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iting
Login processing...

Trial ends in Request Full Access Tell Your Colleague About Jove
Click here for the English version

Medicine

면역 장애 신경병증을 감지하기 위한 신경 초음파 프로토콜

Published: October 7, 2021 doi: 10.3791/62900

Summary

이 기사는 염증성 신경병증의 진단을 돕기 위해 다발신경병증의 신경 초음파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Abstract

신경 초음파는 신경 전도 연구의 보완 도구로서 다발성 신경 병증의 감별 진단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면적(CSA) 증가와 같은 말초 신경의 형태학적 변화는 다양한 면역 매개 다발신경병증에서 설명되었습니다. 신경 초음파에서 가장 두드러진 형태학적 변화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 스펙트럼 질환에 대해 설명되었습니다. CIDP는 신경 부종(CSA 증가)의 정도와 패턴을 측정하여 유전성 및 기타 다발신경병증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탈수초성 염증성 신경병증의 전형적인 소견은 불균일한 근막 구조를 갖는 다발성 신경 부종인 반면, 탈수초성 유전성 신경병증의 CSA 증가는 보다 일반화되고 균질한 방식으로 발생합니다. 다른 비염증성 축삭 신경병증에서, 신경은 특히 전형적인 포획 부위에서 정상 또는 약간의 CSA 증가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 기사는 신경 초음파에 대한 기술적 요구 사항, 표준화된 검사 프로토콜을 사용한 검사 절차, CSA에 대한 현재 참조 값 및 염증성 신경병증 환자의 전형적인 초음파 병리학적 소견을 제시합니다.

Introduction

임상 검사 다음으로, 대섬유 다발신경병증을 평가하는 것은 운동 또는 감각계의 침범을 특성화하고 축삭을 탈수초성 손상과 구별하기 위한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포함한다1. 축삭 다발신경병증에서는 독성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주요 원인인 반면,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에서는 CIDP와 같은 유전성 또는 염증성 신경병증을 고려해야 합니다 2,3,4. CIDP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단 기준은 2005년에 제정되어 2010년과 2021년에 개정된 EFNS/PNS(European Federation of Neurological Societies/Peripheral Nerve Society) 기준입니다5. 이들은 CIDP를 진단하기 위한 임상 및 전기생리학적 기준을 정의하고 탈수초 또는 염증을 감지하기 위한 신경 생검과 같은 추가 기준을 설명합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철저한 진단 정밀 검사에도 불구하고 신경 병증의 원인이 모호합니다. 이 경우 신경 초음파는 신경을 기능적으로가 아니라 형태 학적으로 검사하는 보완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6. 여러 연구에서 CIDP 진단의 추가 도구로 신경 초음파를 사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어 2021년 개정된 EFNS/PNS 기준이 지침5에서 신경 초음파를 구현했습니다. 자기 공명 신경조영술(MRN)과 같은 다른 영상 방법에 비해 신경 초음파의 장점은 치료 신경과 전문의가 침대 옆 도구로 직접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비용 효율적입니다. 비침습적이고 고통스럽지 않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경 초음파에서 관찰되는 CIDP의 전형적인 특징은 유전성 다발성 신경병증에서도 발견되는 단면적(CSA) 증가 7,8입니다. CIDP에서 이것은 개별 신경 세그먼트에 이질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7,9.

10,11,12,13,14,15 정상적인 CSA 값을 명확히하고 초음파 검사의 적절한 해부학 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 프로토콜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위치 중 일부는 대부분의 시험 프로토콜에서 유사합니다. 그러나 검사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측정 해석을 단순화하기 위해 널리 인정되는 프로토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는 다발신경병증에 대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한 신경 초음파 검사를 보여주고 CSA에 대한 다양한 참조 값을 제시하며 염증성 신경병증 환자의 전형적인 병리학적 소견을 보여줍니다.

신경 초음파에 대한 기술 요구 사항
신경근 초음파는 해당 초음파 장치 6,16의 복합 이미징을 사용하여 B 모드(밝기 모드, 그레이 레벨의 2차원 이미지)에서 수행됩니다. 복합 이미징은 음파 프로브(변환기)의 압전 소자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표적 구조를 비출 수 있게 한다(17). 초음파는 말초 신경의 조직 학적 구조로 인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됩니다. 다른 각도에서 오는 소리의 결과로, 그렇지 않으면 손실 된 반사의 더 중요한 부분이 사운드 프로브 (수신기)로 되돌아와 이미지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신경근 초음파의 경우, 18 MHz 선형 배열 변환기를 갖는 고분해능 초음파 프로브, 더 깊은 신경을 위해, 추가 12 MHz 선형 배열 프로브 (예를 들어, 슬와에서 경골 및 비골 신경을 표시하기 위해)가 사용된다 6,16. 주파수가 낮은 변환기는 공간 및 측면 분해능을 감소시켜 주변 구조와 신경 경계의 구별이 덜 정확합니다. 최적의 설정은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신경근 영상에 대한 사전 설정을 사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검사하는 동안 이미지 깊이와 초점 위치는 검사 할 구조에 맞게 조정되어야하며 신경의 위치에 지속적으로 적응해야합니다. B-이미지 게인과 깊이 종속 게인은 균일한 밝기로 이미지 최적화를 위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혈관은 종종 신경 구조에 가깝고 종종 같은 위치에서 측정하기 위한 랜드마크로 사용됩니다. 해부학 적 상호 작용을 묘사하고 신경과 혈관을 구별하기 위해 펄스 도플러 및 색상으로 구분 된 이중 초음파 검사16,18을 사용하여 유속과 방향을 표시해야합니다. 펄스 반복 주파수는 사지 혈관에서 예상되는 낮은 유속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색상 코딩을 위해 파워 도플러를 선택해야 합니다(16).

신경은 초음파를 입사각에 따라 다르게 반사하므로 초음파 이미지는 에코 발생 (이방성)이 다양합니다 16,19. 초음파가 이 각도의 신경에 의해 가장 강하게 반사되기 때문에 직교 각도에서 최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공 이방성 또는 신경 기형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브는 신경에 수직인 추가 압력을 가하지 않고 검사 중에 중립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그림 1). 단면적(CSA)은 측정19에서 상복부 조직의 변화를 피하기 위해 얇은 고에코 상외신경(그림 2) 내에서 측정됩니다. 기술 초음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참고 문헌 6,16,17,18,19,20,21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Protocol

이 작업에 대한 모든 시험은 독일 보훔 루르 대학교의 기관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1. 실험 준비

  1. 환자 준비
    1. 환자 포함 기준 확인 : 염증 기원이 의심되는 다발성 신경 병증으로 진단 된 성인 환자를 검사하십시오.
    2. 환자 제외 기준 확인: 검사할 부위에 열린 상처나 감염이 있는 환자는 검사하지 마십시오.
  2. 도구 체크포인트
    1. 초음파 기계와 사용 된 모든 재료의 무결성을 확인하십시오 ( 재료 표 참조).
    2. 초음파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초음파 기계에 환자 이름과 세부 정보를 입력하십시오(기계에 따라 다름).
    3. 적절한 초음파 프로브(선호 14-18MHz)( 재료 표 참조)를 선택하고 신경근 초음파에 대해 미리 설정합니다.
    4. 전체 검사 중에 깊이를 조정하고 최적의 이미지 품질을 얻는 데 중점을 둡니다.
    5. 가능하면 단면도에서 각 신경의 전체 과정을 검사하십시오.
      참고: 검사에 권장되는 신경은 정중, 척골, 요골 신경, 경추 뿌리, 상완 신경총, 미주 신경, 경골, 비골 및 비골 신경입니다(그림 3). 이러한 각 신경에 대한 검사는 다음 섹션과 비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다음 프로토콜에 따른 전체 초음파 검사는 ~30-45분이 소요됩니다.

2. 초음파 검사

  1. 환자가 중립 자세로 앉아 팔을 표면(예: 다리)에 고정한 상태에서 팔 신경을 검사하기 시작합니다.
  2. 변환기 프로브, 손목, 팔뚝, 팔꿈치 및 팔뚝에 초음파 젤을 놓습니다.
  3. 정중 신경을 검사하려면 손목 수준에서 횡방향 스캔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4. 정중 신경의 해부학적 과정을 따라 상완까지 근위부로 움직입니다.
  5. 다음 부위에서 정중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손목 터널 입구 (retinaculum flexorum); 팔뚝 (10-15 cm 근위부에서 망막 굴곡, 팔꿈치 (팔꿈치의 구부러짐), 상완 동맥 옆의 상완 (내측 상과와 겨드랑이 사이의 거리 중간).
  6. 척골 신경을 검사하려면 손목 척골 수준에서 정중 신경까지 횡단 스캔을 수행하여 시작하십시오.
  7. 고랑을 따라 상완까지 척골 신경의 해부학적 과정을 따르기 위해 근위부로 움직입니다.
    알림: 팔뚝 쪽으로 이동하면서 환자가 팔꿈치에서 구부린 팔을 들어 올려 고랑과 상완을 검사하게 합니다.
  8. 다음 부위에서 척골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Guyon의 운하 입구에서; 팔뚝 (Guyon의 운하에 근접한 10-15 cm); 팔꿈치에서 (내측 상과와 주두 사이); 상완 (내측 상과와 겨드랑이 사이의 거리의 중간).
  9. 요골 신경을 검사하려면 환자가 팔꿈치에서 구부러진 위 앞에서 팔을 잡고 상완골 바로 옆의 요골 신경을 스캔하게하십시오.
  10. 수반되는 동맥 및 정맥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색상 이중 모드를 사용하십시오.
    참고: 색상 이중 모드는 상완 동맥의 혈류를 나타내며 해당 정맥에서는 낮은 흐름을 나타낼 수 있지만 요골 신경에서는 흐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정맥은 외부 압력을 가하여 압박 할 수 있지만 신경은 압박 할 수 없습니다.
  11. 다음 부위에서 요골 신경의 CSA를 측정합니다: 나선형 홈의 요골 신경.
  12. 미주 신경, 자궁 경부 신경 뿌리 및 상완 신경총의 검사를 계속하십시오.
  13. 목 중앙에 초음파 젤을 놓습니다.
  14. 미주 신경을 검사하려면 목 중앙에서 횡 스캔을 수행하고 경동맥을 찾으십시오.
    참고: 미주 신경은 경동맥과 경정맥 바로 옆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5. 다음 부위에서 미주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경동맥 분기점 수준의 경동맥 덮개에서.
  16. 자궁 경부 신경근 검사를 위해 C5, C6, C7은 프로브를 등쪽으로 약간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참고: 경추 신경근은 횡돌기의 전방과 후결절 사이에 나타납니다. C7은 횡단 과정에서 전방 결절이 없기 때문에 인식 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 결절은 다른 자궁 경부 신경 뿌리와 함께 발견됩니다.
  17. CSA 또는 신경근이 횡돌기를 통해 빠져나가는 가장 근위 위치에서 경추 신경근의 직경을 측정합니다: C5; 씨6; C7입니다.
  18. 상완 신경총을 검사하려면 자궁 경부 신경 뿌리의 해부학 적 과정을 원위까지 따라 몸통과 코드를 수행하십시오.
  19. 다음 부위에서 신경총의 CSA를 측정합니다: 비늘 내 공간(전방 비늘 근육과 내측 비늘 근육 사이); 쇄골 상 공간 (A. subclavia 옆).
  20. 다리 신경을 검사하십시오.
  21. 다리를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환자를 한쪽으로 눕히십시오. 변환기 프로브, 슬와와, 비골, 복사뼈 및 다리 아래쪽에 초음파 젤을 놓습니다.
  22. 비골 신경을 검사하려면 비골 머리를 느끼고 변환기를 바로 뒤에 놓은 다음 신경의 경로를 따라 슬와 포사로 이동합니다.
  23. 다음 부위에서 비골 신경의 CSA를 측정합니다: 비골두에 바로 근위부; 슬와 포사에서.
  24. 슬와와에서 경골 신경을 검사하려면 슬와와에서 비골 신경과 슬와 동맥을 찾으십시오.
    참고: 경골 신경은 대부분의 경우 슬와 동맥 바로 위에 있습니다.
  25. 다음 부위에서 경골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슬와 포사에서.
  26. 발목의 경골 신경을 검사하려면 내측 복사뼈 바로 뒤에 프로브를 놓습니다.
    참고: 경골 신경은 대부분의 경우 후경골 동맥 바로 옆에 있습니다.
  27. 다음 부위에서 경골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내측 발목 수준에서.
  28. 비복 신경을 검사하려면 프로브를 측면 발목에 놓습니다.
    참고: 비복 신경은 대부분의 경우 표재성 정맥 옆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29. 비복 신경의 해부학 적 과정을 따라 다리 아래쪽으로 근위부로 이동하십시오.
  30. 다음 부위에서 비복 신경의 CSA를 측정하십시오 : 비복근 근육의 측면과 내측 머리 사이.
  31. 양쪽에서 모든 측정을 수행합니다.
  32. 모든 측정 결과 (초음파 기계에 따라 다름)를 저장하고 검사를 종료합니다.
    알림: 그림 3 은view CSA에 대한 모든 측정 사이트의.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Representative Results

특정 초음파 기계와 검사자 또는 인구 종속 변수가 각 실험실에서 약간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각 초음파 검사실은 건강한 지역 인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CSA 참조 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어떤 CSA 값이 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나타내기 위해 두 개의 주요 독일 신경 초음파 그룹의 데이터와 지금까지 발표된 모든 참조 값 13,14,15,22,23에 대한 최근 메타 분석이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우리 부서에서 이 프로토콜에 따라 연구된 환자의 기준 값은 Kerasnoudis et al.22의 기준값입니다(표 1).

탈수초성 염증성 신경병증의 전형적인 소견은 불균일한 근막을 동반한 다발성 신경 부종인 반면, 탈수초성 유전성 신경병증의 신경 부종은 보다 일반화되고 균질하게 발생합니다 12,24. 증가된 CSA의 조직학적 상관관계는 급성 염증 및 반복적인 탈수초화로 가정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조사가 남아 있습니다7. 다른 비염증성 축삭 신경병증에서, 신경은 특히 전형적인 포획 부위에서 정상 또는 크기가 약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25,26,27,28.

결과의 해석을 단순화하기 위해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는 CIDP와 같은 만성 염증성 신경병증과 비염증성 신경병증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점수 시스템으로 제안됩니다.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는 위에서 설명한 측정 부위 중 6개(팔뚝의 정중 신경, 상완의 정중 신경, 팔뚝의 척골 신경, 상완의 척골 신경, 상완의 요골 신경 및 종아리의 비복 신경)의 CSA가 크게 확대된 부위 수에서 계산됩니다. 이 6개 사이트만 검사하는 데 ~15분이 소요됩니다. 이 6개 부위 각각은 신경이 신체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병리학적 CSA 비대를 보이는 경우 1점으로 점수가 매겨집니다. 따라서 최소 점수는 0점이고 최대 점수는 6점입니다. 이 점수 시스템을 사용하면 ≥2점을 할당하면 신경전도 연구에서 추가 축삭 손상으로 인해 전기생리학적 기준에 의한 검출이 어려운 경우에도 ~53%의 민감도와 ~83%의 특이도로 CIDP 진단이 가능합니다.

상이한 그룹은 신경병증10,11,18,29,30을 구별하기 위해 다른 점수 시스템을 제안했다. 이 점수 중 어느 것도 널리 사용되지 않습니다.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는 CIDP를 길랭-바레 증후군과 구별하기 위해 4개의 측정 부위에서 파생된 보훔 초음파 점수10과 CIDP를 MMN, MADSAM 및 혈관 또는 부단백성 신경병증과 구별하기 위해 9개의 측정 부위에서 파생된 신경 초음파 프로토콜30을 설명하는 이전 간행물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점수는 정확한 질문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는 신경 전도 연구에서 전기생리학적 EFNS/PNS 기준5에 의해 정의된 가능한 CIDP를 보여주는 경우 CIDP를 진단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가 계산을 위해 6개의 신경 부위만을 사용하더라도, 여전히 다른 모든 기술 신경 부위 및 각 신경의 전체 과정을 검사하여 국소 병변(31)을 검출하거나 균질한 확대를 배제해야 한다. 균질한 신경비대의 경우, 유전성 신경병증(유전성 신경병증)을 고려해야 한다24. 다발 구조의 균질성 및 변경에 대한 채점 시스템은 이전에 설명되었으며 균질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8,24,32.

건강한 사람의 초음파 영상은 그림 4를 참조하십시오. 예를 들어, CIDP 환자의 이미지는 그림 5를 참조하십시오.

Figure 1
그림 1 : 손목의 정중 신경 검사. 인공 이방성이나 신경 기형을 방지하려면 검사하는 동안 신경에 수직인 추가 압력을 가하지 않고 프로브를 중립 위치에 유지해야 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2
그림 2: 단면적(CSA) 측정. 단면적은 얇은 고에코 상막신경관 내에서 측정됩니다.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3
그림 3: CSA를 위한 측정 사이트 개요. 파란 별 - 정중 신경, 녹색 별 - 척골 신경, 레드 스타 - 요골 신경, 핑크 스타 - 미주 신경, 노란색 별 - 자궁 경부 뿌리 및 상완 신경총, 흰색 별 - 비골 신경, 보라색 별 - 경골 신경, 갈색 별 - 비뇨 신경.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4
그림 4 : 조정 된 보훔 초음파 점수에 사용 된 6 개의 신경 부위 중 건강한 사람의 이미지 예. A - 팔뚝의 정중 신경, B - 팔뚝의 정중 신경, C - 상완의 요골 신경, D - 팔뚝의 척골 신경, E - 팔뚝의 척골 신경, F - 종아리의 비복 신경.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Figure 5
그림 5: 조정된 보훔 초음파 점수에 사용된 6개의 신경 부위의 CIDP 환자의 예시 이미지. A - 팔뚝의 정중 신경, B - 팔뚝의 정중 신경, C - 상완의 요골 신경, D - 팔뚝의 척골 신경, E - 팔뚝의 척골 신경, F - 종아리의 비복 신경. 이 그림의 더 큰 버전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Kerasnoudis 연구진22 그림 외.23 메타 분석
Fisse et al.13-15
신경 사이트 평균 CSA 표준 편차 평균 CSA 평균 CSA 95% CI
(밀리미터2) (밀리미터2) (밀리미터2) (밀리미터2)
정중 신경 손목 8.43 2.07 10.6 8.3 7.9 - 8.7
팔뚝 6.6 1.6 7.2 6.4 5.9 - 6.9
팔꿈치 - - 9.2 - -
팔뚝 8.4 2.87 9.1 8.3 7.5 - 9.0
척골 신경 Guyon loge 5.16 1.03 - 4.1 3.6 - 4.6
팔뚝 5.46 1.26 5.9 5.2 4.8 - 5.7
팔꿈치 5.33 1.4 8.7 5.9 5.4 - 6.5
팔뚝 6.53 1.82 7 6.6 5.1 - 6.1
요골 신경 팔뚝 3.26 1.52 - 5.1 4.0 - 6.2
미주 신경 경동맥 덮개 - - 2.2 2.2 1.5 – 2.9
씨5 - - 2.4* 5.6 4.6 – 6.7
씨6 - - 3.4* 8.8 7.4 – 10.3
씨7 - - - 9.5 8.0 – 10.9
상완 신경총 인트라스케일 공간 30.93 10.82 - - -
쇄골 상 공간 46.13 18.27 - - -
비골 신경 비골 머리 7.1 2.3 - 8.4 6.8 – 9.9
슬와 포사 8.60 1.77 8.4 7.9 6.6 – 9.2
경골 신경 슬와 포사 8.43 2.68 23.2 25.9 17.5 – 34.4
말레올루스 6.36 1.45 10.2 10 7.7 – 12.4
비복 신경 비복근 근육의 머리 1.82 0.64 2.2** 2.4 1.7 – 3.1
* Grimm et al.23 은 C5 및 C6 루트에 대한 CSA가 아닌 직경을 측정했습니다.
** Grimm et al.23 은 측면 발목의 비복 신경을 측정했습니다.

표 1: 환자에 대한 참조 CSA 값. 제안된 참조 값은 Kerasnoudis et al.22, Grimm et al.23의 간행물 및 Fisse et al.13,14,15의 최근 메타 분석을 기반으로 합니다. 여기에 제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우리 부서에서 연구된 환자의 기준 값은 Kerasnoudis et al.22의 기준값입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ussion

신경 초음파는 다발성 신경 병증에 도움이되는 추가 진단 도구입니다. 신경 확대의 정도와 패턴에 따라 다발성 신경 병증의 가능한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IDP 환자의 종적 질병 경과의 CSA 변화는 임상 질병 경과 및 치료 반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33,34,35,36.

프로토콜 내의 중요한 단계
재현 가능한 결과를 얻으려면 시험의 일관된 방법론과 표준화가 필수적입니다37,38. 각 검사관은 서로 다른 초음파 장치로 인한 편차와 인구 통계의 지역적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초음파 측정의 높은 품질과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검사관의 특정 교육도 필요합니다 13,14,15,21,39.

기술의 수정 및 문제 해결
탈수초성 염증성 신경병증의 전형적인 소견은 불균일한 다발성 근막을 동반한 다초점 신경 부종이다33,40. 따라서 특정 신경 부위의 CSA 측정이 필요하지만 전체 신경을 스캔해야 합니다. 또한 CIDP에서 전체 신경의 CSA 증가뿐만 아니라 저에코성 및 고에코 신경뿐만 아니라 근막내 부종도 발견되기 때문에 근막 구조 및 에코 발생에 대한 평가는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에코 신경은 급성 부종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고 에코 신경은 섬유 리모델링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됩니다40,41.

기술의 한계
신경 초음파에 대한 해부학적 한계가 있는데, 즉 경추 신경근의 검사는 비만과 짧은 목을 가진 환자에서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요천추 신경총의 하지 신경의 근위 신경 뿌리의 이미징은 초음파 광선의 제한된 침투 깊이로 인해 불가능합니다. MRN42에 의해 이러한 신경을 평가하는 대체 방법이 가능하지만, 초음파는 공간적, 시간적 유연성과 비용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43).

기존 방법에 대한 의의
신경 초음파는 신경 형태를 평가하기 위해 다발성 신경 병증을 진단하는 추가 보완 도구로 권장됩니다. 신경 전도 연구 및 뇌척수액 분석과 같은 기타 도구를 포함한 표준 진단 운동은 여전히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 기술의 향후 응용
다발성 신경 병증 전문가에게 신경 초음파는 임상 일상에서의 진단에 관심이 있으며 가능한 병태 생리 학적 측면, 즉 염증을 나타내는 통찰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 초음파는 임상뿐만 아니라 신경근 연구에서도 유망한 방법입니다. 또한 초음파 기술의 발전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파 탄성 조영술 또는 말초 신경의 혈관 형성과 같은 미래의 초음파 특성은 다발성 신경병증을 평가하는 데 추가 측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Subscription Required. Please recommend JoVE to your librarian.

Disclosures

저자는 이 원고와 관련된 이해 상충을 선언하지 않습니다.

Acknowledgments

우리는 신경근 초음파에 대한 연구에 대한 Ruhr-University Bochum의 지원을 인정합니다.

Materials

Name Company Catalog Number Comments
Affiniti 70 Philips GmbH n/a with preset for neuromuscular ultrasound
L18-5 linear array transducer Philips GmbH n/a
Ultrasound gel C + V Pharma Depot GmbH n/a

DOWNLOAD MATERIALS LIST

References

  1. Lehmann, H. C., Wunderlich, G., Fink, G. R., Sommer, C. Diagnosis of peripheral neuropathy. Neurological Research and Practice. 2 (1), 20 (2020).
  2. Sommer, C., et al. Polyneuropathies-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15 (6), 83-90 (2018).
  3. Shahrizaila, N., Lehmann, H. C., Kuwabara, S. Guillain-Barré syndrome. The Lancet. 397 (10280), 1214-1228 (2021).
  4. Lehmann, H. C., Burke, D., Kuwabara, S.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update on diagnosis, immunopathogenesis and treatmen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90 (9), 981-987 (2019).
  5. den Bergh, P. Y. K. V., et al. European Academy of Neurology/Peripheral Nerve Society guideline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Report of a joint Task Force - Second revision. Journal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 1-27 (2021).
  6. Kramer, M., et al. Nerve ultrasound as helpful tool in polyneuropathies. Diagnostics. 11 (2), 211 (2021).
  7. Grimm, A., et al. A look inside the nerve - Morphology of nerve fascicles in healthy controls and patients with polyneuropathy. Clinical Neurophysiology. 128 (12), 2521-2526 (2017).
  8. Padua, L., et al. Heterogeneity of root and nerve ultrasound pattern in CIDP patients. Clinical Neurophysiology. 125 (1), 160-165 (2014).
  9. Winter, N., et al. Nerve ultrasonography as an additive tool to clinical examination and electrodiagnostics in sporadic mononeuritis - Imaging is the key. Ultraschall in der Medizin - European Journal of Ultrasound. 40 (4), 465-472 (2019).
  10. Kerasnoudis, A., Pitarokoili, K., Gold, R., Yoon, M. -S. Bochum ultrasound score allows distinction of chronic inflammatory from multifocal acquired demyelinating polyneuropathies.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48 (1-2), 211-215 (2015).
  11. Grimm, A., Rattay, T. W., Winter, N., Axer, H. Peripheral nerve ultrasound scoring systems: benchmarking and comparative analysis. Journal of Neurology. 264 (2), 1-11 (2016).
  12. Telleman, J. A., Grimm, A., Goedee, S., Visser, L. H., Zaidman, C. M. Nerve ultrasound in polyneuropathies. Muscle & Nerve. 57 (5), 716-728 (2017).
  13. Fisse, A. L., Katsanos, A. H., Gold, R., Pitarokoili, K., Krogias, C. Cross-sectional area reference values for peripheral nerve ultrasound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Part I: Upper extremity nerve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8 (5), 1684-1691 (2021).
  14. Fisse, A. L., Katsanos, A. H., Gold, R., Krogias, C., Pitarokoili, K. Cross-sectional area reference values for peripheral nerve ultrasound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Part II: Lower extremity nerve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8 (7), 2313-2318 (2021).
  15. Fisse, A. L., Katsanos, A. H., Gold, R., Pitarokoili, K., Krogias, C. Cross-sectional area reference values for peripheral nerve ultrasound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Part III: Cervical nerve roots and vagal nerve.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8 (7), 2319-2326 (2021).
  16. Carroll, A. S., Simon, N. G.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ultrasound imaging in peripheral nerve disorders. World Journal of Radiology. 12 (6), 101-129 (2020).
  17. Entrekin, R. R., et al. Real-time spatial compound imaging: Application to breast, vascular, and musculoskeletal ultrasound. Seminars in Ultrasound, CT and MRI. 22 (1), 50-64 (2001).
  18. Walker, F. O., et al. Indications for neuromuscular ultrasound: Expert opin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Neurophysiology. , 1-67 (2018).
  19. Dengler, R., et al. AANEM - IFCN glossary of terms in neuromuscular electrodiagnostic medicine and ultrasound. Muscle & Nerve. 62 (1), 10-12 (2020).
  20. Mah, J. K., van Alfen, N. Neuromuscular ultrasound: Clinical applications and diagnostic values.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 Journal Canadien des Sciences Neurologiques. 45 (6), 605-619 (2018).
  21. Tawfik, E. A., et al. Guidelines for neuromuscular ultrasound training. Muscle & Nerve. 60 (4), 361-366 (2019).
  22. Kerasnoudis, A., Pitarokoili, K., Behrendt, V., Gold, R., Yoon, M. -S. Cross sectional area reference values for sonography of peripheral nerves and brachial plexus. Clinical Neurophysiology. 124 (9), 1881-1888 (2013).
  23. Grimm, A., Axer, H., Heiling, B., Winter, N. Nerve ultrasound normal values - Readjustment of the ultrasound pattern sum score UPSS. Clinical Neurophysiology. 129 (7), 1403-1409 (2013).
  24. Padua, L., et al. Intra- and internerve cross-sectional area variability: New ultrasound measures. Muscle & Nerve. 45 (5), 730-733 (2012).
  25. Kühn, E., et al. Correlates of polyneuropathy in Parkinson's disease. 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 7 (10), 1898-1907 (2020).
  26. Pitarokoili, K., et al. Facing the diagnostic challenge: Nerve ultrasound in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ic symptoms. Muscle & Nerve. 54 (1), 18-24 (2016).
  27. Pitarokoili, K., et al. High-resolution nerve ultrasound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in restless legs syndrome. Journal of Neuroimaging. 28 (5), 506-514 (2018).
  28. Fisse, A. L., et al. New approaches to critical illness polyneuromyopathy: High-resolution neuromuscular ultrasound characteristics and cytokine profiling. Neurocritical Care. 35 (1), 139-152 (2021).
  29. Grimm, A., Décard, B. F., Axer, H., Fuhr, P. The Ultrasound pattern sum score - UPSS. A new method to differentiate acute and subacute neuropathies using ultrasound of the peripheral nerves. Clinical Neurophysiology. 126 (11), 2216-2225 (2015).
  30. Kerasnoudis, A., Pitarokoili, K., Haghikia, A., Gold, R., Yoon, M. -S. Nerve ultrasound protocol in differentiating chronic immune-mediated neuropathies. Muscle & Nerve. 54 (5), 864-871 (2016).
  31. Klauser, A. S., et al. Carpal tunnel syndrome assessment with US: Value of additional cross-sectional area measurements of the median nerve in patients versus healthy volunteers. Radiology. 250 (1), 171-177 (2009).
  32. Grimm, A., et al. Ultrasound pattern sum score, homogeneity score and regional nerve enlargement index for differentiation of demyelinating inflammatory and hereditary neuropathies. Clinical Neurophysiology. 127 (7), 2618-2624 (2016).
  33. Fisse, A. L., et al. Clinical, sonographic, and electrophysiologic longitudinal features of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Journal of Neuroimaging. 29 (2), 223-232 (2018).
  34. Fionda, L., et al. Changes of clinical, neurophysiological and nerve ultrasound characteristics in CIDP over time: a 3-year follow-up. Journal of Neurology. 268 (8), 3011-3019 (2021).
  35. Härtig, F., et al. Nerve ultrasound predicts treatment response in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a prospective follow-up. Neurotherapeutics. 15 (2), 439-451 (2018).
  36. Décard, B. F., Pham, M., Grimm, A. Ultrasound and MRI of nerves for monitoring disease activity and treatment effects in chronic dysimmune neuropathies - Current concepts and future directions. Clinical Neurophysiology. 129 (1), 155-167 (2018).
  37. Alshami, A. M., Cairns, C. W., Wylie, B. K., Souvlis, T., Coppieters, M. W. Reliability and size of the measurement error when determin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ibial nerve at the tarsal tunnel with ultrasonography.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35 (7), 1098-1102 (2009).
  38. Impink, B. G., Gagnon, D., Collinger, J. L., Boninger, M. L. Repeatability of ultrasonographic median nerve measures. Muscle & Nerve. 41 (6), 767-773 (2010).
  39. Garcia-Santibanez, R., Dietz, A. R., Bucelli, R. C., Zaidman, C. M. Nerve ultrasound reliability of upper limbs: Effects of examiner training. Muscle & Nerve. 57 (2), 189-192 (2018).
  40. Gamber, D., et al. High-resolution nerve ultrasound to assess nerve echogenicity, fascicular count, and cross-sectional area using semiautomated analysis. Journal of Neuroimaging. 30 (4), 493-502 (2020).
  41. Fisse, A. L., et al. Nerve echogenicity and intranerve CSA variability in high-resolution nerve ultrasound (HRUS) in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CIDP). Journal of Neurology. 266 (2), 468-475 (2019).
  42. van Rosmalen, M. H. J.,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brachial plexus MRI for the diagnosis of chronic inflammatory neuropathies. Journal of Neurology. 268 (3), 978-988 (2021).
  43. Pitarokoili, K., Schlamann, M., Kerasnoudis, A., Gold, R., Yoon, M. S. Comparison of clinical, electrophysiological, sonographic and MRI features in CIDP.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357 (1-2), 198-203 (2015).

Tags

이번 달 JoVE
면역 장애 신경병증을 감지하기 위한 신경 초음파 프로토콜
Play Video
PDF DOI DOWNLOAD MATERIALS LIST

Cite this Article

Fisse, A. L., Pitarokoili, K., Gold, More

Fisse, A. L., Pitarokoili, K., Gold, R. Nerve Ultrasound Protocol to Detect Dysimmune Neuropathies. J. Vis. Exp. (176), e62900, doi:10.3791/62900 (2021).

Less
Copy Citation Download Citation Reprints and Permissions
View Video

Get cutting-edge science videos from JoVE sent straight to your inbox every month.

Waiting X
Simple Hit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