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뿌리의 영양 섭취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흙에 사는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와 상리공생관계를 형성합니다. 뿌리에 사는 곰팡이(예: 균근)는 식물 뿌리의 표면적을 증가 시켜 영양소 흡수를 촉진합니다. 뿌리에 살고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예: 근류균)는 대기 질소(N2)를 암모니아(NH3)로 변환하여 식물이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위해 질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질소는 광합성을 하는 동안 빛 에너지를 포착하는 엽록소 분자의 생합성에 중요합니다).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그 대가로 식물의 뿌리에서 분비되는 당분과 아미노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 종은 번영을 위해 뿌리-박테리아 관계와 뿌리-곰팡이 관계로 대표되는 영양적 적응(adaptation)을 진화시켰습니다.
착생식물, 기생식물, 식충식물과 같은 다른 식물 종은 생존을 위해 다른 유기체를 사용하는 영양적 적응을 진화시켰습니다. 토양 영양분과 빛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대신, 착생식물은 더 나은 영양 기회를 위해 다른 식물들(특히 나무들)에서 자랍니다. 착생식물-식물 관계는 숙주가 영향을 받지 않고 있는 동안 착생식물만이 이득(즉, 더 나은 영양분과 광합성을 위한 빛에 대한 접근)을 보기 때문에 편리공생관계 입니다. 착생식물은 털(trichome; 예: 브로멜리아드) 또는 기근(aerial root; 예: 난초)이라 불리는 잎 구조를 통해 근처의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착생식물과는 달리 기생식물은 살아있는 숙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예를 들어 비광합성 새삼(dodder)은 숙주에 완전히 의존하는 완전기생식물(holoparasite)입니다. 겨우살이(mistletoe)와 같은 반기생식물(hemiparasite)은 물과 무기질을 위해 숙주를 이용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광합성을 합니다. 새삼과 겨우살이 모두 숙주의 영양분을 빼돌리기 위해 기생근(haustoria)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기생 종은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다른 식물과 관련된 균근을 이용합니다 (예: 수정난풀; indian pipe). 기생식물-식물 관계에서 기생식물은 숙주의 희생을 통해 영양분을 얻습니다.
식충식물은 광합성이지만 질소와 인과 같은 필수 영양소가 부족한 서식지에서 삽니다. 이 식물은 곤충과 다른 작은 동물들을 가둬 먹음으로써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합니다. 식충식물은 깔때기(예: 벌레찹이풀; pitcher plant), 끈적끈적한 촉수(예: 끈끈이귀개; sundew) 또는 턱과 같은 (예: 파리지옥; Venus flytrap)같이 먹이를 포획하는 데 도움을 주는 변형된 잎을 발달시켰습니다. 식충식물-작은 동물 관계는 포식자-피식자 관계입니다. 위와 같은 식물의 영양적 적응을 파악하는 것은 어떤 영양소가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지, 그리고 주어진 서식지의 영양 상태와 같은 중요한 생태학적 정보를 알게 해줍니다.