 지속적인 문제, 느린 반응 시간 및 제어2의손실과 같은 건강한 과목에서 정신 증상의 발달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징후와 증상, 그래도, 일반적으로 일시적이며, 그 당 se 또는 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마초, 테트라 하이드로 칸 나비 놀 (THC)라는 이름의 주요 정신 성분을 통해, 또한 의심을 포함하여 긍정적 인 정신병 증상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편집증 망상, 사고 과정의 장애, 지각 변경3,뿐만 아니라 무딘 영향, 무관심, 아볼리티, 자발성 부족, 관심의 부족, 수동성, 인지 적자 (예를 들어, 메모리, 집행 기능, 추상적 인 능력, 의사 결정, 주의 력3)등 정신 분열증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부정적인 증상. 따라서, 현재, 대마초 소비는 모두 그렇지 않으면 건강한 과목에서 일시적인 정신 증상을 유도하고 이전 정신병 위험3환자에서 플로리다 정신병 사진을 마스크를 해제 할 수 있다는 증거가있다. 그러나, 이 관계가 인과 관계인지, 또는 순전히 상관 관계인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고토론4. 실제로, 무거운 대마초 소비와 정신병의 위험 사이의 관계를 제안 역학 연구에도 불구하고5,대마초 사용의 전 세계적으로 증가 된 발생률은 정신병4의증강 발생률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이 역설은 대마초 학대자 사이의 특정 혼란 차이의 존재에 의해 설명 될 수있다, 사용의 초기 발병, 높은 힘 대마초의 매일 가정, 가장 큰 정신병 위험3을들고 합성 카나비노이드의 소비. 더욱이, 특정 카테콜-O-메틸트랜스퍼라아제(COMT) 다형성의 존재와 같은 일부 유전적 요인은 또한 사용자6의작은 비율로 대마초 노출 후 정신병 증상을 개발하기 위해 증강 된 취약점을 부여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 신경 이미징 연구는 대마초가 정신병 증상으로 이어질 수있는 잠재적 인 신경 메커니즘을 조사하려고시도 7,전임상 연구는 이전에 THC가 카나비노이드 유형 1 수용체 (CB1R)가 풍부한 뇌 영역 내에서 활성화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해마, 편도선, 무형감 및 전두엽 피질 (PFC)8. 실제로, 건강한 대마초 사용자에게 실험 THC 투여는 학습 작업 동안 ventrostriatal 활성화를 감쇠하고 동시에 정신병 증상9뿐만 아니라 주의 현시 처리 동안 변경 된 전두엽 - 현저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구조적 자기 공명 영상 (MRI) 연구와 관련하여, 일부 저자는 전두엽 피질(11,12,13,해마14,15,편도선16 및 푸타멘17)에서 상당한 회색 물질 (GM) 볼륨 감소를 검출했으며, 다른 저자는 이 두 그룹 18, 19, 20, 21 사이의 중요한 뇌 차이를 보고하지 않은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 두 그룹18,19,20, 21 또는 보고된 GM의 주막 내, 증가된 GM제 량, 해마, 후방 cingulate 및 낮은 대마초와 청소년 중 소뇌22.

또한, 정신병 증상이있는 대마초 사용자와 정신 질환없이 대마초 사용자 사이에 특정 뇌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탐구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한 기능성 MRI 연구는 THC 소비 후 정신병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건강한 과목을 비교하고 오른쪽 중간 측두엽 자이러스에서 이동 / 노 - 이동 작업 중 증가 활동을보고하고 파라히마와 fusiform gyri 모두에서 활성감소, 이는 또한 정신병 그룹(23)에서더 큰 억제 오류와 관련이 있었다. 대조적으로, 엡스타인과 Kumra는 대마초 사용 장애를 가진 정신병 과 비 정신병 청소년 모두 유사한 뇌 변경을 공유 한다는 것을 발견; 구체적으로, 좌측 우완 전두엽 자이루스, 오른쪽 파사측 삼각형, 왼쪽 파사피리, 왼쪽 및 오른쪽 수프라한계자리, 왼쪽및 오른쪽 열등한 정수리 코르티제 및 좌측 우수한 측두엽 gyrus24에서감쇠된 피질 숱이 검출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같은 저자는 초기 발병 정신 분열증 (EOS)와 청소년을 비교 (EOS+) 없이 (EOS-) 대마초 사용 장애 (CUD), CUD만 및 건강 제어25 청소년. 흥미롭게도, 그들은 건강한 컨트롤에 비해 EOS 및 CUD 그룹 모두에서 왼쪽 우수한 정수리 영역에서 더 작은 회색 물질 볼륨을 검출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다른 그룹에 비해 EOS +를 가진 청소년에서 첨가제 볼륨 변경을 찾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더 최근의 더 큰 연구는 청소년의 샘플에서 정신병 생활 경험에 평생 대마초 소비에서 상당한 총 효과를 발견했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정신병 생활 경험 과 오른쪽 해마 / 파라 하마 의 커미티내의 축소 확장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26.

따라서, 이러한 연구, 비록 모든 일치, 대마초 유발 정신병 신경 생물학적 적자에 의해 특징 될 수 있습니다 제안, 순수한 정신병 장애에서 검출 된 것과 유사. 그러나, 대마초 의존성에 의해 결정되고 신경 이미징 조사에 의해 강조 되는 뇌 변경 임상적으로 중요 한 표현형 또는 학대자의 삶의 어떤 시점에서 정신병 발병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여부 여전히 불분명 남아. 이와 관련하여, 어떤 정신 증상없이 대마초 사용자와 비교하여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중 뇌 형태에 대한 조사는 대마초 유발 정신병의 신경 생물학적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지식의 최고에, 지금까지 어떤 연구는 정신 병리학, 빈도 및 의존성, 삶의 질, 성격 특성, 출산 합병증 및 어린 시절 학대와 같은 뇌 구조 형태 및 임상 매개 변수의 관점에서 건강한 대마초 사용자와 대마초 유발 정신병 과목을 비교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물질 유발 정신병 (CIP) 및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NPCU)와 만성 대마초 사용자 사이의 형태학적 뇌 차이를 조사하고 선택적 사회 인구 통계, 임상 및 심리 사회적 변수와 뇌 적자를 상관 화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CIP 환자가 NPCU에 비해 GM 볼륨에 상당한 감소를 보여줄 것이라는 점을 가설뿐만 아니라 GM 볼륨과 사회 인구 통계, 임상 및 심리 사회적 규모 사이의 가능한 상관 관계.

Protocol

이 연구를 위해 10명의 CIP 환자와 12명의 NPCU가 모집되었습니다. 모든 환자는 밀라노의 대학 폴리클리니코 병원 의 내부 정신 병원에서 모집되었다, 이탈리아, 대마초 사용자는 밀라노 유역 지역에 등록 된 반면. 모든 환자는 안정적인 약리학적 치료에 있었다.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참가자가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습관적인 대마초 소비를했고 약물의 종류, 주파수 및 지속 시간뿐만 아니라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 임상 및 심리 사회적 매개 변수를 측정했습니다. 이 연구는 지역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1. 참가자

  1. 다음과 같은 포함 기준을 사용하십시오 : 환자의 경우 : 나이 18-45 세, 대마초 유발 정신병 장애의 DSM-IV 진단, 연구 당시및 이전 6 개월에 무거운 대마초 소비. NPCU의 경우 : 나이 18-45 세, 아니 DSM-IV 진단, 연구의 시간에 무거운 대마초 소비와 이전 6 개월.
  2. 다음과 같은 배제 기준을 사용: 정신 지체의 진단, 현재 주요 의료 또는 신경 질환, 의식 상실과 외상성 머리 부상의 역사, 그리고 알코올 남용을 포함 하 여 다른 Axis I, 또는 Axis II 장애 및 임신. 정신병 증상이 대마초 사용의 발병에 선행되지 않고 급성 철수 또는 심한 중독의 중단 후 상당한 기간 동안 지속되지 않는지 확인하십시오. 재발하는 비물질 관련 에피소드의 기록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3.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얻으려면 참가자에게 동의서를 읽어보십시오. 참가자와 구도자 모두 동의서에 중복 서명하도록 합니다. 레코드에 대한 동의서를 저장합니다.
  4. CIP 환자의 진단을 평가하기 위해,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의 진단 (SCID-I)를위한 구조화 임상 인터뷰를 사용, 제 4 판, 텍스트 개정 (DSM-IV-TR)27.
  5. 주파수 및 의존기간을 설정하려면 어린이와 청소년SCICA28을위한 반구조화 임상 인터뷰매뉴얼을 사용한다.

2. 임상 및 심리사회적 평가

참고: 몇몇 임상 및 심리사회적 비늘은 모든 참가자에게 관리되었습니다.

  1. 정신과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간단한 정신과 평가 척도 (BPRS)29,젊은 매니아 등급 척도 (YMRS)30,몽고메리 - Åsberg 우울증 등급 척도 (MADRS)31,해밀턴 우울증 등급 척도 (HAM-D)32 및 해밀턴 불안 등급 척도 (HAM-A)33을사용합니다.
  2. 산기 중 또는 그 직후외상 또는 감염의 존재를 탐구하려면 머레이 루이스 산부인과 합병증 척도(MLOCS)34를사용하십시오.
  3. 방치 또는 학대의 경험을 평가하려면 치료 및 학대 설문지 (CECA-Q)35의어린 시절 경험을 사용하십시오.
  4. 사회 경제적 지위(SES)를 추정하려면 맥아더36의사회 경제 상태 척도를 사용하십시오.
  5. 이웃 규모(NS)(NS) 37을 사용하여 이웃 만족도 (NS-A), 보안 감각 (NS-B), 저하 수준 (NS-C), 불리한 상황 (NS-D)에 개입하려는 동료 시민의 의지 및 물질 수용 정도 (NS-E)의 관점에서 이웃의 특정 특성을 평가하십시오.
  6. 성격 특성을 탐구하기 위해 기질과 캐릭터 인벤토리 (TCI-125)를고용38,39.
  7. 삶의 질과 글로벌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맨체스터 단기 삶의 질 평가(MANSA)40과 삶의 질 지수(QL-index)41 및 기능의 글로벌 평가(GAF)27 스케일을 각각 사용합니다.
    참고: 모든 사회 인구 통계 및 임상 데이터는 표 1에요약되어 있습니다.

3. 자기 공명 이미징

  1. 참가자를 3 Tesla MRI 스캐너의 침대에 있는 supine 위치에 삽입합니다.
  2. 참가자의 머리 위에 무선 주파수(RF) 코일을 놓습니다.
  3. 배경 소음을 차단하는 귀마개와 헤드폰을 제공합니다.
  4. 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폼 패드를 부착합니다.
  5. 피사체에 가만히 있다고 지시한다.
  6. 상황실에서 워크스테이션에서 MRI 세션을 실행합니다.
    1. 정렬 및 국소화를 위해 3평면 그라데이션 에코 스캔을 실행하고 심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균일하고 일정한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2. MRI에 대한 에코 평면 이미징 프로토콜을 시작합니다. 고해상도 T1 가중 3차원 뇌 스캔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매개 변수는 이미 이미징 프로그램에서 설정되어 있으며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매개 변수는 : 반복 시간 [TR] = 9.8, 에코 시간 [TE] = 4.6 ms, 평면 복셀 크기 = 0.9375 × 0.9375, 매트릭스 = 256 × 256, 플립 각도 = 8 °입니다.
  7. MR 스캐너 룸에서 참가자를 제거합니다. MR 데이터를 디스크로 전송하고 세션을 닫습니다.
    참고: 총 185개의 연속1mm 척질 슬라이스가 소뇌의 열등한 양상으로부터 우수하게 확장되어 대부분의 뇌를 포괄하는 척골 국소제 스캔으로부터 선택되었다.

4. 사전 처리 단계

참고: 복셀 기반 morphometry 분석은 MATLAB에서 구현된 통계 파라메트릭 매핑(SPM12)을 사용하여 수행해야 합니다.

  1. 그룹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Script_pre 처리 스크립트 파일에 표시된 다음 사전 처리 단계를 수행합니다.
    1. 세분화: 구조 이미지를 처리하여 백색 물질 조직, 회색 물질 조직 및 뇌척수액을 다른 이미지로 구분하고 분리합니다. 이러한 분리는 원래 이미지에서 특정 조직의 복셀 분포를 식별하는 모델 클러스터 분석과 결합된 조직 분포의 일반적인 지식으로부터 정교하게 작성된 확률 맵의 조합 덕분에 얻어진다. segment.mat 배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2. DARTEL (지수 거짓말 대수를 통해 Diffeomorphic 해부학 등록) 도구 : 모든 참가자의 GM 및 백색 물질 이미지를 등록하기위한 비선형 변형을 결정합니다. create_template.mat 배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3. 정규화: 공간 정규화 단계에서 MRI 이미지를 해부학 표준 템플릿에 적용합니다. 이것은 모든 피사체가 구조의 크기와 형태적 차이와 같은 뇌의 형태와 조직에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normalize_to_MNI.mat 배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4. 공간 스무딩: 모션 보정 후, 신호 대 잡음 비율을 높이고 해부학 구조의 미묘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최대 가우시안 커널의 절반 최대 가우시안 커널에서 6mm 전체 폭의 동위 위트로픽 가우시안 커널을 수행합니다. normalize_to_MNI.mat 배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5. SPM12를 사용하여 총 두개 내 부피(ICV)를 추출: GM, 백색 물질 및 CSF 클래스 이미지의 밀도 값을 합산하고 복셀 볼륨에 곱하여 얻을 수 있다.
      참고: 사전 처리가 완료되면 데이터를 정교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고: 이 스터디에 사용된 전처리 단계와 사용할 SPM 명령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SPM 매뉴얼(https://www.fil.ion.ucl.ac.uk/spm/doc/spm12_manual.pdf)을 참조하십시오. 또한 이 연구에 사용되는 정확한 사전 처리 단계와 함께 보충 자료에 포함된 스크립트 및 Matlab 배치를 참조하십시오.

5. 통계 분석

  1. 인구 통계학적, 임상 및 심리사회적 척도에 대한 두 그룹 간의 차이점을 탐구하기 위한 치스퀘어 테스트(범주형 변수)와 두 개의 샘플 t 테스트(정량적 변수)를 수행합니다.
  2. 일반 선형 모델(GLM) 설계의 맥락에서 CIP 환자와 NPCU 간의 GM 볼륨을 비교하는 단방향 분산 분석(ANOVA)을 수행합니다. 성별과 연령은 모든 분석에서 변수를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단방향 ANOVA 배치 파일을 실행합니다.
  3. 전체 뇌 회귀 분석을 수행, 만 CIP 그룹에 대한, 이 연구에 사용되는 모든 임상 및 심리 사회적 비늘의 점수가 GM 볼륨 변화와 크게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탐구하기 위해. 뇌 마스크를 사용하지 말고 모든 복셀을 고려하십시오. 재보선 분석 배치 파일을 임상 적 규모의 관심 있는 파일로 실행합니다.
  4. MNI 공간 어레이(www.mni.mcgill.ca)에서 탈라라흐및투르누(42)의최대 치수 의 스테레오전술 좌표를 변환한다.
    참고: 모든 신경 해부학 분석에서, 피험자 간의 체적 차이는 총 두개내 부피(ICV)에 대한 비례 배율조정에 의해 고려되었다.
    1. ANOVA의 경우, k=30의 최소 클러스터 크기로 0.001 p< 0.001로 유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반면, 복수회귀 분석의 경우 p < 0.05 피크 패밀리 와이즈 오류(pFWE)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k=10의 최소 클러스터 크기가 채용되었습니다. 이전 임계값은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작은 샘플 크기로 인해 고려되었기 때문에 이 분석에서 나온 결과는 예비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p 값이 여러 비교에 대해 수정되므로 후자 임계값이 더 엄격합니다.
      참고: 사후 처리 단계(http://dbm.neuro.uni-jena.de/vbm8/VBM8-Manual.pdf)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VBM8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이 연구에 사용되는 정확한 모델과 함께 보충 재료에 포함된 "단방향 ANOVA"와 "회귀 분석"이라는 Matlab 배치를 참조하십시오. 이 연구의 탐색적 특성으로 인해 공식적인 샘플 크기 계산은 값이 거의 없으므로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Representative Results

사회 인구 통계학적, 임상 및 심리사회적 결과
성별(θ2 =0.6, p=0.4), 연령(t=-0.21; p=0.83), 종속성 발생 연령(t=-0.79; p=0.44) 및 교육 수준(t=1.21; p=0.24)의 차이는 없었습니다. 그러나, 두 그룹 간의 일부 차이점은 CIP 환자가 NPCU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인 TCI의 한 기질 차원(해력 회피, t=3.71; p=0.001)과 1자 차원(자기 초월, t=2.94; p=0.008)에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NPCU는 또한 이웃 규모 (NS-E)의 한 하위 차원에서 CIP 환자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t=-3.55; p=0.002), SES 합계(t=-2.13; p=0.046), 삶의 질-인덱스(t=-8.1; p=0.0001), GAF(t=-4.71; p=0.0001) 및 TCI(자기 지시, 방향) 한 문자 차원에서 t=-3.97; p=0.001).

구체적으로, CIP의 경우, 대마초 의존성의 빈도는 9 과목 (90 %)에 대한 매일이었다 1 과목 (10 %)에 대한 일주일에 여러 번. 대신, NPCU 그룹의 대마초 의존성 빈도는 7 과목 (60%),4 과목 (30 %)에 대한 일주일에 여러 번, 1 과목 (10 %)에 대한 한 달에 여러 번 매일이었다. 의존성의 개시의 평균 연령은 CIP 환자를 위한 18 세및 NPCU 단을 위한 16 세에 이었습니다. 모든 참가자가 대마초를 복용했지만, 일부 CIP 환자 (N = 6)와 NPCU (N = 3)는 코카인, LSD 및 헤로인 / 메타도네를 포함한 다른 약물의 이전 사용을보고했지만 대마초보다 주파수가 낮습니다. 대마초 사용빈도는 두그룹(θ 2=1.69, p=0.42)과 다르지 않았다. 더욱이, 코카인의 유형 과 빈도에 통계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헤로인 / 메타단과 LSD 사용은 두 그룹 사이에 관찰되었다 (코카인:2=0.06, p =0.79 및 θ2=4.1, p =0.39; 헤로인 / 메타도네: θ2=1.2, p=0.26 및 θ 2 =1.2, p=0.26 및 θ 2=2=2= 2=2; p=2=2= LSD: θ2=0.01, p=0.89 및 θ2=2.0, p=0.36). 우리는 샘플에서 다중 소비의 존재가 부정적인 연구 결과의 일반화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고 있지만, 다른 약물의 사용은 대마초 사용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대마초 사용과는 달리, 다른 약물의 소비는 평생이었고 연구 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 하 고, 우리의 결과 신중 하 게 취해야 하 고 더 균일 한 샘플에서 복제 해야.

VBM 결과
VBM 분석은 CIP 환자가 오른쪽 우수한 전두자 자이러스 ((브로드만 지역 [BA] 10), 오른쪽 중앙 집중식 (BA 4) , 오른쪽 우수한 측두구 자이러스 (BA 22), insula 양측에서 NPCU에 비해 광범위한 GM 감소를 보였다 ly (BA13), 오른쪽 precuneus (BA7), 오른쪽 내측 후두 자이러스 (BA 19), 오른쪽 fusiform 자이러스 (BA 37) 및 왼쪽 해마 (p < 0.001 수정 되지 않은; 표 2그림 1). NPCU에서 CIP 환자에 비해 GM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GM 지구와 임상 저울 간의 상관 관계
CIP 환자에서, 결과는 BPRS의 도메인 사이의 부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다, BPRS-활동, 및 왼쪽 우수한 측두피질 내에서 선택적 GM 볼륨 (BA 38, x =-40 y=17 z=-35, z=5.9, 클러스터 크기 =19) 및 왼쪽 소뇌 (x=12 y=-36 z=20, z=18). 또한, 동일한 척도는 양측 간 쿠뉴(BA 18; 왼쪽: x=-9 y=-90 z=9, z=7.0) 쿠뉴와 긍정적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었다. 클러스터 크기=24; 오른쪽: x=15 y=-85 z=24, z=7.3, 클러스터 크기=13), 왼쪽 열등한 후두 자이루스 (BA 17; x=-9 y=-88 z=6, z=7.4, 클러스터 크기=34), 오른쪽 열등한 패리 로불(BA-20; x2=5; x2=5;x8=50=x2= 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x.20=x2=x2=x.20=x2=x.20=x.20=x2=x2=x.2==5=5=5=5=5=5=5=y.x=20=y.;x=20=x=28=5=5=58=58=5===20=5=5=5=5=5===20=x2=x2=x=28=5=5=5=x.28=x.28==x.20==x20=x2=x2=x z=6.7, 클러스터 크기=33), 오른쪽 우수한 전두엽 피질(BA 9; x=3 y=51 z=29, z=6.2, 클러스터 크기=23) (모든 p<0.05 pFWE 수정). 다른 임상 척도중 어느 한 쪽에서 중요한 상관관계는 CIP 환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
그림 1: 물질 유발 정신병 (CIP) 환자와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p<0.001, 수정되지 않은, k =30) 사이의 상당한 GM 차이가있는 지역은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CIP 환자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통계 p-값
n=10 n=12
나이, 평균 (SD) 27 (9.21) 26 (0.89) t= -0.213 p=0.833
섹스, 남성/여성 8/2 11/1 χ2=0.630 p=0.427
대마초 사용의 발병 연령, 평균 (SD) 18 (9.69) 16 (1.83) t= -0.786 p=0.441
유형(N); 다른 약물 사용 빈도 대마초 (N = 10); 매일(N=9), 일주일에 여러 번(N=1). 대마초 (N = 12); 일일(N=7), 일주일에 여러 번(N=4), 한 달에 여러 번(N=1). 빈도: θ2=1.69, p=0.42
코카인 (N =4); 일주일에 여러 번(N=2), 한 달에 여러 번(N=2). 코카인 (N =3); 일주일에 여러 번(N=1), 한 달에 여러 번(N=1), 한 달에 한 번 미만(N=1). 유형: θ2=0.06 유형: p=0.79
빈도: θ2=4.1 빈도: p=0.39
헤로인/메타도네 (N=1); 일주일에 여러 번. 헤로인/ 메타도네 사용자 없음. 유형: θ2=1.2 유형: p=0.26
빈도: θ2=1.2 빈도: p=0.26
LSD (N=1); 한 달에 한 달 미만. LSD (N=1); 한 달에 여러 번. 유형: θ2=0.01 유형: p=0.89
빈도: θ2=2.0 빈도: p=0.36
발병 연령, 평균 (SD) 25 (8.46) - - -
BPRS TOT, 평균 (SD) 43 (9) 20 (3) t=8.860 p=0.0001
불안 우울증 10 (5) 6 (2) t=2.629 p=0.016
아테르지아 8 (3) 4 (1) t=3.284 p=0.004
생각 장애 12 (3) 4 (0) t=9.754 p=0.0001
활동 6 (2) 3 (0) t=4.557 p=0.0001
적대감- 의심스러움 8 (4) 3 (0) t=4.053 p=0.001
HAM-D, 평균 (SD) 11 (6.42) 4 (4.96) t=3.258 p=0.004
HAM-A, 평균 (SD) 11 (6.62) 3 (3.93) t=3.487 p=0.002
MADRS, 평균 (SD) 14 (7.76) 6 (6.35) t=2.635 p=0.016
YMRS, 평균 (SD) 13 (7.92) 0 (1.44) t=5.378 p=0.0001
CECA-Q, 평균 (SD)
세카-QMA 13 (5.20) 13 (3.89) t=-0.069 p=0.946
CECA-QMN 19 (5.83) 19 (4.64) t=-0.284 p=0.779
세카-QPA 14 (6.44) 14 (5.56) t=-0.130 p=0.990
CECA-QPN 24 (11.69) 24 (7.12) t=0.070 p=0.945
동네 규모*, 평균(SD)
NS-A 9 (1.78) 8 (2.23) t=0.782 p=0.443
NS-B 6 (2.50) 7 (1.56) t=-1.070 p=0.298
NS-C 9 (5.87) 10 (7.66) t=-0.265 p=0.794
NS-D 6 (2.31) 5 (1.53) t=1.378 p=0.183
NS-E 3 (1.35) 4 (0.29) t=-3.546 p=0.002
SES** 총, 평균 (SD) 33.6 (12.60) 45.3 (13.05) t=-2.132 p=0.046
공부 11.3 (4.22) 15.3 (5.93) t=-1.800 p=0.087
점령 22.3 (10.39) 30.0 (8.79) t=-1.885 p=0.074
QL - 지수, 평균 (SD) 6 (1.65) 10 (0.62) t=-8.098 p=0.0001
GAF, 평균 (SD) 58 (15.21) 83 (9.68) t=-4.715 p=0.0001
MANSA, 평균 (SD) 54 (14.16) 61 (6.01) t=-1.250 p=0.226
TCI, 평균 (SD)
TCI Ns 59.92 (10.75) 55.95 (12.86) t=0.173 p=0.864
TCI 하 55.67 (7.71) 45.61 (5.68) t=3.708 p=0.001
TCI 로드 48.67 (10.41) 50.49 (9.02) t=-0.668 p=0.512
TCI P 49.82 (11.49) 39.32 (8.83) t=2.033 p=0.056
TCI Sd 28.64 (11.85) 49.89 (7.42) t=-3.969 p=0.001
TCI Co 42.15 (12.21) 49.07 (5.60) t=-1.430 p=0.168
TCI 세인트 65.56 (12.34) 50.82 (8.16) t=2.940 p=0.008

표 1: 전체 샘플의 사회 인구 통계학적, 임상 및 심리사회적 변수. BPRS (간략한 정신과 등급 척도); CECA-Q (치료 및 학대 설문지의 어린 시절 경험); CIP (대마초 유발 정신병); GAF (기능의 글로벌 평가); HAM-A (해밀턴 불안 등급 척도); MADRS (몽고메리 -애스버그 우울증 등급 척도); HAM-D (해밀턴 우울증 등급 척도); MANSA (삶의 질의 맨체스터 짧은 평가); NS-A (이웃 만족); NS-B (안전의 감정); NS-C (이웃 무례); NS-D (집단 효능); NS-E (대마초 수용); SD (표준 편차); SES (사회 경제 상태); QL-인덱스(삶의 질-지수); ); TCI (기질 및 문자 인벤토리); TCI Ns (참신 추구); TCI 하 (피해 회피); TCI Rd (보상 의존); TCI P (지속성); TCI SD (자기 지향성); TCI Co (협동) TCI 세인트 (자기 초월); YMRS (젊은 매니아 등급 척도). * NS-A 범위는 0에서 16까지 다양하며, 16은 거주 지역에 대한 극도의 만족을 나타냈다. NS-B는 0에서 8까지 다양하며, 8은 강한 안전감을 나타냈다. NS-C는 0에서 32까지 다양하며, 여기서 32는 높은 수준의 무례를 나타냈다. NS-D 범위는 0에서 12까지 다양하며, 8은 이웃 들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집단 효능을 나타냈다. NS-E는 '강하게 동의'(4점)에서 '강하게 동의하지 않는다'(점수 0)까지 다양합니다. ** 낮은 수준의 교육은 낮은 점수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수준의 교육은 더 높은 점수 (즉) 관련이 있습니다. 7학년 미만 = 3; 대학원 학위 = 21). 마찬가지로, 인지 참여가 낮은 직업은 낮은 점수에 연관됩니다, 더 많은 인지 자원을 필요로하는 직업은 더 높은 점수에 연관되는 동안 (농장 노동자 = 5; 의사 = 45).

뇌회 측면 성 MNI 좌표 클러스터 크기 z 값 코헨의 효과 크기
x y z
CIP 환자는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를 <
우수한 정면 10 오른쪽 13 65 22 38 3.4 -1,26
프리센트럴 4 오른쪽 59 -5 26 61 3.8 -0,83
우수한 시간적 22 오른쪽 62 -7 3 146 4.2 -0,60
인술라 13 오른쪽 36 -21 13 142 4.1 -0,43
인술라 13 왼쪽 -33 -23 14 32 3.8 -0,46
프레쿠뉴 7 오른쪽 6 -66 50 41 3.7 -0,51
내측 오시피탈 19 오른쪽 33 -86 21 80 4 -0,84
푸시폼 37 왼쪽 -25 -47 -8 32 3.7 -0,29
해마 - 왼쪽 -33 -22 -5 36 3.8 -0,68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는 CIP 환자를 <
suprathreshold 클러스터 없음

표 2: VBM 결과. CIP 환자와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사이의 상당한 감소 회색 물질 볼륨을 보여주는 뇌 영역 (P< 0.001 수정되지 않은). BA (브로드만 지역); CIP (대마초 유발 정신병); MNI (몬트리올 신경학회)

Discussion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정신병 증상의 존재만이 뇌 형태학적 변화의 검출을 차별한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실제로 CIP를 가진 만성 대마초 사용자는 비 정신병 대마초 사용자 (NPCU)에 비해 주로 전두엽 - 템포로 - 변연 네트워크에서 감소 GM 볼륨을 보였다. 또한, 심리 측정 설문지에 관해서는, 도메인 BPRS 활동과 선택적 GM 볼륨 사이의 상관 관계가 강조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BPRS 규모와 왼쪽 우수한 측두피질과 왼쪽 소뇌 양측, 왼쪽 열등한 후두자, 오른쪽 열등한 정수리 엽 및 오른쪽 우수한 전두엽 피질과 긍정적 인 상관 관계와 함께 소뇌를 관찰했다. 그러나, 우리는 대마초 의존성이없는 건강한 과목의 제어 그룹의 부족은 대마초 사용이 뇌 변경을 유발하거나하지 않는 경우 탐구에서 우리를 방지 언급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결과는 이전 MRI 연구 결과 정신 분열증과 같은 정신병 무질서가, 특히 전두엽 및 temporo-limbic 지구에서, 유사한 GM 이상을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29,30. 그러나 일부 만성 대마초 사용자가 정신병 증상을 일으켰고 다른 사람들이 건강을 유지한 이유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 실제로, 샘플에서, 우리는 단지 두 그룹 사이의 작은 임상 차이를 검출하고 따라서 CIP 그룹에서 관찰 된 광범위한 GM 이상은 특정 임상 프로필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10명의 CIP 환자 중 9명이 NPCU 그룹의 12명 중 7명에 비해 일일 대마초 사용을 보고했습니다. 또한, 나이의 측면에서 차이가 없다, 성별, 대마초 사용및 교육 수준의 발병의 나이는 두 그룹 사이에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의 부족은 이러한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하는 작은 샘플 크기 때문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한 가지 가설은 정신병 과정 자체가 대마초 사용에 관계없이 뇌 볼륨의 감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전 연구는 대마초 소비와 없이 정신병 환자 사이의 GM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따라서 첫 번째 에피소드 정신병환자에서GM 변경과 관련된 대마초 사용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찾을 수 없습니다 45 . 그러나 대마초 사용은 뇌 변경에 기여했을 수 있으며 이후 취약한 대마초 사용자의 하위 그룹에서만 정신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가설은 정신병 장애에서 뇌 이상을 보여주는 연구 와 일치합니다. 구체적으로, NPCU에 비해 CIP 환자가 전두엽 코르티제, 인술라, 해마 및 fusiformgyrus(46)와같은 정서적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부 뇌 영역에서 광범위한 GM 부피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구조의 중단, 특히 전두엽 지역에서, 청소년과 젊은 성인의 기분 불안정과 더 큰 정서적 반응성뿐만 아니라 충동적인 행동과 물질을 추구하는33,34를설명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감정 조절/처리는 정서적 변연 구조에 대한 인지 조절에 관여하는 전두엽 뇌 영역 의 모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담배 흡연자 들 간의 정서적 조절에 있는 더 중대한 어려움은 비 흡연자에 비해 열등한 전두엽 자이루스와 편도체 사이 약한 연결에 연관되었습니다49. 따라서 CIP 환자 들 사이에서 정신병 증상의 발달이 이러한 구조 사이의 간섭 된 균형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CIP 환자의 단이 작업 기억, 집행 기능50 및 정서적 규정을 포함하여 주요 인지 기능에 관여하는 주요 지역인 등소 측두엽 피질(DLPFC)에 있는 중단을 보였다는 것을 관찰했습니다51. 실제로, DLPFC는 INsula (최근중독에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현시 네트워크의 핵심구조)와같은 위험 모니터링 지역과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이 발견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CIP 환자 그룹에서 변경 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전방 cingulate 피질은 궁극적으로 안전한 선택과 위험한 선택을 구별하는 데 장애가 안전한 선택과 DFC3의 혼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더욱이, CIP 환자는 우수한 측두피질의 GM 부피 감소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이 결과는 CIP 환자에 있는 측두엽 코르티에서 광대한 GM 변경을 찾아낸 이 연구 결과에서 채택된 견본과 겹치는 CIP 환자의 더 큰 견본 (N=16)를 고용한 이전 다중모달 신경 이미징 연구54에의해 보고된 기록과 일치합니다. 전반적인 이러한 증거는 정신병에 있는 우수한 측두피질의 중요한 역할을 추가로 확인합니다, 이 구조의 참여는 수시로 정신 능력의 언어 처리 및 이론을 포함하여 정신병 환자에서 중단된 기술에서 수시로 보고되었기 때문에39,40. 또한, 이 지역의 부피 감소와 청각 환각 또는 사고장애(41,42)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약물 의존개인의 이 영역의 붕괴를 시사하는 이전 MRI 연구와 함께 이 지역의 부피 감소와 청각 환각 또는 사상 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보고한 이전 증거와 일치한결과.

마지막으로, CIP 환자에서 해마의 상당한 GM 부피 감소는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초기 정신병및 위험 시정신 상태/첫 번째 에피소드 정신병에서 이 구조및 기능적 변화를 보여주는 이전 증거와 일치하며, 건강한 대조군60,61,62,63에비하여. 정상적인 해마 기능은 기억과 정서적 행동을 포함한 다수의 정신 기능에필요하며, 49,49및 이 구조의 부피가 감소하면 1차 정신병 환자에서 부정적인 임상 결과의 마커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66. 그러나, 결과와는 달리, 해마 적자는 또한 이 지역에서 더 얇은 코르티제 및 감소 된 볼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젊은 및 성인 대마초 사용자에서보고되었습니다67,68,69,70. 따라서 약물 남용에서 해마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그림은 아직 달성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코르티코-변반 시스템이 CIP 환자의 그룹에서 손상된다는 가설을 가리키며, 또한 이전 MRI 연구54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미래의 정신병발달55,56의중요한 선구자로 제안된 정서적 정교화 적자를 설명할 수 있다, 이 환자에서 수시로 관찰된다.

따라서 대마초 유발 정신병이 전두엽 -temporo-limbic 네트워크 내의 영역에서 뇌 변경과 관련이 있다고 가설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여러 형태의 정신병의 일반적인 신경 발달 기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경도 연구는 작은 궤도 피질 볼륨73을포함하여 일부 뇌 중단, 증가 정면 정수리 및 감소 시각 협회 영역 활성화뿐만 아니라, 가난한 집행 기능(74)과같은 인지 적자, 대마초 의존성의 개시 전에 존재 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따라서, 그것은 기본 뇌 변경을 가진 이 개별이 대마초 사용 개시 후에 정신병 현상을 개발하기 위하여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일지도 모릅니다. 또한, 도파민 신호에 관여하는 AKT1DRD2 유전자에 위험 알레를 소유하는 증거가 있다, 대마초 사용 후 정신병개발의 위험 증가와 연관된다3. 따라서 CIP 환자의 형태학적 감소의 검출은 이 피험자 그룹에서 만성 대마초 사용의 신경 독성 효과에 대한 증강 된 유전 적 감수성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IP 그룹에서, 결과는 또한 BPRS의 하위 도메인, BPRS-활동, 및 왼쪽 우수한 측두피질 및 왼쪽 소뇌 내의 선택적 GM 부피 사이의 부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 하위 스케일은 양측, 왼쪽 열등한 후두자, 오른쪽 열등한 정수리 엽 및 오른쪽 우수한 전두엽 피질과 긍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임상 증상과 GM 구조 간의 상관 관계가 광범위하게 보고되었지만, 특히 정신 분열증75에서결과는 여전히 이질적이며, 역76,양성77 또는78 의 상관 관계가 선택적 GM 볼륨과 임상 척도 사이의 상관 관계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특히, BPRS-활동과 우수한 측두피질 사이에 관찰된 부정적인 상관관계는 이 구조와 양성 증상심각도(76)사이의 역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이전의 MRI 증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궁극적으로 는 정신병 증상의 생산에서 이 구조의 핵심 역할을 더욱 시사한다. 유사하게, BPRS-활동과 우수한 전두엽 피질 사이 찾아낸 긍정적인 상관관계는 전두엽 피질과 부정적인 현상과 GM 부피 사이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고하는 그밖 MRI 연구 결과와 동의하는 것을 보입니다79.

전체적으로, 현재 연구의 결과는 뇌 변경과 정신 병리학의 엄격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의 존재에 대한 예비 증거를 제공합니다.

현재 연구 결과는 몇몇 한계 때문에 손해를 입습니다. 첫째, 모든 정신병 환자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리학 적인 처리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둘째, 대마초에 노출되지 않은 건강한 주제에 의해 형성 된 대조 군의 부족은 대마초 사용자의 두 그룹과의 추가 비교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정신병과하지). 또한, 두 그룹은 피험자 수(10CIP 환자 대 12 NPCU)의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지만, 작은 샘플 크기는 달성된 결과의 중요성을 제한하므로 예비적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추가 제한은 조사 된 인구의 특성에 엄격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CIP (6/10)와 NPCU (3/12)의 다소 작은 비율을 가진 몇몇 환자는 그밖 물질 소비의 일생 역사를 가졌습니다 (즉, 코카인, LSD 및 헤로인/메타돈의). 더욱이, 우리는 중독에 연결된 유전적 적 고장들을 검사하지 않았고, 이는 두 집단을 차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마초 소비, 특정 도구(20)와주파수 및 볼륨및 기간의 관점에서 평가하지만, 두 그룹에 걸쳐 균일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우리는 두뇌 활성화를 탐구하지 않았고 우리는 견본의 신경 인지 상태를 평가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의 부족은 이전 연구가 내측 전두엽 피질, 궤도 피질 및 편도체뿐만 아니라 약물 남용없이 동일한 환자에 비해 더 큰 장기 감소를 가진 더 나은 전모 신경 인지 프로파일뿐만 아니라, 내측 전두엽 피질과 정신 분열증 환자에서 선택적 뇌 기능 장애의 존재를 입증 한 이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80. 따라서, 더 큰 견본에 신경 심리학 평가와 결합된 두뇌 활동을 탐구하는 추가 기능적인 MRI 연구 결과는 우리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합니다.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대마초 유발 정신병은 선택적 뇌 구조의 GM 볼륨 감소가 특징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내 내칸 나비 노이드 시스템의 중요하고 포괄적 인 역할, 대마초 사용의 증가 보급, 신경 발달 중 만성 사용 뿐만 아니라 현재 시장에서 점진적으로 더 높은 THC 농도를 고려하여 대마초 노출의 측면 (예 : 개시 연령, 수량, 빈도 및 기간)이 정신병 관련 장애를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전두엽-temporo-limbic 지구에 있는 감소가 정신병 과정 자체의 기판을 나타내는지 또는 취약한 과목 중 대마초 노출의 직접적인 결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는 복잡한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에 사용되는 방법은 대마초 유발 정신병의 신경 생물학적 및 임상 특징을 더 잘 특성화하는 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마초 복용량, 효능, THC / 칸 나비 디올 비율, 사용 빈도, 발병 연령, 정신병의 친숙한 역사 및 유전 다형성과 같은 잠재적 인 혼란 요인을 고려한 세로 신경 이미징 연구는 궁극적으로 임상의가 그 대마초 사용자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putative 바이오 마커를 식별하기위한 잠재적 인 근거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Disclosures

없음.

Acknowledgments

없음.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Not applicable Not applicable Not applicable Not applicable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European Drug Report 2019: Trends and Developments. ,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Luxembourg. (2019).
  2. De Aquino, J. P., et al. The Psychiatric Consequences of Cannabinoids. Clinical Therapeutics. 40 (9), 1448-1456 (2018).
  3. Murray, R. M., et al. Cannabis-associated psychosis: Neural substrate and clinical impact. Neuropharmacology. 124, 89-104 (2017).
  4. Gage, S. H. Cannabis and psychosis: triangulating the evidence. The Lancet Psychiatry. 6 (5), 364-365 (2019).
  5. Gage, S. H., Hickman, M., Zammit, S. Association between cannabis and psychosis: Epidemiologic evidence. Biological Psychiatry. 79 (7), 549-556 (2016).
  6. Burns, J. K. Pathways from Cannabis to Psychosis: A Review of the Evidence. Frontiers in Psychiatry. 4, 128 (2013).
  7. Bhattacharyya, S., Atakan, Z., Martin-Santos, R., Crippa, J. A., McGuire, P. K. Neural mechanisms for the cannabinoid modulation of cognition and affect in man: a critical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18 (32), 5045-5054 (2012).
  8. Atkinson, D. L., Abbott, J. K. Cannabinoids and the Brain: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Cannabinoids on Brain Systems and Function. The Complex Connection Between Cannabis and Schizophrenia. , Academic Press. (2018).
  9. Bhattacharyya, S., et al. Modulation of Mediotemporal and Ventrostriatal Function in Humans by Δ9-Tetrahydrocannabinol.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6 (4), 442-451 (2009).
  10. Bhattacharyya, S., et al. Induction of psychosis by Δ9-tetrahydrocannabinol reflects modulation of prefrontal and striatal function during attentional salience processing.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9 (1), 27-36 (2012).
  11. Battistella, G., et al. Long-term effects of cannabis on brain structure. Neuropsychopharmacology. 39 (9), 2041-2048 (2014).
  12. Price, J. S., McQueeny, T., Shollenbarger, S., Browning, E. L., Wieser, J., Lisdahl, K. M. Effects of marijuana use on prefrontal and parietal volumes and cognition in emerging adults. Psychopharmacology. 232 (16), 2939-2950 (2015).
  13. Filbey, F. M., et al. Long-term effects of marijuana use on the bra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1 (47), 16913-16918 (2014).
  14. Yücel, M., et al. Regional brain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long-term heavy cannabis u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5 (6), 694-701 (2008).
  15. Lorenzetti, V., et al. Gross morphological brain changes with chronic, heavy cannabis us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6 (1), 77-78 (2015).
  16. Schacht, J. P., Hutchison, K. E., Filbey, F. M. Associations between cannabinoid receptor-1 (CNR1) variation and hippocampus and amygdala volumes in heavy cannabis users. Neuropsychopharmacology. 37 (11), 2368-2376 (2012).
  17. Yip, S. W., et al. Pretreatment measures of brain structure and reward-processing brain function in cannabis dependence: An exploratory study of relationships with abstinence during behavioral treatment.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40, 33-41 (2014).
  18. Medina, K. L., et al. Prefrontal cortex morphometry in abstinent adolescent marijuana users: Subtle gender effects. Addiction Biology. 14 (4), 457-468 (2009).
  19. DeLisi, L. E., et al. A preliminary DTI study showing no brain structural change associated with adolescent cannabis use. Harm Reduction Journal. 3 (1), 17 (2006).
  20. Jager, G., et al. Effects of frequent cannabis use on hippocampal activity during an associative memory task.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17 (4), 289-297 (2007).
  21. Tzilos, G. K., et al. Lack of hippocampal volume change in long-term heavy cannabis users.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14 (1), 64-72 (2005).
  22. Orr, C., et al. Grey matter volume differences associated with extremely low levels of cannabis use in adolescence. Journal of Neuroscience. 39 (10), 1817-1827 (2019).
  23. Atakan, Z., et al. Cannabis affects people differently: Inter-subject variation in the psychotogenic effects of Δ9-tetrahydrocannabinol: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with healthy volunteers. Psychological Medicine. 43 (6), 1255-1267 (2013).
  24. Epstein, K. A., Kumra, S. Altered cortical maturation in adolescent cannabis users with and without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162 (1-3), 143-152 (2015).
  25. Kumra, S., et al. Parietal lobe volume deficits in adolescents with schizophrenia and adolescents with cannabis use disorder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1 (2), 171-180 (2012).
  26. Yu, T., et al. Cannabis-Associated Psychotic-like Experiences Are Mediated by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Parahippocampal Gyru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9 (5), 642-649 (2019).
  2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 , Washington. (2000).
  28. McConaughy, S. H.,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semi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ASEBA. (2001).
  29. Overall, J. E., Gorham, D. R.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Psychological Reports. 10 (3), 799-812 (1962).
  30. Young, R. C., Biggs, J. T., Ziegler, V. E., Meyer, D. A. A rating scale for mania: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3 (5), 429-435 (1978).
  31. Montgomery, S. A., Asberg, M.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4 (4), 382-389 (1979).
  32.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3 (1), 56 (1960).
  33. Hamilton, M.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 (HAM-A). Journal of Medicine. 61 (4), 81-82 (1959).
  34. Lewis, S. W., Murray, R. M. Obstetric complications, neurodevelopmental deviance, and risk of schizophrenia.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1 (4), 413-421 (1987).
  35. Bifulco, A., Bernazzani, O., Moran, P. M., Jacobs, C. The childhood experience of care and abuse questionnaire (CECA.Q): Validation in a community seri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 (4), 563-581 (2005).
  36. Adler, N. E., Stewart, J. The MacArthur Scale of Subjective Social Status. MacArthur Research Network on SES and Health. , (2007).
  37. Hur, M., Nasar, J. L., Chun, B. Neighborhood satisfaction, physical and perceived naturalness and opennes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 (1), 52-59 (2010).
  38. Cloninger, C. R., Svrakic, D. M., Przybeck, T. R.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 (12), 975-990 (1993).
  39. Delvecchio, G., et al. Normative data and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across the lifespan in an Italian population: A cross-sectional validation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4, 83-91 (2016).
  40. Priebe, S., Huxley, P., Knight, S., Evans, S. Application and results of the Manchester Short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MANSA).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5 (1), 7-12 (1999).
  41. Spitzer, W. O., et al.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A concise QL-Index for use by physicians. Journal of Chronic Diseases. 34 (12), 585-597 (1981).
  42. Talairach, J., Tournoux, P. Co-planar stereotaxic atlas of the human brain: 3-dimensional proportional system an approach to cerebral imaging. , Thieme, NY. (1988).
  43. Ellison-Wright, I., Glahn, D. C., Laird, A. R., Thelen, S. M., Bullmore, E. The anatomy of first-episode and chronic schizophrenia: An anatomical likelihood estimation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5 (8), 1015-1023 (2008).
  44. Fornito, A., Yücel, M., Patti, J., Wood, S. J., Pantelis, C. Mapping grey matter reductions in schizophrenia: An anatomical likelihood estimation analysis of voxel-based morphometry studies. Schizophrenia Research. 108 (1-3), 104-113 (2009).
  45. Haller, S., et al. Combined grey matter VBV and white matter TBSS analysis in young first episode psychosispatients with and without cannabis consumption. Brain Topography. 26 (4), 641-647 (2013).
  46. Hou, J., et al. Review on neural correlates of emotion regulation and music: Implications for emotion dysregul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8, 501 (2017).
  47. Martin, R. E., Ochsner, K. N. The Neuroscience of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Education. Current Opinion in Behavioral Sciences. 10, 142-148 (2016).
  48. Pfeifer, J. H., Allen, N. B. Arrested development? Reconsidering dual-systems models of brain function in adolescence and disorders.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6 (6), 322-329 (2012).
  49. Faulkner, P., Dean, A. C., Ghahremani, D. G., London, E. D. Neural Basis of Smoking-Relate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psychopharmacology. , (2020).
  50. Dedoncker, J., Brunoni, A. R., Baeken, C., Vanderhasselt, M. 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ver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Healthy and Neuropsychiatric Samples: Influence of Stimulation Parameters. Brain Stimulation. 9 (4), 501-517 (2016).
  51. Sturm, V. E., Haase, C. M., Levenson, R. W. Emotional Dysfunction in Psychopathology and Neuropathology: Neural and Genetic Pathways. Genomics, Circuits, and Pathways in Clinical Neuropsychiatry. , 345-364 (2016).
  52. Koob, G. F., Volkow, N. D. Neurobiology of addiction: a neurocircuitry analysis. The Lancet Psychiatry. 3 (8), 760-773 (2016).
  53. Kohno, M., Morales, A. M., Guttman, Z., London, E. D. A neural network that links brain function, white-matter structure and risky behavior. NeuroImage. 149, 15-22 (2017).
  54. Altamura, A. C., et al. Structural and metabolic differentiation between bipolar disorder with psychosis and substance-induced psychosis: An integrated MRI/PET study. European Psychiatry. 41, 85-94 (2017).
  55. Anderson, J. E., et al. An MRI study of temporal lobe abnormalities and negative symptoms in chronic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58 (2-3), 123-134 (2002).
  56. Brüne, M., Brüne-Cohrs, U. Theory of mind--evolution, ontogeny, brain mechanisms and psychopathology.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30 (4), 437-455 (2006).
  57. Takahashi, T., et al. Morphologic alterations of the parcellated superior temporal gyrus in schizophrenia spectrum. Schizophrenia Research. 83 (2-3), 131-143 (2006).
  58. Holinger, D. P., et al. Superior temporal gyrus volume abnormalities and thought disorder in left-handed schizophrenic me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11), 1730-1735 (1999).
  59. Ersche, K. D., Jones, P. S., Williams, G. B., Turton, A. J., Robbins, T. W., Bullmore, E. T. Abnormal brain structure implicated in stimulant drug addiction. Science. 335 (6068), 601-604 (2012).
  60. Baglivo, V., et al. Hippocampal Subfield Volumes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Schizophrenia Bulletin. 44 (3), 552-559 (2018).
  61. Pruessner, M., et al. Reduced hippocampal volume and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function in first episode psychosis: Evidence for sex differences. NeuroImage: Clinical. 7, 195-202 (2015).
  62. Walter, A., et al. Hippocampal volume in subjects at high risk of psychosis: A longitudinal MRI study. Schizophrenia Research. 142 (1-3), 217-222 (2012).
  63. Verma, S., et al. Hippocampal Volumes in First-Episode Psychosis. Th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1 (1), 24-29 (2009).
  64. Anand, K. S., Dhikav, V. Hippocampus in health and disease: An overview. Annals of Indian Academy of Neurology. 15 (4), 239 (2012).
  65. Wible, C. G. Hippocampal physiology, structure and function and the neuroscience of schizophrenia: a unified account of declarative memory deficits, working memory deficits and schizophrenic symptoms. Behavioral Sciences. 3 (2), 298-315 (2013).
  66. Sauras, R., et al. Volumetr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ippocampus ar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to schizophrenia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European Psychiatry. 45, 1-5 (2017).
  67. Chye, Y., et al. Alteration to hippocampal volume and shape confined to cannabis dependence: a multi-site study. Addiction Biology. 24 (4), 822-834 (2019).
  68. Chye, Y., et al. Cannabis-related hippocampal volumetric abnormalities specific to subregions in dependent users. Psychopharmacology. 234 (14), 2149-2157 (2017).
  69. Burggren, A. C., et al. Subregional Hippocampal Thickness Abnormalities in Older Adults with a History of Heavy Cannabis Use. Cannabis and Cannabinoid Research. 3 (1), 242-251 (2018).
  70. Schacht, J. P., Hutchison, K. E., Filbey, F. M. Associations between cannabinoid receptor-1 (CNR1) variation and hippocampus and amygdala volumes in heavy cannabis users. Neuropsychopharmacology. 37 (11), 2368-2376 (2012).
  71. Grace, A. A. Gating of information flow within the limbic system and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Brain Research. Brain Research Reviews. 31 (2-3), 330-341 (2000).
  72. Aleman, A., Kahn, R. S. Strange feelings: Do amygdala abnormalities dysregulate the emotional brain in schizophrenia. Progress in Neurobiology. 77 (5), 283-298 (2005).
  73. Cheetham, A., et al. Orbitofrontal volumes in early adolescence predict initiation of cannabis use: A 4-year longitudinal and prospective study. Biological Psychiatry. 71 (8), 684-692 (2012).
  74. Tervo-Clemmens, B., et al. Early Cannabis Use and Neurocognitive Risk: A Prospective Functional Neuroimaging Study. Biological Psychiatry: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3 (8), 713-725 (2018).
  75. Nestor, P. G., et al. Dissociable contributions of MRI volume reductions of superior temporal and fusiform gyri to symptoms and neuropsychology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91 (1-3), 103-106 (2007).
  76. Nesvåg, R., Saetre, P., Lawyer, G., Jönsson, E. G., Agartz, I.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regional cortical and grey matter volumes in schizophrenia.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and Biological Psychiatry. 33 (3), 482-490 (2009).
  77. Lacerda, A. L. T., et al. Morphology of the orbitofrontal cortex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relationship with negative symptomatology.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31 (2), 510-516 (2007).
  78. Volkow, N. D., et al. Effects of Cannabis Use on Human Behavior Including Cognition, Motivation, and Psychosis: A Review. JAMA Psychiatry. 73 (3), 292-297 (2016).
  79. Walton, E., et al. Prefrontal cortical thinning links to negat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via the ENIGMA consortium. Psychological Medicine. 48 (1), 82-94 (2018).
  80. Adan, A., et al. Neurobiological underpinnings and modulating factors in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with a comorbid substance us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75, 361-377 (2017).

Tags

신경 과학 문제 162 대마초 유발 정신병 만성 물질 사용 자기 공명 영상 회색 물질 대마초
정신병유무에 관계없이 대마초 사용자의 뇌 형태 : 파일럿 MRI 연구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Delvecchio, G., Oldani, L.,More

Delvecchio, G., Oldani, L., Mandolini, G. M., Pigoni, A., Ciappolino, V., Schiena, G., Lazzaretti, M., Caletti, E., Barbieri, V., Cinnante, C., Triulzi, F., Brambilla, P. Brain Morphology of Cannabis Users With or Without Psychosis: A Pilot MRI Study. J. Vis. Exp. (162), e60881, doi:10.3791/60881 (2020).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